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공적 자기의식, 신체에 대한 감시, 신체에 대한 수치심이 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Surveillance,and Body Shame on Eating Behaviors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적 자기의식, 신체에 대한 감시, 그리고 신체에 대한 수치심이 부정적인 섭식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여대생 215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들에 대한 척도에 응답하게 한 후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경로 중 공적 자기의식과 신체에 대한 수치심 간의 경로를 제외한 3개의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세 변인 모두 직접,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섭식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신체에 대한 수치심은 직접적이면서도 가장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효과와 매개 효과를 살펴본 결과, 변인 간의 중재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신체에 대한 감시는 공적 자기의식과 신체에 대한 수치심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에 대한 수치심은 공적 자기의식과 부정적인 섭식 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상화 이론에서는 분명하게 설명하지 못한 공적 자기의식과 신체에 대한 감시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적 자기의식, 신체에 대한 감시, 그리고 신체에 대한 수치심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부정적인 섭식 행동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체계적인 과정을 볼 수 있었다.

keywords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eating behaviors, self-objectification,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eating behaviors, self-objectification, 공적 자기의식, 신체에 대한 감시, 자기대상화, 신체에 대한 수치심, 섭식 행동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on negative eating behaviors. Participants were 215 women recruited from classes at the University.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a) the three paths among four were significant, (b) all three variables affected negative eating behavior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c) and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negative eating behaviors.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body surveillance appear to have different effects on negative eating behaviors. In addition, body shame is the most direct and critical predictor in negative eating behaviors.

keywords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eating behaviors, self-objectification,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eating behaviors, self-objectification, 공적 자기의식, 신체에 대한 감시, 자기대상화, 신체에 대한 수치심, 섭식 행동

참고문헌

1.

동아일보 2006년 5월 16일자.

2.

손은정 (2006). 대상화 경험이 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 399-417.

3.

신미영 (1997). 대중매체가 여성의 다이어트와 섭식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정희, 김진숙, 이미영, 정선희, 장경자 (2001). 인터넷 Web 강의를 수강하는 남녀 대학생에서의 체중조절 경험, 섭식장애 및 식이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 604-616.

5.

이주일 (1988). 이분척도와 Likert형 7점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반응양식의 비교: 자기검색척도와 자기의식척도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채서일 (2003).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학현사.

7.

최윤정 (2005). 미디어에 의한 여성들의 신체불만족현상에 관한 연구: TV와 잡지 소비로 인한 신체불만족현상과 다이어트, 성형수술에 대한 동의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한오수, 유희정, 김창윤, 이철, 민병근, 박인호 (1990). 한국인의 식이장애의 역학 및 성격 특성. 정신의학, 15, 270-287.

9.

한미정 (2000). 신체이미지 관련 TV 메시지의 처리방식이 여대생의 신체만족감과 다이어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4, 291-317.

10.

홍세희 (2006). 상담심리연구의 최근 동향과 연구방법론: 구조방정식모형의 이론과 응용.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상담심리학회 2월 워크샵자료집.

11.

Aroian, L. A. (1944). The probability function of the product of two normally distributed variables.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18, 265-271.

12.

Burt, V. K., & Hendrick, V. C. (2005). 여성의 정신건강. (남범우, 서정석, 류은정, 최귀순 역). 서울: 하나의학사. (원전은 2001에 출판).

13.

Carver, C. S., & Scheier, M. F. (1981). Attention and self-regulation: A control theory approach to human behavior. New York: Springer-Verlag.

14.

Cooley, C. H. (1990).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Excerpted in A. G. Halberstadt & S. L. Ellyson (Eds.), Social psychology readings: A century of research (pp. 61-67). New York: McGraw-Hill. (Original work published 1902).

15.

Costanzo, P. R. (1992). External socialization and the develoment of adaptive individuation and social connection. In D. N. Ruble, P. R. Costanzo, & M. F. Oliveri (Eds.), The social psychology of mental health (pp. 55-80). New York: Guilford.

16.

Fenigstein, A., Scheier, M. F., & Buss, A. H. (1975).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3, 522-527.

17.

Fredrickson, B. L., & Rogerts, T. (1997).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 173-206.

18.

Garner, D. M., Olmsted, M. P., Bohr, Y., & Garfinkel, P. E. (1982). The eating attitudes test: 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 correlates, Psychological Medicine 12, 871-878.

19.

Kashubeck-West, S., & Mintz, L. B. (2001). Eating disorders in Women: Etiology, assessment, and treatment.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9, 627-634.

20.

McKinley, N. M., & Hyde, J. S. (1996).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 181-215.

21.

Moradi, B., Dirks, D., & Matteson, A. V. (2005). Roles of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s and internalization of standards of beauty in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A test and extension of objectification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420-428.

22.

Muehlenkamp, J. J., & Saris-Baglama, R. N. (2002). Self-objectification and its psychological outcomes for college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6, 371-379.

23.

Mulholland, A. M., & Mintz, L. B. (2001). Prevalence of eating disorders among African American wo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8, 111-116.

24.

Noll, S., & Fredrickson, B. L. (1998). Medational model linking self-objectification, body shame, and disordered eating.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2, 623-636.

25.

Orbach, S. (1978). Fat is a feminist issue: A self-help guide for compulsive eaters. New York: Berkley Books.

26.

Piran, N., & Cormier, H. C. (2005). The social construction of women and disordered eating procedur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549-558.

27.

Schlenker, B. R., & Weigold, M. F. (1990). Self-consciousness and self-presentation:Being autonomous versus appearing autonomou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820-828.

28.

Striegel-Moore, R. H. & Cachelin, F. M. (2001). Etiology of eating disorders in wome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9, 635-661.

29.

Thornton, B., & Maurice, J. (1997). Physique contrast effect: Adverse impact of idealized body images for women. Sex Roles, 37, 433-439.

30.

Thornton, B., & Maurice, J. (1999). Physical contrast effect and the moderating influence of self-consciousness. Sex Roles, 40, 379-393.

31.

Tiggemann, M., & Kuring, J. K. (2004). The role of body objectification in disordered eating and depressed mood.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3, 299-311.

32.

Tylka, T. L., & Subich, L. M. (2002). Exploring young women'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maladaptive weight control technique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0, 101-11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