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이혼위기 부부를 위한 문제해결 단기상담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a Problem Solving Brief Counseling Program for Couples in Crisis of Divorce and the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ness

초록

본 연구는 숙려기간 등의 이혼위기 부부를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킴으로 부부의 문제해결을 돕기 위한 단기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본 연구자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를 비교 분석하여 통합된 11단계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D광역시 소재 가정법원 및 가정상담소를 통하여 모집된 40쌍의 이혼위기 부부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20쌍과 통제집단 20쌍으로 하였으며, 6회기(1회 90분)로 총9시간 3주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D'Zurilla와 Nezu(1990)가 개발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SPSI)척도를 Maydeu- Olivares와 D'Zurilla(1996)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재개정한 개정판 사회적 문제해결능력(SPSI-R)척도를 최이순(2002)이 번안한 것과 이경성(2001)이 개발한 결혼 불만족 척도, 추후조사를 통해 부부의 이혼여부를 살펴보았으며,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검사 결과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이혼위기 부부의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긍정적 문제지향과 합리적 문제해결기술이 향상되었으며, 부정적 문제지향과 충동-부주의적 반응양식, 회피적 반응양식이 감소하였다. 둘째, 결혼불만족도의 유의미한 감소 셋째, 이혼의향도의 유의미한 감소 넷째, 실제 이혼율에서 감소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내용을 토대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문제해결 단기상담, 이혼위기 부부, 문제해결능력, 결혼불만족도, 이혼의향도, 실제이혼여부, Social Problem-Solving Brief Counseling Program,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dissatisfaction of marriage, decrease of divorce rat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blem solving brief counseling program for couples in crisis of divorce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wo groups (i.e., couples receiving the counseling program and those not receiving) were compared at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Scale, Intention of Divorce Scale, Dissatisfaction of Marriage Scale, Practical Divorce Rate Scale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program. Other instruments were us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evaluation for the program.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roblem solving brief counseling program for couples in crisis of divorce produc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articipants' score of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Scale and decreases in the scores of the Intention of Divorce Scale, the Dissatisfaction of Marriage Scale, and the Practical Divorce Rate Scale.

keywords
문제해결 단기상담, 이혼위기 부부, 문제해결능력, 결혼불만족도, 이혼의향도, 실제이혼여부, Social Problem-Solving Brief Counseling Program,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dissatisfaction of marriage, decrease of divorce rate

참고문헌

1.

강경심 (1998). 간질환자의 문제해결능력과 문제해결태도 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강진구 (2004). 단기상담 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3.

강종수, 박정희 (2005). 이혼숙려기간의 이혼 전 상담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시사연구, 14, 197-221.

4.

곽배희 (2005). 이혼 전 상담제도의 필요성, 시민과 변호사, 134, 19-22.

5.

곽배희 (2006). 이혼숙려기간 및 이혼 전 상담제도화, 가사조정, 8, 11-28.

6.

김금열 (2002). 자활근로대상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문제해결능력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7.

김미경 (2007). 중년기 이혼상담의 이야기 치료적 접근. 한영논총, 11, 215-236.

8.

김진화, 정지웅 (1997).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9.

김재연 (2004). 이혼재판절차 중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0.

김정란 (2003). 교사의 사회자본이 직무수행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11.

김애리나 (2007). 알코올사용 장애 환자의 자기 효능감과 가족 기능이 사회적 문제해결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12.

김영대 (2003). 만성 정신불연별 환자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인지적 결손.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13.

김창대 (2002). 청소년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한국청소년상담원

14.

김혜자 (2006).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사회적문제해결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15.

노치영 (1996). 한국 부부의 부부문제해결과정.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6.

동아일보, 2003. 11. 23.

17.

매일경제, 2004. 4. 19.

18.

매일경제, 2008. 6. 4.

19.

박인우 (1995). 효율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형, 진로상담, 20, 19-40.

20.

박명심 (2007). 고등학생용 진로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1.

방성수, 장보임 (2003). 이혼증가에 대한 사회복지지적 접근방법, 한국복지행정논총, 13(1), 159-175.

22.

변창진 (1994). 프로그램 개발. 서울: 홍익출판사.

23.

백영희 (2000). 학대받는 아내들의 문제해결능력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24.

부희옥 (2006). ME프로그램이 부부의 문제해결행동, 문제해결효율성,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25.

설재풍 (2003). 가치명료화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적용이 중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6.

손현숙 (2007). 이혼여성의 자립과정에서의 갈등과 대응.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7.

장미영 (2006).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8.

정미숙 (2006).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9.

정승진 (1999).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30.

정유미 (2004). 해결중심적 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사회적문제해결능력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1.

