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ristian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 부모를 대상으로 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근거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2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하고 1피험자간 - 1피험자내 설계에 따라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직전의 사전검사와 6주간의 프로그램을 마친 직후의 사후검사 및 사후검사 4주후의 추후검사에서 기독교 자녀양육 척도를 사용하여 기독교 자녀양육 전체와 그 하위영역(기독교 세계관, 기독교 인간관, 성품, 대화 및 훈련, 신앙훈련)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변량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기독교 자녀양육 척도 전체 점수와 하위 영역의 점수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기독교 자녀양육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기독교 부모교육,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parent education for Christians,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ristians, Christian Children’s Nurtur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ristian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In order to develop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ristians, Paren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precedence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ristians which was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of the program were randomly alloted to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12 married christian mothers.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ristians was made up of 11 sessions, 120 minutes per session. The train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 of overall Scale for Christian Children’s Nurture. Suggestions based on this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기독교 부모교육,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parent education for Christians,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ristians, Christian Children’s Nurture

참고문헌

1.

곽소현 (2000). 청소년 이해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가족치료적 접근.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2.

김경하 (2006). 기독교 신앙적 관점에서 본 부모의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3.

김명지 (2008).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부모교육이 기독교 부모들의 세계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4.

김미선 (2004). 교회와 가정을 연계하는 기독교 부모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5.

김민정 (2007).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6.

김은희 (2007). 청소년 자녀를 둔 가정을 위한 기독교 교육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접근-.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7.

김연호 (2003). 기독교 가정교육 활성화를 위한 부모교육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8.

김영희 (2003). 교회학교 영, 유아부 부모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조사.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9.

김정선 (2005). 교회학교 유치부 부모교육 활용을 위한 기독교 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 연구: 부모학교, 아버지학교, 마더와이즈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10.

김정원 (1998).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1.

김진화 (2001).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서울: 교육과학사.

12.

김진화, 정지웅 (1997).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3.

김판선 (2002). 자녀 발달단계에 따른 교회의 부모교육.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14.

김희태 (2005). 청소년 자녀를 둔 기독교 가정의 가정예배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15.

김효원 (2006). 신앙공동체 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16.

김현주 (2003). 심성계발 프로그램을 통한 가치관 함양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17.

변창진 (1994). 프로그램 개발. 대구: 홍익출판사.

18.

성창환 (2001). 기독교 가정 부모의 자녀의 신앙교육에 대한 태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19.

윤기영, 서지영 (2001).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분석. 교육발전, 20, 129-155. 서원대학교.

20.

이기숙 (1992). 유아교육과정. 서울: 교문사.

21.

이문균 (2000).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2.

이미숙 (2008).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및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23.

이숙미 (2008). 기독교 자녀양육 평가 척도.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지, 15, 283-308.

24.

이영진 (2004). 교회의 부모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5.

이윤경 (2004). 기독교 가정을 위한 교회의 어머니교육 프로그램.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6.

이원영 (1991). 부모교육론. 서울: 교문사.

27.

이주영 (2005). 기독교 가정의 자녀 교육과 부모역할의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일장신대학교.

28.

이지영 (2007). 학령기 아동의 자아 존중감 형성을 위한 기독교 교육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9.

정인오 (1994). 사회교육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0.

조용호 (2002). 아버지학교 프로그램이 부부결혼만족도와 부모자녀 관계증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31.

주선애 (1983). 유아의 종교교육. 교회와 신학, 5, 155-159.

32.

채경선 (2006). 기독교 부모의 자기성장을 기반으로 한 부모역할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33.

최선옥 (2007). 자녀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영, 유아 부모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34.

최영태 (2006). 아버지학교 프로그램이 아버지 역할 인식변화에 주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35.

최헌영 (2005). 아동기 자녀의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36.

황정혜 (2005). 기독교 가정의 부모 역할 훈련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웨스터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37.

Boyle, P. G. (1981). Planning better programs. New York: McGraw-Hill.

38.

Fine, M. J., & Henry, S. A. (1989). Professional issues in parent education. In M. J. Fine (Ed.), The second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pp.3-20). New York: Academic Press.

39.

Kessen, W. (1979). The American child and other cultural in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34, 815-820.

40.

Knowles, M. S. (1978). The adult learner: A neglected species. TX: Gulf publishing.

41.

Powell, D. R. (1984).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An analysis of program assumptions. In L. Katz (Ed.), 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121-139). Norwood, NJ: Ablex.

42.

Powell, D. R. (1989). Challenges i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parent- child intervention programs. In I. E. Sigel (Series Ed.) & D. F. Powell (Vol. Ed.), Advances in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pp.229-238). Norwood, NJ: Ablex.

43.

Taba, H. (1962).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Harcurt Brace.

44.

Tyler, R. (1949). Basic principl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5.

Walker, D. F. (1971). A naturalistic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P. H. Taylor & K. A. Tye. (Eds.), Curriculum, school and society. Los Angeles: NFER.

46.

Wood, F. H., & Thompson, S. R. (1980). Guidelines for better staff development. Educational Leadership, 37, 374-37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