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치료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and Validiation of a Narrative Therapy Program for School Maladjusted Youth

초록

본 연구는 White & Epston의 이야기치료에 근거하여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White & Epston의 이야기치료 모델 중 6과정- 문제의 설정, 문제의 외재화, 문제의 내력과 영향력 탐구, 독특한 결과 탐색, 재-저작 대화를 통한 대안적 이야기의 창조, 대안적 이야기 강화-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예비연구 실시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가진 중1학생 39명으로 실험집단 19명(남7명, 여12명), 통제집단 20명(남10명, 여10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는 4주 동안 매주 2회기씩(200분) 총 8회기로 구성된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학교생활적응, 희망,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한 방법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학교생활적응, 희망,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변화 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이야기치료 집단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희망·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켰으며, 학교부적응 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해결 요인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keywords
학교부적응 청소년, 이야기치료, 외재화, 대안적 이야기, 학교생활적응, 희망,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maladjusted juveniles, narrative therapy, externalizing of problem, alternative story, school life adjustment, hope, self efficacy, stress manageme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arrative therapy program for school maladjusted youth and to verify its effects. The construct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based on White and Epston's narrative therapy. The program is designed to enhance school life adjustment, improve hope, self efficacy, and stress management. To examine the program's effets, a total of 39 students of the 1st in the middle school were recruited. They all showed an early phase of school maladjustment: 19 and 20 adolescents were assigned to the training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training group received a total of eight sessions lasting 100 minutes at one time. Findings in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rogram help those showing school maladjustment to improve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hope, self-efficacy, and stress management strategy.

keywords
학교부적응 청소년, 이야기치료, 외재화, 대안적 이야기, 학교생활적응, 희망,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maladjusted juveniles, narrative therapy, externalizing of problem, alternative story, school life adjustment, hope, self efficacy, stress management.

참고문헌

1.

강이영 (2002). 상담과정 희망척도의 개발과 적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김아영 (1997). 자기효능감 및 하위척도들의 학교별 성별 평균 및 표준편차. 미간행본.

3.

김수진, 이정숙, 양미화 (2004).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희망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7(2), 73-83.

4.

김영경, 정석환 (2005). 중년여성의 성숙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상담학연구. 6 (1), 109-124

5.

김택호 (2004). 희망과 삶의 의미가 청소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유숙 (2005). 사회구성주의 관점의 가족치료 특성과 언어 활용. 상담학 연구, 6(4), 1369 -1381.

7.

김초선 (2008). 남·여 중학생의 자기효능감·희망·진로의식성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나혜진 (2009). 고위험집단 청소년에서 희망과 스트레스 대처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류경희 (2001).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적응교육 프로그램 개발. 생활과학연구, 5, 81-94.

10.

박성환 (2004).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박애선, 이영희 (1992). 기혼여성의 성역할 특성과 스트레스 지각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4(1), 69-79.

12.

박지은 (2005).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혜정 (2005). 청소년의 학교 급별(초·중·고)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및 적응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양경화 (2005). 잠재적 중도탈락학생의 적응강화를 위한 단기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건숙 (2000). 인간관계촉진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예방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숙영 (2003).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과제와 전망. 2003년 집단상담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10.

17.

이은경 (2000).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이종숙 (2004). 알코올 중독자의 의미있는 가족원을 위한 대처기술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이현심 (2004). 이혼가정 청소년들의 희망과 삶의 의미와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현진 (2007). 희망과 공감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주영아 (2003). 복교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 2003년 집단상담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15-83.

22.

차정은 (1996).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팽은경 (2002). 자화상 표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홍혜영·소수연 (2001). 학교를 떠나려는 아이들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서울 청소년 상담연구Ⅶ. 89-117.

25.

Biever, J. L., McKenzie, K., Wales-North, M., & Gonzales, R. C. (1995). Stories and solutions in psychotherapy with adolescents. Adolescence, 30, 491-499.

26.

Burnette, M. (1995). Secrets: Essentialism in narrative therapy. Journal of Child and Youth Care, 10, 1-12.

27.

Chen, M., Noosbond, J. P., & Bruce, M. A. (1998). Therapeutic document in group counseling: An active change agent. Jou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6, 404-411.

28.

Dickerson, V. C., & Zimmerman, J. (1992). Families with adolescents: Escaing problem lifestyles. Family Process, 31, 341-353.

29.

Frank, J. D., & Frank, J. B (1991). Persuasion and healing (3rd. Ed.).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0.

Hill, R. F., & Fortenberry, J. D. (1992). Adolescence as a culture-bound sydrome. Social Science Medicine, 35, 73-80.

31.

Holcomb, R. W. (1994). Incorporating new treatment perspective into a residential, adolescent drug and alcohol program. Journal of Child and Youth Care, 9, 43-50.

32.

Kaptain, D. C. (2004). Narrative group therapy with outpatient adolescents. The University of Iowa State. USA.

33.

Kelly, P., Blankenburg, L., & McRoberts, J. (2002). Girls fighting trouble: Re-storying young lives. Families in Society: The Journal of Contemporary Human Services, 83(5-6), 530-540.

34.

Masten, A. S., & Reed, M. G. J. (2002). Resilience in development.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pp.74-8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5.

Nichols, M., & Schwartz, R. (2001).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5th ed.). Allyn and Bacon.

36.

Snyder, C. R., Feldman, D. B., Taylor, J. D., Schroeder, L. L., & Adams, V. M. (2000). The roles of hopeful thinking in preventing problems and enhancing strengths.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15, 262-295.

37.

Snyder, C. R., Hoza, B., Pelham, W. E., Rapoff, M., Ware, L., Danovsky, M., Highberger, L., Rubinstein, H., & Stahl, K. J. (1997).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hildren's Hope Scale.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2, 399-421.

38.

Snyder, C. R., & Pulvers, K. (2001). Dr. Seuss, the coping machine and “Oh, the places you will go.” In C. R. Snydes (Ed), Coping with stress: Effective people and process(pp.3-19). New York: Oxford Universty Press.

39.

Smith, C., & Nylund, D., (Eds.). (1997). Narrative therapies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The Guiliford Press.

40.

White, M. (1995). Re-authoring lives: Interviews and essays. Adelaide, Australia: Dulwich Centre Publications.

41.

White, M. (1997). Narratives of therapists' lives. Adelaide: Dulwich Centre Publication.

42.

White, M., & Epston, D. (1990). Narrative means to therapeutic ends. New York: Norton.

43.

Winslade, J., & Monk, G. (1999). Narrative counseling in schools. London: Sage Publications.

44.

Zimmerman, J. L., & Dickerson, V. C. (1994). Using the narrative metapor: Implications for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Family Process, 33, 233-24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