조성희 (1999). 실직자 가족해체가증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2.

조현주 (2008). 이혼을 고려하는 부부를 위한 상담. 중앙사회과학연구, 20, 93-109.

33.

지용근, 김옥희, 양종국 (2005). 진로상담의 이해. 서울: 동문사.

34.

안정희 (2007). 한부모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적 지원체계 확대 방안: 이혼 여성가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산효대학원대학교.

35.

오제은 (2004). 이혼전 상담제도와의 중요성. 한국가정의 위기와 상담. 한국상담학회 연차대회 논문자료집, 36-43.

36.

유계식 (2004). 이혼전 상담의 필용성과 상담심리사의 역할. 홍익대학교 학생생활 연구, 18, 27-55.

37.

유계숙, 장보현, 한지숙 (2006). 이혼 전․후 가족상담 운영 모형 및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59-96.

38.

이경성 (2001). 이혼의도, 시도 및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 여성, 6(2), 97-119.

39.

이미정 (2002). 사회적 문제해결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4(1), 199-218.

40.

이부훈, 이용성 (2004). 이혼 전 상담제도. 인문사회과학논문집, 8(1), 73-87.

41.

이승하 (2006). 이혼위기 극복을 위한 상담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42.

이영미 (2007). 사회적 지지 지각과 자아탄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43.

이은정 (2000).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훈련이 정신지체 성인의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44.

이현림, 김봉환, 김병숙, 최웅용 (2005). 현대진로상담. 서울: 학지사.

45.

이형득 (2001). 상담훈련과정. 대전: 한국발달상담연구소 대전센터.

46.

이화연 (2005). 부부갈등극복과 이혼위기 극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47.

이훈구 (2004).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개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 47-53.

48.

차성희 (2005). 노년기 부부갈등이 이혼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49.

최이순 (2002). 개정판 사회적 문제해결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13-428.

50.

최이순 (2003). 알코올 중독자를 위한 사회적 문제해결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51.

최이숙 (2003).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개념,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관계. 박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52.

통계청 (2008). 2007년 혼인․이혼통계 결과: 혼인․이혼신고에 의한 집계.

53.

한국일보 2006, 1월22일자

54.

한영진 (2005). 부자자효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숙명여대 박사학위논문.

55.

형성훈 (2006). 이혼갈등을 유발하는 성격요인에 관한 연구: 성격형성이론을 중심으로 한 이혼상담사례분석.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56.

홍인종 (2005). 부부 위기와 이혼 과정 상담. 장신논단, 23, 297-326.

57.

Black, D. R., & Sherba, D. R. (1983). Contracting to problem solve versus contracting to practice behavioral weight loss skill. Behavior Therapy, 14, 100-109.

58.

Carkhuff, R. (2000). The art of helping in 21st century Ⅷ. Amherst, MA: HRD Press.

59.

Carroll, P. J., & Fraze, E. (2001). Program can help protect children in break-ups. New York Journal, January, 64-78.

60.

Coche, E., & Fick, A. (1975). Problem-solving training groups for hospitalized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Psychology, 91, 19-21.

61.

Cormier, W. H., Otani, A., & Cormier, S. (1986).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training on two problem-solving task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0, 95-108.

62.

Gray, C., Verdieck, M. J., Smith, E. D., & Freed, K. (1997). An evaluation of court-mandated parenting workshops for divorcing families. Family and Conciliation Court Review, 35(1), 280-292.

63.

D'Zurilla, T. J. (1990). Problem-solving training for effective stress management and prevention.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An International Quarterly, 4, 327-355.

64.

D'Zurilla, T. J., Chang, E. C. (1995).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problem-solving and coping.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9, 547-562.

65.

D'Zurilla, T. J., Chang, E. C., & Sanna, L. J. (2003). Self-esteem and social problem solving as predictors of aggress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ocial Clinical Psychology, 22, 424-440.

66.

D'Zurilla, T. J., Maschka, G. (1988, November). Outcome of a Problem-solving approach to stress management: Ⅰ. Comparison with social support. Paper presented at the Association for Advancement of Behavior Therapy Convention, New York.

67.

D'Zurilla, T. J., & Maydeu-Olivares, A. (1995).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social problem-solving assessment. Behavior Therapy, 26, 409-432.

68.

D'Zurilla, T. J., & Nezu, A. M. (1990).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SPSI). Psychological Assessment. 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 156-163.

69.

D'Zurilla, T. J., & Nezu, A. M. (1999). Problem-solving therapy: A Social competence approach to clinical intervention (2nd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34-63.

70.

D'Zurilla, T. J., Nezu, A. M., & Maydeu-Olivares, A. (2002). Manual for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Revised. North Tonawanda, NY: Multi-Health Systems.

