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치료척도(Positive Psychotherapy Inventory: PPTI)를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긍정심리치료척도(K-PPTI)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소재 남녀 대학생 176명과 서울 소재 직장인 68명, 총 244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긍정심리치료 척도, Beck 우울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Zung 자기보고 우울 검사, 삶의 만족도 척도, 낙관성 척도, 한국판 희망기질 척도,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의 결과에서 K-PPTI가 만족스러운 내적합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타당도 검증에서, 상관분석을 통하여 K-PPTI의 수렴타당도와 공존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K-PPTI의 증분타당도 또한 확인되었다. 새로운 대학생 표본 209명을 대상으로 교차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한국판 긍정심리치료 척도는 Rashid (2005)의 원척도와 동일하게 3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K-PPTI의 문항내용과 요인구조에 대한 한국과 미국 간의 잠재적인 문화차이의 가능성 및 제한점, 그리고 K-PPTI의 활용성과 관련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의 방향에 대한 제안점들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Rashid's Positive Psychotherapy Inventory (K-PPTI). For this purpo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implemented. Initially, various instruments to measure relevant constructs of PPTI were administered to 244 participants. For cross-validation of K-PPTI, 209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Results of EFA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factors (Pleasant life, Engaged life, Meaningful life) within the K-PPTI. The results of CFA confirmed that the three-factor solution fitted best to K-PPTI. K-PPTI exhibited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mporal stability. The current study also demonstrated apThepriate levels of convergen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of K-PPTI. Finally, potential cultural differences in the concept of happy life, the implications and practical use of K-PPTI,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강이영 (2002). 상담과정 희망척도의 개발과 적용. 성균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광수 (1999). 용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광수 (2007). 용서의 심리와 교육프로그램.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김기범, 임효진 (2006). 대인관계 용서의 심리적 과정 탐색: 공감과 사과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177-190.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 19-39.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 (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김미경, 조진형, 김동원, 김정희 (2009). 성인 여성의 감사 대상, 이유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21(1), 191- 208.
김민정 (2005).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 345.
김진영, 고영건 (2009). 긍정 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와 긍정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55-168.
김희진 (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긍정주의 심리치료 접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877-906.
신현숙, 김미정 (2009). 감사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16 (1), 205-224.
염영미 (1999). 대학생을 위한 낙관성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0. 98-113.
이유정 (1994). 성격특질이 기분의 수준 및 변화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은경 (2005). 신경증과 외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긍정적 정서의 중요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하나, 정현주, 이기학, 이학주 (2006).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행복감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와의 관계. 상담학연구, 7(3), 701- 713.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 946.
최유희, 이희경, 이동귀 (2008). Snyder의 희망척도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22(2), 1-16.
홍세희 (1999). 문항반응 이론과 요인분석을 이용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임상심리학회 3차 워크샾교재. 한국 임상심리학회.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홍세희 (2007). 구조 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서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53-63.
Cheavens, J. S., Feldman, D. B., Gum, A., Michael, S. T., & Snyder. C. R. (2006). Hope therapy in a community sample: A pilot investig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77, 61- 78.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Fava, G. A., Rafanelli, C., Cazzaro, M., Conti, S., & Grandi, S. (1998). Well-being therapy: A novel psychotherapeutic approach for residual symptoms of affective disorders. Psychological Medicine, 28, 475-480.
Fava, G. A., & Ruini, C. (2003).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a well-being enhancing psychotherapeutic strategy: Well-being therapy.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34, 45-63.
Fredrickson, B. L., & Losada, M. (2005). Positive affect and the complex dynamics of human flourishing. American Psychologist, 60, 678-686.
Frisch, M. B. (1998). Quality of life therapy and assessment in health care.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5, 19-40.
Frisch, M. B. (2006). Quality of life therapy: Applying a life satisfaction approach to positive psychology and cognitive therapy. Hoboken, NJ: John Wiley & Sons.
Haidt, J. (2006). The happiness hypothesis: Finding modersn truth in ancient wisdom. New York: Basic Books.
Joseph, S., & Linley, A. P. (2005). Positive psychological approaches to therapy.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5, 5-10.
Joseph, S., & Linley, A. P. (2006). Positive therapy: A meta-theory for positive psychological practice. London, GB: Taylor & Francis.
Lopez, S. J., Ciarlelli, R., Coffman, L., Stone, M., & Wyatt, L. (2000). Diagnosing for strengths: On measuring hope building blocks. In C. R. Snyder(Ed.), Handbook of hope : Theory, /measures, and applications(pp. 57-85). San Diego, CA : Academic Press.
Lyubomirsky, S., King. L. A.,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Psychological Bulletin, 131, 803-855.
Myers, D. G. (1992). The pursuit of happiness: who is happy-and why. New York: Avon Books.
Nakamura, J., & Csikszentmihalyi, M. (2002). The concept of flow. In C. R. Snyder, & S.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89-10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ashid, T. (2005). Positive Psychotherapy Inventory.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Pennsylvania.
Rashid, T. (2008). Positive psychotherapy. In S. J. Lopez (Eds.), Positive psychology: Exploring the best in people; Vol. 4. (pp.187-217). Westport, CT: Praeger Publishers.
Reed, G. L., & Enright, R. D. (2006). The effects of forgiveness therapy on depression, anxiety, and posttrsaumatic stress for women after spousal emotional abus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 920-929.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Ryff, C. D., Lee, Y. H., & Na, K. C. (1993, November). Through the lens of culture: Psychological well-being at midlif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s of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New Orleans, LA.
Scheier, M. F., & Carver, C. S. (1985). Optimism, coping and health: Assessment and implications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Health Psychology, 4, 219-249.
Scheier, M. F., Carver, C. S., & Bridge,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1063-1078.
Seligman, M. E. P. (2000, October). Positive psychology: A progress report. Paper presented at the Positive Psychology Summit 2000. Washington, DC.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11, 774-788.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 410-421.
Snyder, C. R., Harris, C., Anderson, J. R., Holleran, S. A., & Irving, L. M., et al. (1991).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 differences measures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570-585.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Zung, W. W. K.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2, 6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