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학교밖청소년의 진로적응 척도 개발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a Scale of Career Adjustment for School Dropout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밖청소년들이 진로선택 후 성공적으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진로적응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르바이트, 대안학교, 복학, 검정고시, 직업전문학교, 자격증 취득의 6개 진로 영역 적응에 도움이 되는 문항들을 개발하여 전문가가 내용타당도를 검증 한 후 면접조사 및 예비검사와 이에 대한 통계적 문항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과정을 거쳐 본 검사를 완성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교밖청소년의 진로적응 척도는 6개요인 10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동일요인으로 묶인 문항들의 내용을 반영하여 각 하위요인의 명칭을 대인관계, 지지환경, 비행경험, 목표, 정신건강, 생활태도, 지적 능력, 경제적 환경으로 명명하였다. 전체 문항에 대한 Cronbach α 값은 .81이며,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판별분석에서는 전체 변량 중 41%를 설명하고 있고, Wilkis' Lambda에 대한 검증이 유의미하게 나왔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밖청소년의 진로적응 척도가 학교를 떠난 이후 선택하는 진로영역에서의 적응정도를 측정하는 데 적합한 도구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학교밖, 진로적응, 척도개발, out of school, career adjustment, developing a scal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of career adaptation for school dropouts. Some influencing factors on adaptation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were complemented through interviews with school dropouts. The results from our interviews revealed that there were 8 factors affecting dropouts' career adaptation, which as follow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pporting environment, experience of delinquency, goal setting, mental health, attitudes toward life, intellectual ability, and economic circumstances. According to advice from the evaluations of professionals, the primary scale consisted of 253 items. Through factor analysis, the final version of scales was confirmed with 102 items. The final scale was administered to both students attending schools and school dropouts to obtain group data for discriminant analysis. The outcome from discriminant analysis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proved the validity of the scale.

keywords
학교밖, 진로적응, 척도개발, out of school, career adjustment, developing a scale

참고문헌

1.

강호경, (2003)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연구,

2.

금명자, (2004)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학교밖청소년욕구조사, 한국청소년상담원

3.

김광일,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사

4.

김경식, (1997) 중,고교중퇴생과 재학생의 교내외 생활비교를 통한 중퇴요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5.

김동일, (2004)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학교밖청소년 지원을 위한 평가체계: 평가와 상담,지원 서비스의 연계, 한국청소년상담원

6.

김민, (2001) 자발적 학업중도탈락 현상 발생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 청소년개발원

7.

김민정 ; 김봉환, (2007) 불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進路敎育硏究

8.

김선남, (1994) 청소년 비행관련 변인간의 인과적 분석,

9.

문은식, (1989) 학습성취사와 성별에 따른 학교학습 성취귀인의 분석,

10.

민병수, (1991) 학교생활의 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11.

이기학 ; 박고운, (2007) 진로결정자율성수준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

박영숙, (1999) 학교환경이 청소년의 학업중퇴에 미치는 영향,

13.

박현선, (1999) 실직가정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한국아동복지학

14.

박현선, (2003) 청소년 학업중퇴과정에 대한 현실기반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학

15.

박현선, (2004) 학업중퇴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청소년상담연구

16.

김봉환 ; 박현주, (2006) 고등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

배영태, (2003) 중고생의 중도탈락 인과모형 검증과 판별척도 개발,

18.

서정아, (2006) 학교밖청소년의 실태와 정책적 대응방안, 한국청소년개발원

19.

석숙이, (2000) 중도탈락학생의 학교재적응을 위한 사회사업 개입방안,

20.

손승영, (2003) 학업중퇴자 현실과 대안, 학지사

21.

손재환, (2000) 한국인 사회공포증 척도 개발에 관한 예비연구,

22.

송광성, (1992) 정학,퇴학 청소년 선도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3.

송복, (1996) 학업중퇴자 연구: 실태 및 대책,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4.

안현의, (2002)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학교를 떠나는 아이들, 한국청소년상담원

25.

오현애, (2002) 학교중퇴 청소년에 대한 지원방안 연구,

26.

오경자, (1995) 주의력결핍-과잉활동장애에 대한 약물치료와 부모훈련을 통한 행동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7.

