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한국판 긍정심리치료척도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Positive Psychotherapy Inventory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치료척도(Positive Psychotherapy Inventory: PPTI)를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긍정심리치료척도(K-PPTI)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소재 남녀 대학생 176명과 서울 소재 직장인 68명, 총 244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긍정심리치료 척도, Beck 우울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Zung 자기보고 우울 검사, 삶의 만족도 척도, 낙관성 척도, 한국판 희망기질 척도,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의 결과에서 K-PPTI가 만족스러운 내적합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타당도 검증에서, 상관분석을 통하여 K-PPTI의 수렴타당도와 공존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K-PPTI의 증분타당도 또한 확인되었다. 새로운 대학생 표본 209명을 대상으로 교차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한국판 긍정심리치료 척도는 Rashid (2005)의 원척도와 동일하게 3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K-PPTI의 문항내용과 요인구조에 대한 한국과 미국 간의 잠재적인 문화차이의 가능성 및 제한점, 그리고 K-PPTI의 활용성과 관련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의 방향에 대한 제안점들이 논의되었다.

keywords
긍정심리치료척도, 긍정심리학, 행복한 삶, 신뢰도, 타당도, K-PPTI, Positive Psychology, Happy life, Reliability, Validity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Rashid's Positive Psychotherapy Inventory (K-PPTI). For this purpo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implemented. Initially, various instruments to measure relevant constructs of PPTI were administered to 244 participants. For cross-validation of K-PPTI, 209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Results of EFA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factors (Pleasant life, Engaged life, Meaningful life) within the K-PPTI. The results of CFA confirmed that the three-factor solution fitted best to K-PPTI. K-PPTI exhibited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mporal stability. The current study also demonstrated apThepriate levels of convergen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of K-PPTI. Finally, potential cultural differences in the concept of happy life, the implications and practical use of K-PPTI,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긍정심리치료척도, 긍정심리학, 행복한 삶, 신뢰도, 타당도, K-PPTI, Positive Psychology, Happy life, Reliability, Validity

참고문헌

1.

강이영 (2002). 상담과정 희망척도의 개발과 적용. 성균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광수 (1999). 용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김광수 (2007). 용서의 심리와 교육프로그램.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4.

김기범, 임효진 (2006). 대인관계 용서의 심리적 과정 탐색: 공감과 사과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177-190.

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 19-39.

6.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 (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7.

김미경, 조진형, 김동원, 김정희 (2009). 성인 여성의 감사 대상, 이유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21(1), 191- 208.

8.

김민정 (2005).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 345.

10.

김진영, 고영건 (2009). 긍정 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와 긍정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55-168.

11.

김희진 (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긍정주의 심리치료 접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877-906.

12.

신현숙, 김미정 (2009). 감사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16 (1), 205-224.

13.

염영미 (1999). 대학생을 위한 낙관성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0. 98-113.

15.

이유정 (1994). 성격특질이 기분의 수준 및 변화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이은경 (2005). 신경증과 외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긍정적 정서의 중요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이하나, 정현주, 이기학, 이학주 (2006).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행복감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와의 관계. 상담학연구, 7(3), 701- 713.

18.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 946.

19.

최유희, 이희경, 이동귀 (2008). Snyder의 희망척도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22(2), 1-16.

20.

홍세희 (1999). 문항반응 이론과 요인분석을 이용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임상심리학회 3차 워크샾교재. 한국 임상심리학회.

21.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22.

홍세희 (2007). 구조 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서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3.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53-63.

24.

Cheavens, J. S., Feldman, D. B., Gum, A., Michael, S. T., & Snyder. C. R. (2006). Hope therapy in a community sample: A pilot investig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77, 61- 78.

25.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26.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27.

Fava, G. A., Rafanelli, C., Cazzaro, M., Conti, S., & Grandi, S. (1998). Well-being therapy: A novel psychotherapeutic approach for residual symptoms of affective disorders. Psychological Medicine, 28, 475-480.

28.

Fava, G. A., & Ruini, C. (2003).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a well-being enhancing psychotherapeutic strategy: Well-being therapy.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34, 45-63.

29.

Fredrickson, B. L., & Losada, M. (2005). Positive affect and the complex dynamics of human flourishing. American Psychologist, 60, 678-686.

30.

Frisch, M. B. (1998). Quality of life therapy and assessment in health care.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5, 19-40.

31.

Frisch, M. B. (2006). Quality of life therapy: Applying a life satisfaction approach to positive psychology and cognitive therapy. Hoboken, NJ: John Wiley & Sons.

32.

Haidt, J. (2006). The happiness hypothesis: Finding modersn truth in ancient wisdom. New York: Basic Books.

33.

Joseph, S., & Linley, A. P. (2005). Positive psychological approaches to therapy.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5, 5-10.

34.

Joseph, S., & Linley, A. P. (2006). Positive therapy: A meta-theory for positive psychological practice. London, GB: Taylor & Francis.

35.

Lopez, S. J., Ciarlelli, R., Coffman, L., Stone, M., & Wyatt, L. (2000). Diagnosing for strengths: On measuring hope building blocks. In C. R. Snyder(Ed.), Handbook of hope : Theory, /measures, and applications(pp. 57-85). San Diego, CA : Academic Press.

36.

Lyubomirsky, S., King. L. A.,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Psychological Bulletin, 131, 803-855.

37.

Myers, D. G. (1992). The pursuit of happiness: who is happy-and why. New York: Avon Books.

38.

Nakamura, J., & Csikszentmihalyi, M. (2002). The concept of flow. In C. R. Snyder, & S.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89-10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9.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0.

Rashid, T. (2005). Positive Psychotherapy Inventory.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Pennsylvania.

41.

Rashid, T. (2008). Positive psychotherapy. In S. J. Lopez (Eds.), Positive psychology: Exploring the best in people; Vol. 4. (pp.187-217). Westport, CT: Praeger Publishers.

42.

Reed, G. L., & Enright, R. D. (2006). The effects of forgiveness therapy on depression, anxiety, and posttrsaumatic stress for women after spousal emotional abus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 920-929.

43.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44.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45.

Ryff, C. D., Lee, Y. H., & Na, K. C. (1993, November). Through the lens of culture: Psychological well-being at midlif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s of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New Orleans, LA.

46.

Scheier, M. F., & Carver, C. S. (1985). Optimism, coping and health: Assessment and implications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Health Psychology, 4, 219-249.

47.

Scheier, M. F., Carver, C. S., & Bridge,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1063-1078.

48.

Seligman, M. E. P. (2000, October). Positive psychology: A progress report. Paper presented at the Positive Psychology Summit 2000. Washington, DC.

49.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50.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51.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11, 774-788.

52.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 410-421.

53.

Snyder, C. R., Harris, C., Anderson, J. R., Holleran, S. A., & Irving, L. M., et al. (1991).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 differences measures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570-585.

54.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55.

Zung, W. W. K.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2, 63-7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