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가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에게 어떤 도움을 주었고, 그러한 경험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주었느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8쌍의 상담자와 내담자를 인터뷰를 하였으며, 분석방법을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연구자를 포함한 총 5명이 평정작업에 참여하였고, 1명의 감사자가 감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도움된 경험, 도움된 경험에 영향을 준 상담자요인, 도움된 경험에 영향을 준 내담자 요인이라는 크게 3영역으로 나누어진다. 도움된 경험은 태도변화에서는 대인관계 변화, 감정 표출 그리고 인식변화에서는 자신감 획득, 자기 이해, 자기 수용, 통찰, 대인관계 인식변화 등이 주요 부분이었다. 도움된 경험에 영향을 준 상담자 요인은 공감, 편안한 분위기 유도, 새로운 시각제시, 상담자의 보편화, 자기개방, 지지, 개인적 노력 등이 있었고 내담자 요인은 솔직한 자기 개방, 적극적 태도, 실생활과 상담 연계, 자기 성찰 등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큰 도움을 주지 못했다고 보고 한 반면 내담자는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보고하여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에 지각차이가 보여 진다.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에 대한 부정적 입장에서 벗어나 초보상담자가 내담자에게 도움 준 부분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러므로 초보상담자가 앞으로 상담을 진행함에 있어 어떠한 부분을 더 강조해야하는 지에 대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고 상담자와 내담자 쌍 연구를 통해 어떤 지각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study explored 'how novice counselors help clients' and 'what factors influence helpful experiences' in counseling. The study included 8 therapist-client dyads and us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for analysis. The factors that influenced helpful experience were divided into three domains: Helpful experiences, counselor factors influencing helpful experiences, and client factors influencing helpful experiences. Helpful experiences included change of relationship, expression of feeling in attitude and self-understanding, self-acceptance and insight in recognition. Counselor factors influencing helpful experiences include empathy, support, and personal efforts. Client factors influencing helpful experiences included self-disclosure, active attitude, and self-insight. Novice therapists reported that they did not help clients, but clients reported that they received great help from novice therapist. These results show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강현주 (2002). 상담에서 도움된 경험에 관한 질적분석.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길문 (2003). 초보상담자가 회기 내에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처과정: 질적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1-20.
김영란, 연문희 (2002). 상담단계별 상담자 공감과 내담자 체험 및 상담성과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19-38.
김영혜. (2001).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각과 통찰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의 언어 반응들.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은혜 (2001). 초보상담자들의 사례개념화 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정욱 (1990). 초기 상담에서 화제결정과 상담 효율성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손유미 (2005). 초심상담자와 내담자의 조기종결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외자 (2002).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언어반응에 대한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심흥섭 (1998). 상담자의 발달 평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안주현 (2005). 상담과정 중 내담자의 자기 정서 수용에 관한 질적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윤주 (2001). 상담사례개념화 요소목록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이장호 (1995). 상담심리학. 서울: 박영사.
정남운 (1998). 상담과정에서의 대인 관계적 상보성과 상담성과.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최가희 (2022).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과 내담자에 대한 인상 형성.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황진희 (2000). 작업동맹에 대한 내담자 지각: 질적분석.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Clara, E. H., Barbara, J. T., & long-Term Psychotherapy: A Qual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 207-217.
Elliot, R. (1985). Helpful and Non helpful Events in Brief Counseling Interviews: An Empirical Taxonom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 307-322
Hardin, S. I. Subich, L. M& Holvey, J. M. (1988). Expectancies For Counseling in Relation to Premature Termin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 37-49
Heppner, P. P., & Rosenberg, J. I. (1992) Three method in Measuring the Therapeutic Process: Client's and Counselors' Construction of the Therapeutic Process Versus Actual Therapeutic Ev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 20-31.
Hill, C. E. (1990). Exploratory in-session process research in individual psychotherapy. A re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5, 222-223
Hill, C. E. Thompson, B. J., Corgar, M, & Denman, D. W (1993). Beneath the surface of long-term therapy: Therapist and client report of their own and each other's covert proc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ist, 25, 4, 517-572
Hill, C. E., Toh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517-572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864-877
Keithly, L. J., Samples, S. J., & Strupp. H. H. (1980). Patient motivation as a predictor of process and outcome in psychology.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33, 87-97
Kolb, D. L., Beutler, L. E., Davis, C. S., Cargo, M & Shanfield, S. B. (1985). patient and therapy process variables relating to dropout and change in psychotherapt. Psychotherapy, 22, 702-710.
Kolb, D. L., Beutler, L. E., Davis, C S., Cargo, M. & Shanfield, S.B.(1985). Patient and therapy process variables relating to dropout and change in psychotherapy. Psychotherapy, 22, 702-710
Mahrer, A. R., & Nadler, W. P. (1986). Good moments in psychotherapy: A prelimianry review, a list, and some promising research avenu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 0-15.
Meltzoff, J., $ Kornreich, M (1970). Research in psychotherapy. New York: Atherton Press
O'Malley, S. S., suh, C. S., & strupp, H. H. (1983). The Vanderbilt Psychotherapy Process Scale: A report on the scale development and a process-outcome stud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inical Psychology, 5`, 581-586.
Orlinsky, D. E., Grawe, K., & Parks, B. K. (1994). Process and outcome in psychotherapy. In A. E. Bergin & S. L. Garfield(Eds.),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4th ed.). New york: Wiley.
Paulson, B. L., Truscott, D., & Stiart, J. (1999). Clients' perception of helpful experience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 3, 317-324.
Quintana, S M. (1992). Termination in Short-Term Counseling: Comparison of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s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 299-305.
Rhodes. H R., Hill C. E., Barbara, J. T., & Elliott, R. (1994). Client Retrospective Recall of Resolved and Unresolved Misunderstanding Ev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 473-483.
Strong, S. R. (1968). Counseling: An interpersonal influence process.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8, 6, 562-578.
Yalom. I. D. (198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3rd ed). New York: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