유성경, (1998) 중도탈락학생의 사회적응 상담정책 개발연구Ⅱ: 잠재적 중도탈락학생에 대한 개입체제 개발연구, 청소년대화의광장

28.

유순화 ; 강승희 ; 윤경미, (2004)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수준 및 진로성숙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29.

윤미경, (2002) 잠재적 중도탈락 학생을 위한 적응유연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30.

이근창, (2003) 학교중퇴청소년의 중퇴이후 적응관련 요인에 관한연구, 충남대행정대학원

31.

이상필, (1990) 학교생활적응수준에 따른 학업성적 및 행동특성의 차이분석,

32.

이소영, (2000) 학교중단 청소년의 중퇴이후 적응결정요인,

33.

이승수, (2004) 진로선택과정에서 직업불일치와 통제소재가 진로적응에 미치는 영향,

34.

이숙영, (1997) 중도탈락 학생의 사회적응 상담정책 개발연구, 청소년 대화의 광장

35.

이영선, (2007) 채팅상담 성과척도 개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6.

이원휘, (2000) 고등학생의 시간관리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37.

이호준, (2006) 참가자 관점 부모교육 평가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8.

임성택, (2000) 청소년단체의 운영실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39.

장석민, (2002)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학교를 떠난 청소년의 진로문제와 지도대책, 한국청소년상담원

40.

전병재, (1991) 청소년 친구집단과 비행간의 상관성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41.

전석균, (1994)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에 의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42.

정규석, (2000) 미국 고등학생의 학교중퇴에 관한 다체계 모델, 한국아동복지학

43.

정진구, (1999) 고등학교 복학생들의 진학·복학의 원인과 자아정체감 및 학교부적응과의 관계,

44.

조한익, (1990) 학업성취도에 따른 자아 및 학교생활에 대한 태도와 학업성취에 대한 귀인양식의 차이,

45.

주영아, (2001) 복교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46.

최희경, (2007)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의사결정과의 관계,

47.

표갑수, (1992) 학교중퇴의 원인과 과제, 청주대 학생생활연구

48.

허은하, (2002) 잠재적중도탈락 청소년의 학교적응돕기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입에 대한 연구,

49.

홍봉선, (1998) 복교를 원하는 부산지역 중퇴청소년 부모의 욕구의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50.

홍창희 ; 한규석, (2007) 한국 정서표현성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51.

황창순, (1996) 청소년 학업중퇴 현황과 사회복지 대책, 순천향사회과학연구

52.

Baker, R. A., (1991) Modeling the school dropout phenomenon: school polices and preventing program strategies, The High School Journal

53.

Bryk, A. S., (1989) The effects of high school organization on dropping out: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Bryk, Anthony S, Center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54.

Catterall. J., (1987) On the social costs of dropping out of school.The High School, The High School Journal

55.

Chavea, E. L., (1994) Dropout and delinquency: Mexican- American and Caucasian non-hispanic youth,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56.

Derogatis, L. R., (1977) SCL-90(Revised) Manual Ⅰ.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57.

Dillon, C. O., (2003) Navigating disrupted transitions: getting back on track after dropping out of high school,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8.

Downing, J., (1990) Dropout prevention: A practical approach, School Counselor

59.

Ekstrom. R. B., (1986) Who drops out of high school and why findings from a national study, Teachers College Record

60.

Franklin. C., (1992) Family and individual patterns in a group of middle-class dropout youth, Docial Eork

61.

Hirschi, T., (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National Study, Teachers College Record

62.

Hernandez, L. P., (1993)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resilience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63.

Janosz, M., (2000) Predicting different types of school dropouts: A typological approach with two longitudinal sampl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4.

Natriello, G., (1986) Taking stock: Renewing our research agenda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dropping out, Teachers College Record

65.

Neumann, C. S., (2006) Factor structure of the hare psychopathy checklist: Youth version (PCL: YV) in incarcerated adolesc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66.

Rumberger, R. W., (1995) Dropout of middle school: A multi-level analysis of students and school, Educational Researcher

67.

Schlein, S. Guerney, B. Stover, L., (1971)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68.

Safren, S. A., (1997) Factor structure of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and the social phobia scal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