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대학생의 부모-자녀 결합 형태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또래애착의 차이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nd Peer Attachment by Parental Bonding Relationship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부모-자녀 결합 형태를 유형화하고 이러한 유형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또래애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 32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Parker, Tupling, 그리고 Brown(1979)이 개발한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Parental Bonding Instrument: PBI), 김아영과 차정은(1996)이 개발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그리고 Armsden과 Greenberg(1987)가 제작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의 개정본(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 IPPA-R)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자녀 결합 형태는 과보호군, 적절한 유대군, 애정 없는 통제군, 결여된 유대군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적절한 유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애정 없는 통제군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애착은 적절한 유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애정 없는 통제군과 과보호군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국 대학생들의 부모와의 유대에 대한 지각과 이와 관련된 그들의 성장․발달을 이해하는데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부모-자녀 결합 형태, 자기효능감, 또래애착, parental bonding relationship, self-efficacy, peer attachment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natural groupings of 322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in terms of their parental bonding relationship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scores on self-efficacy and peer attachment. The instruments included: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b) General self-efficacy, (c)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Overprotection Group, Optimal Bonding Group, Affectionless Control Group, Absent Bonding Group. Second, Optimal bonding group showed the highest self-efficacy, but Affectionless Control Group showed the lowest self-efficacy. Third, Optimal bonding group showed the highest peer attachment, but Affectionless Control Group and Overprotection Group showed the lowest peer attachment.

keywords
부모-자녀 결합 형태, 자기효능감, 또래애착, parental bonding relationship, self-efficacy, peer attachment

참고문헌

1.

김소라 (2003). 부모애착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숙명여자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수경 (2003). 대학생의 이성 친구에 대한 애착과 부모에 대한 애착 표상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아영, 차정은 (1997).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1-64.

4.

김지근, 이기학 (2008).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조합패턴과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9(3), 1183-1200.

5.

김춘경 (2000). 부모의 과잉보호가 아동의 성격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개인 심리학적 분석. 놀이치료연구, 4(1), 35-40.

6.

김효정 (2009).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노호은, 박경자 (2001).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자녀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연세교육과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49, 55-71.

8.

박은정 (1996).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생 어머니의 양육태도 현황-대전지역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백승진 (2008).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명확성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순길 (2003).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적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아청 (1998). 과보호의 발달심리학적 의미에 대한 일고찰. 인간발달연구, 5(1),53-72.

12.

송지영 (1992).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신경정신의학, 31(5), 979-991.

13.

옥 정 (1998). 청소년기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병두 (1995).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동영 (1997).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원영 (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원영 (1998). 한국인의 심리에 비추어 본 양육태도. 한국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중앙대학교, 13, 1-18.

18.

임성모 (2000). 비행학생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대상자의 자아 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지연 (2006). 성인애착과 대학생의 우울과의 관계: 낙관성과 비관성의 매개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장연주 (2008). 성인애착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장지선 (2003).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 및 애착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장휘숙 (2000). 애착과 대학생의 정체감 발달(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2). 115-230.

23.

장휘숙 (2002). 청년 후기의 부모에 대한 애착, 분리-개별화 및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5(1), 101-121.

24.

전효정, 이귀옥 (2002).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경험이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스트레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9(2), 191 -210.

25.

정은선 (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과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6.

정범모 (1997). 인간의 자아실현. 서울: 나남 출판.

27.

정은영, 장성숙 (2008).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 척도 개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93-312.

28.

차정은 (1997).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최옥현 (2006). 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홍주영, 도현심 (2002). 부부갈등 및 부모에 대한 애착과 청소년의 또래관계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5), 125-136.

31.

황혜자, 최윤화 (2003).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집: 동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2(1), 285-304.

32.

Ainsworth, M. D. S. (1982). Attachment: Retrospect and prospect. In C. M. Parkes & J. Stevenson-Hinde. (Eds.), The place of attachment in human behavior (pp. 3-30). New York: Basic Book.

33.

Allen, J. P., & Land, D. (1999). Attachment in adolescence. In J. Cassidy & P.R. Shaver(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pp.319-335). New York: Guilford Press.