71.

D'Zurilla, T. J., Nezu, A. M., & Maydeu-Olivares, A. (2004). Social Problem-Solving: Theory and assessment. In E. C. Change, T. J. D'Zurilla, & L. J. Sanna (Eds.), Social problem-solving: Theory, research, and train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2.

D'Zurilla, T. J., & Nezu, A. M. (2007). Problem-Solving Therapy: A Positive Approach to Clinical Intervention.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73.

Edwards, J. N., Johnson. D. R., & Booth. A. (1987). Coming Apart: A Prognositc Instrument of Marital Break. Family Relations, 36, 25-46.

74.

Fitzpatrick, M. A. (1988). Between husbands and wives: Communication in marriage. Newbury Park, CA: Sage.

75.

Guttmann, J. (1993). Divorce in Psychosocial Perspective: theory and Research, Hillsdale, NJ: L. Erlbaum Associates.

76.

Hansen, D. J., St. Lawrence, J. S., & Christoff, K. A. (1985). Effects of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training with chronic aftercare patients on problem-solving component skills and effectiveness of solu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 167-174.

77.

Jacobson, N. S. (1978). Specific and nonspecific factors in the effectiveness of a behavioral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marital discord.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6, 442-452.

78.

Jacobson, N. S. (1984). A component analysis of marital behavior therapy: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behavior exchange and communication/problem-solving train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2, 295-305.

79.

Jacobson, N. S. (1992). Behavioral couple therapy: A new beginning. Behavior Therapy, 23, 493-506.

80.

Jacobson, N. S., & Follette, W. C. (1985). Clinical significance of improvement resulting from two behavioral marital therapy components. Behavior Therapy, 16, 249-262.

81.

Jacobson, N. S., & Margolin, G. (1979). Marital Therapy. New York: Brunner/ Mazel.

82.

Johnson, S. M., & Greenberg, L. S. (1985). Differential effects of experiential and problem-solving interventions in resolving marital conflic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 175-184.

83.

Kant, G. L. (1992). Problem solving as a moderate of stress-related depression and anxiety in older and middle-aged adult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1100, 5402 B.(University Microfilms No. 93009980).

84.

Kramer, L. A., & Washo, C, A. (1993). Evaluation of court-mandated prevention program for divorcing parents. Family Relations, 42, 179-189.

85.

Liberman, R. P., Eckman, T., & Marder, S. R. (2001). Training in social problem solving among persons with schizophrenia. Psychiatric Services, 52, 31-33.

86.

Maydeu-Olivares, A., & D'Zulla. T. J., (1990). A factor analysis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using polychoric correlation. European Journal of Assessment, 11, 98-107

87.

McKenry, P. C., Clark, K. A., & Stone. G. (1999). Evalu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divorcing parents. Family Relations, 48, 129-137.

88.

Mynors-Wallis, L. M., Gath, D. H., Lloyd-Thomas, A. R., & Tomlinson, D. (1995).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problem solving treatment with amitriptyline and placebo for major depression in primary care. British Medical Journal, 310, 441-445.

89.

Nezu, A. M. (1986). Effects of stress from current problem: Comparisons to major life even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 847-852.

90.

Nezu, A. M., Nezu, C. M., & D'Zurilla, T. J. (2007). Solving life's problem: A 5-step guide to enhanced well-be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91.

Nezu, A. M., Nezu, C. M., Saraydarian, L., Kalmar, K., & Ronan, G. F. (1986). Social problem-solving as a moderator variable between negative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0, 489-498.

92.

Petersen, V., & Steinman, S. B. (1994). Helping children succeed after divorce: A court-mandated educational program for divorcing parents. Family and Conciliation Courts Review, 32(1), 27-39.

93.

Platt, J. J., & Siegel, J. M. (1976). MMPI characteristics of good and poor social problem solvers among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 245-251.

94.

Platt, J. J., & Spivack, G. (1972). Problem-solving thinking of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9, 148-151.

95.

Tyler, L. E. (1969). The work of the counselor (3rd ed). New York: Aplleton-Century-Crofts.

96.

Warren, N. J., & Amara, A. A. (1984). Educational groups for single parents The parenting after divorce programs. Journal of Divorce, 8, 79-96.

97.

Wolchik, S. A., West, S. G., Westover, S., Sandler, I. J., Martin, A., Lustig, J., Tein, J., & Fisher, J. (1992). The children of divorce Intervention Project: Outcome evaluation of an empirically based parenting program.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1, 293-331.

98.

Yedidya, Tova., & Yerushalmi, H. (1997). A Model for The Evaluation of Readiness for Divorce. Journal of Divorce & Remarrige, 26, 115-12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