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공감능력과 용서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며, 용서가 공감능력과 결혼만족도 사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기혼남녀 529명(남성 257명, 여성 272명)이었다. 결혼만족도에 대한 인과구조 모형을 검증하고, 본 연구의 모형이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밝히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다집단 동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감능력과 용서 모두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또한, 남녀집단별로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혼남성의 경우 공감능력과 용서가 각각 결혼만족도의 지각에 직접영향을 미쳤으나 용서를 통한 결혼만족도에 대한 공감의 간접영향은 여성에 비해 의미가 없었다. 그에 비해, 기혼여성은 공감능력이 용서를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도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이 유의한 반면 공감능력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영향은 기혼남성에 비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혼남녀의 용서의 수준을 효과적으로 높이기위한 성에 따른 그들의 심리적 변인을 파악하고 부부 치료 개입의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상담적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empathy, forg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data analysis of 529 married people indicates that forgiveness exhibited the effect of mediating on the relation of empathy on marital satisfaction.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varying results across males and females. For examples for married males empathy and forgiveness affected the marital satisfaction directly, but indirect effect of empathy on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forgiveness was not insignificant. For married female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rect effect of empathy on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forgiveness was significant, while the direct affect of empathy on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psychological variables should be included and examined in designing a couple counseling in order to elevate effectively the levels of forgiveness. Finding in this study also exhibi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couple counseling in utilizing psychological variables.
고정자 (1998). 맞벌이 부부의 직업관련변수가 결혼만족도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4).
권정혜, 채규만 (2000). “부부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2), 207-218.
김성은 (1997). 학생의 감정공명과 학업성적, 학급 내 사회성, 학교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성일 (1998). 부모의 수용과 청소년의 공감발달. 청소년학 연구, 5(1), 21-51.
김수영 (2004). 용서수준과 자기개념에 관한 연구: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김희진 (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긍정주의 심리치료 접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877-906.
박남숙 (2005). 부부 상담에서 집단상담의 치료적 활용: 문헌 고찰과 사례 연구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97-1118.
박성희 (1993). 공감의 특성과 이타행동. 서울대학교 교육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박인희 (2000). 용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용서수준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박종효 (2006). Enright 용서심리검사(EFL-K)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교육심리연구. 20(1), 265-282.
박종효 (2006). 용서 심리이론과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개관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학회 13(1), 117-134.
배미자 (2003). 부부갈등대처 및 용서와 결혼만족도.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광희 (1992). 농촌부부의 배우자역할 평가와 결혼만족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서신화 (2008). 기혼남녀의 용서와 관련변인 연구: 용서과정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가정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서정선, 신희천 (2007). 용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 존성 모델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87-106.
송정아 (1994). 중년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113- 130.
양영숙 (2008). 부부갈등의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용서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양현아 (1986). 부부간의 결혼실재 상이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오윤자, 유영주 (1994).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205-218.
이동원 (1988). 도시부부의 결혼의 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민식, 김중술 (1996). 부부관계 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의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5(1), 129-140.
이신숙 (1997). 노인의 성역할 태도와 부부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17(2).
이인수, 유영주 (1986). 결혼만족도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4(1).
이훈구 (2004).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개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 47-53.
임효진, 김기범 (2006). 대인관계용서의 심리적 과정 탐색: 공감과 사과가 용서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2), 19-33.
전병성 (2003). 공감과 이타행동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 및 교육과정전공 석사학위 논문.
최규련 (1988). 한국 도시부부의 결혼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박사학위논문.
최인숙 (2005). 부부의 위기에 대한 용서경험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연구. 한일 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최혜경, 노지영, 박의순 (1994). 결혼초기 부부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구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1), 171-180.
통계청 (2009). 2009년 인구동태 통계연보(혼인. 이혼 편). 통계청.
한혜영, 현명호 (2006).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부부 조망수용능력과 갈등해결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935-92.
홍세희 (2001).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초와 응용. 워크샵 교재. Department of Education and Psych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홍세희 (2005). 구조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2005학년도 한국교육심리학회 제 3차 연구방법론 workshop 자료.
홍세희, 황매향, 이은설 (2005). 청소년용 여성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 분석. 교육심리연구, 19(4), 1159-1177.
Bryant, B. (1982).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3, 413-425.
Buehler, C., & Cerard, J. M. (2002). Marital conflict, ineffective parenting, and children's and adolescent's mal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 78-92.
Davis, M. H. (1980). A multi-mediat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Enright, R. D., 채규만 역(2004). Forgiveness is a choice. 용서는 선택이다. 학지사
Enright, R. D & Fitzgibbons, R. P. (2000). Helping Clients Forgive: An Empirical Guide for Resolving Hope. APA
Erel, O., & Burman, B. (1995). Interrelatedness of marital relations and parent-child relation: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18, 108-132.
Esser, U., & Schneider, I. (1990). Client-centered partnership therapy a relationship therapy. in G. Lietaer, J. Rombayts, & R. Van Balen(EDs.), Client-centered and experimental psychotherapy in the nineties(pp839-846). Belgium: Leuven University Press.
Fauber, R., Forehand, R., Thomas, A. M., & Wierson, M. (1990). A Meditional model of the impact of marital conflict on adolescent adjustment in intact and divorce families: The role of disrupted parenting. Child Development, 61, 1112-1123.
Fincham. F. D., Beach, S. R. H., & Davila, J. (2004). Forgiveness and conflict resolution in marriag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1), 72-81
Gottman, J. M., & Levenson, R. W.(2000). The timing of divorce: Predicting when a couple will divorce over a 14-year peri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 737-745.
Karney, B.R.,& Bradbury, T. N. (1995).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A review of theory, method, and reserch. Psychological Bulletin. 118, 3-34
Kitzman, K. M. (2000).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subsequent triadic family interac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36, 3-13.
Krishnakumar, A., & Buhler, C. (2000). Inter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s: A meta-analytic review. Family relation: Inter disciplinary Journal of Applied Family Studies49, 25-44.
Long, E. R., & Andrew. C. D. (1990). Perspective Taking as a Prdictor or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26-131.
Mehrabin. A & Epstein. N. (1972). 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 Journal of Personality, 40, 525-543.
McCullough, M. E., Worthington, E. L. Jr., & Rachal, K. C., (1997). Interpersonal Forgiving in clos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2), 321-336.
Reed, G. L., & Enright, R. D. (2006). The effect of forgiveness therapy on depression, anxiety, and posttraumatic stress for women after spousal emotional abus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5), 920-929.
Roberson, Q. M., Moye, N. A., & Locke, E. A. (1999). Identifying a missing link betwee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e mediating role of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4(4), 585-593.
Rogers. C. R. (1961). On becoming a person.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Smedes, L. B. (1984). Forgive & forget: Healing the hurts we don't deserve. San Francisco: Harper & Row.
Sobel, M. E. (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290-312), San Francisco: Jossey-Bass.
Spanier, G. B. (1976).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 15-28.
Wade, N, G., & Worthington, E, L, Jr. (2003). Overcoming interpersonal offenses: Is forgiveness the only way to deal with unforgivenes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1, 343-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