34.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 427-454.

35.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6.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glewood Cliffs. NJ: Prentice.

37.

Baumrind, D.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Monographs, 4, 1-103.

38.

Berndt, T. J. (1989). Obtaining support from friend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D. Belle(Ed.), Children's social net works and social support (pp.308-331). New York: John Wiley.

39.

Buhrmester, D., & Furman, W. (1987). The development of companionship and intimacy. Child Development, 58, 1101-1113.

40.

Bukowski, W. M., & Hoza, B. (1989). Popularity and friendship: Issues in theory, measurement, and outcome. In T.J. Berndt & G. Ladd(Ed.), Peer relationship in child development(pp.15-45). New York: Wiley.

41.

Buss, D. M. (1984). Toward a psychology of person-environment(PE) correlation: The role of spouse sele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361-377.

42.

Cohn, D. A., Patterson, C. J., & Christopoulos, C. (1991). The family and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 Relationships, 8, 312-346.

43.

Collins, N. L., & Read, S. J. (1990).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4), 644-663.

44.

Conzales, N. A., Cauce, A. M., & Mason, C. A. (1996). Interobserver agreement in the assessment of parental behavior and parent-adolescent conflict: African American mothers, daughters and independent observers. Child Development, 67, 1483-1498.

45.

Gerlsma, C., Krammer, J. J. A., Sholing, A., & Emmelkamp, P. M. G. (1994). The influence of mood on memories of parental raring practice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3, 159-172.

46.

Goldberg, S. (1991). Recent developments in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36, 393-400.

47.

Gotlib, I. H., Mount, J. H., Cordy, N. I., & Whiffen, V. E. (1988). Depression and perception of early parenting: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2, 24-27.

48.

Hazan, C., & Shaver, P. (1987).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511-524.

49.

Hazan, C., & Shaver, P. (1990). Love and work: An attachment-theoretical perspecti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270-280.

50.

Kenny, M. E., & Hart, K. (1992).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eating disorders in an inpatient and college samp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 521-526.

51.

Lapsley, D. K., Rice, K. G., & FitzGerald, D. P. (1990). Adolescence attachment, ident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Implications for the continuity of adaptation hypothesi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8, 561-565.

52.

Lopez, F. G. (1995). Contemporary attachment theory: An introduction with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sychology.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3(3), 395-415.

53.

Main, M., Kaplan, K., & Cassidy, J. (1985). Security in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 A 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In I. Bretherton & E. Waters(Eds.),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 (1-2, Serial No. 209), 66-104.

54.

Nelson, J., & Erwin, C. (2000). Parents who love too much: How good parents can learn to love more wisely and develop children of character. Prima Publishing.

55.

Noom, M.J., Dekovic, M., & Meeus, W. H. J. (1999). Autonomy, attachmen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during adolescence: A double-edged sword? Journal of Adolescence, 22, 771-783.

56.

Parker, G., Tupling, H., & Brown, L. B. (1979).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52, 1-10.

57.

Paulson, S. E. (1994). Relations of parenting style and parental involvement with ninth-grade students' achievement.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4, 250-267.

58.

Rey, J. M. (1995). Perceptions of poor maternal care are associated with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34, 94-100.

59.

Rice, K. G., Cole, D. A., FitzGerald, D. P., Whaley, T. J., & Gibbs, C. L. (1995).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examination of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college student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3, 463-475.

60.

Rubin, K. H., & Lollis, S. P. (1988). Beyond attachment: Some thoughts about socio- emotional continuities. In J. Belsky & T. Nezworski (Eds.),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pp.219-252). Hillsdale, NJ: Erlbaum.

61.

Simons, L. G., & Conger, R. D. (2007). Linking mother-father differences in parenting to a typology of family parenting styles and adolescent outcomes. Journal of Family Issues, 28(2), 212-241.

62.

Turner, S., Norman, E., & Zunz, S. (1995). Enhancing resiliency in girls and boys: A case for gender specific adolescent prevention programming.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16(1), 25-38.

63.

Youniss, J., & Smollar, J. (1985). Adolescent relations with mother, father, and friend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