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지역사회 새터민의 심리적응을 돕기 위한 ‘새터민 셀프파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총 연구대상은 서울시 가양동 거주 새터민 115명으로, 기초조사(69명)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에 이어 효과성 검증연구(46명)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MMPI검사와 새터민의 심리적응에 관한 FGI가 사전에 실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새터민의 심리적 특성에 도움이 되는 ‘위기적 정서중심 집단심리상담’, 의사소통 감수성 훈련’, ‘잠재적 역량 개발 훈련’ 의 3단계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의 골격을 설정하였다. 이후 심리상담 및 교육전문가 9명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방향에 맞는 새터민 셀프파워 하위주제 12개를 추출하였고, 이 주제들을 토대로 개발된 프로그램내용은 매주 1회씩 6개월간 전문가 그룹의 집단시연을 통해 수정 보완하는 절차를 거쳤다. 개발된 최종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가양동 거주 새터민 46명을 대상으로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새터민 셀프파워 프로그램은 새터민의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 적응유연성, 임파워먼트를 증진 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elf-power program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Based on the pilot study, three steps were specified and included in developing the self-power program - the group therapy for critical emotion, the sensitivity training for relationship communication, and the potential capability development training - then self-power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discussion, demonstration and modification by the group of nine experts i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education. The current stud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power program which was conducted 46 North Korean refugees in Gayang-dong. The self-Power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self-esteem, self-identity, adaptation flexibility and empower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Furthermore, the current study was intended to initiate more studies in which more psychological adaptation programs for North Korean refugees are developed and evaluated.
강숙정 (2000). 하나원교육생 심리안정 및 인성수련 프로그램 개발. 통일부: 2000년 연구용역과제.
강숙정, 이장호 (2009). 가양동 새터민 MMPI 검사결과와 새터민 심리상담적 접근.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0(1). 235-250.
강효림 (2008), 탈북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우울불안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권태용 (2008). 신규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단기사회적응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우울과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보영 (2008), 새터민 초등학생의 학교 적응에 관한 교육프로그램 연구, 성공회대학교, 석사논문
김영만 (2004). 탈북자들의 소외감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윤하 (2003). 지역복지관의 북한이탈주민 지원프로그램 실태와 개선방안.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현진 (2008).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현경 (2007),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 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김현아 (2006). 새터민의 적응유연성 척도 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노영환 (2009), 대학 내의 새터민 대학생 적응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기숙사를 활용한 그룹 (Group Home)과 또래협력학습(Peer Tutoring)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목혜연 (2007), 새터민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과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논문
민성길 (2000). 북한 사람들의 삶의 질.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통일연구, 4(1), 5-19.
박아청 (1996).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5(1), 140-162.
박윤숙 (2006).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지지특성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정아 (2007). 새터민(북한 이탈주민)의 한국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후원회 (2008). 새터민 정착지원 정책과 제도. 정주도우미교육교재.
박정희 (2007), 새터민 대학 입시생과 대학생의 생애사를 통한 대학생활 사전 적응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논문
엄태완 (2004). 북한이탈주민의 무망감에 의한 우울증 완충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유해숙 (2009). 새터민의 무력감 원인과 임파워먼트 전략. 박영률출판사
윤순임, 이죽내, 김정희, 이형득, 이장호, 신희천, 이성진, 홍경자, 장혁표 (1995),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이경혜 (1997).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발달에 관한 연구경향과 전망에 관한 일 고찰.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연구 6(2), 143- 153
이선윤 (2005) 북한 이탈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소래 (1997). 남한이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숙영 (2006).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남한 내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북한, 탈북과정, 남한 적응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신숙 (2008), 집단미술치료가 새터민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논문.
이장호 (1997). 북한출신 이주민(탈북자 포함) 심리사회 적응프로그램의 개발. 성곡학술문화재단: 성곡논총, 28(4). 739-768.
이장호, 최송미, 최원석 (2009). 통합상담론적 집단수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47-157
이철순 (2000). 탈북 귀순자의 사회적응 실태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경영 (2009). 새터민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민정 (2010),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새터민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현정 (2009), 음악심리치료가 새터민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전우택 (1997), 난민들의 정신건강과 생활적응에 대한 고찰 및 한반도 통일 과정에서 전망과 대책. 대한신경정신의약회 l: 신경정신의학, 36(1), 3-18
전우택 (2000),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연구종서, 6
전우택, 윤덕룡 (2004).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들의 신체 및 정신건강이 경제적 탈북자의 경제적 자립성과 신체적 건강에 관한 연구. 통일부.
조영아, 전우택, 유정자,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67-484.
조영아 (2009).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85-310.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
최연주 (2009), 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적응 실태: 한겨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논문
하성환 (2004).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만길 (1999).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교육 적응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인영 (2001).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1, 78-94.
홍창형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erry, J. W. and Blondel, T. (1982). Psychological adaptation of Vietnamese refugees in Canada. Canadian Journal of Community Mental Health, 1, 81-88.
Berry, J. W. (1976). Human ecology and cognitive style: Comparative studies in cultur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New York: Sage/Halsted.
Berry, J. W., Poortinga, Y. H., Segall, M. H., & Dasen, P. R. (2002). Cross-Cultural Psychology (2nd Edi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Bobbie, E. (2005). An exploratory study of self- perceived and observed skill levels of principals. Baylor University.
Cohen, S., Mermelstein, R., Karmark, T., & Hoberman, H. (1985). Measuring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In I. G. Sarason & B.R. Sarason(Eds.),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pp.51-72). The Hague, The Netherlands: Martinus Nijhof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Dignan, S. M. H (1965) Ego identity and materi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 476-483
Fontaine, G. (1986). Roles of social support in overseas relocation: Implications for intercultural training. Intercultur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0, 361-378.
Lin, K. M., Tazuma, L., & Masuda M. (1979). Adaptational problems of Vietnamese refugees : Health and mental health status. Arcbives of General Psychiatry, 36, 955-961.
Michael, B. F. (2006). Quality of life therapy. New Jersey: Wiley
Rangaraj, A. (1988). The health status of refugees in Southeast Asia. In D, Miserez (Ed.). Refugees: The trauma of exile. Dordrecht, Netherlands: Nijhoff.
Rogers, C. R (1957).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1, 95-103.
Rogers, C. R (1961). On becoming a person: A therapist's view of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Shisana, O., & Celentano, D. D. (1985). Relationship of chronic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style to health among Namibian refugee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24, 145-157.
Schwarzer, R, Jerisalem, M., & Hahn, A. (1994). Unemployment, social support and health. complaints: A logitudinal study of stress in East German refugees. Journal of Community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4, 31-45.
Tyhurst, L. (1951). Displacement and Migration, a study in social psychiatr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07, 561-568
Tyhurst, L. (1980). Refugee Resettlement. Paper presented at Second Pacific Congress of Psychiatry, Phillippine.
Tyhurst, L. (1982). Coping with Refugees. A Canadian experience 1948-1981.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28, 105-109.
Wheaton, B. (1985). Models for the stress-buffering functions of coping resourc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6, 352-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