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2007년 3월에 임용된 2급 전문상담교사 237명과 전년도에 임용된 1급 전문상담교사 33명 등 270명을 대상으로 기대되거나 예상되는 학교상담자 역할을 확인, 비교하였다. 또한 공교육 근무경력에 따른 학교상담자 역할 기대와 예상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도 확인하였다. 학교상담자 역할 기대는 학교 상담자로서 어떤 활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지의 비교적 이상적인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라면, 예상은 학교 현장에서 실제 어떤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확인하는 비교적 현실적인 특성을 반영한다. 결과, 학교상담자에게 기대되는 활동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이루어지고 있는 예상보다 더 컸으며, 특히 위기상담과 요구조사를 가장 크게 기대하고 있었다. 요인분석 결과 이들이 기대하는 학교상담자 역할 영역은 자문, 조정, 생활지도 및 교육, 집단상담, 개인상담 등 비교적 교과서적 분류였으나, 예상하는 학교상담자 역할 영역은 상담지원 체계 구축, 조정활동, 생활지도 및 교육, 발달촉진상담 그리고 교정상담활동 등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조정 활동이 가장 크게, 생활지도와 교육이 가장 적게 기대되거나 예상되었다. 한편 공교육 근무경력의 유무에 따라, 기대에서는 생활지도와 교육, 집단상담 역할 영역에 차이가 있었으며, 예상에서는 생활지도와 교육에 차이가 있었다. 이들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안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expectations about and anticipation of the roles of school counselors who were placed in secondary schools in 2007. The level of expected school counselor roles was higher than anticipated roles. A factor analysis of the expected school counselor roles identified 5 factors: Consultation, coordination, guidance and education for large groups, small group counseling and personal counseling, which were more typical as the roles of school counselor. Anticipated school counselor roles also were divided into factors: Establishment of the support networking system for counseling, coordination, guidance and education for large groups, counseling for development tasks, and counseling for risks and corrections. Discussions focused on the difficulty or distress of beginning school counselors that developed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expectations and anticipations.
강진령, 손현동, 조은문 (2005a). 고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요구 분석. 상담학 연구, 6(4), 1351-1368.
강진령, 손현동, 조은문 (2005b). 중학교 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요구 분석. 청소년 상담연구, 13(2), 61-74.
구광현, 이정윤, 이재규, 이병임, 은혁기 (2005). 학교상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구본용, 금명자, 김동일, 김동민, 안현의, 주영아, 한동우 (2005). 위기(가능)청소년 지원모델 개발 연구, 청소년위원회.
금명자 (2002). 중년 교사의 문화적 특성과 상담에 대한 기대.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617-627. 10월 19일.
금명자, 양미진 (2001). 청소년과 부모의 내외통제성에 따른 상담에 대한 기대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75-94.
금명자, 이장호 (1990).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기대. 한국심리학회: 상담과 심리치료, 3(1), 23-43.
신현숙, 김인아, 류정희 (2004). 중․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 실태와 학교심리학 서비스의 필요성.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 53-77.
연문희, 강진령 (2002). 21세기의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서울: 양서원.
유정이 (1997). 한국 학교상담 형성과정 연구: 1945-1960년대 중등학교 상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상민, 안성희 (2003). 학교상담자 무엇을 해야 하는가?. 상담학연구, 4(2), 281-293.
이장호, 금명자 (1991). 우리나라 대학생의 상담에 대한 기대. 학생연구, 26(1), 1-18.
허승희, 박성미 (2004).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 모형 구안. 상담학연구, 5(4), 1203- 1215.
허승희, 박성미 (2005).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학부모, 교사 및 학교행정가의 요구분석, 초등교육연구, 18(1), 19-38
황순길, 류진아, 이경아, 장진이, 정재우, 유형근 (2005). 학교 청소년 상담사 학교상담 활동모형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Duckro, P., Beal, D., & Gorge, C. (1979). Research on the effects of disconfirmed client role expectations in psychotherapy: A critical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86, 260-275.
Gysbers, N. C., & Henderson, P. (2001). Comprehensive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 A rich history and a bright future.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4(1), 246-256.
Myrick, R. D. (1997). Developmental Guidance and counseling: A practical approach(3rd. ed.). Minneapolis: Educational Media.
Schmidt, J. J. (2000). 학교상담. (노안영 역). 서울: 학지사. (원문은 1999년 발행)
Tinsley, H. E. A., & Harris, D. J. (1976). Client expectations fo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3, 17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