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 미혼남녀를 위한 기독교 결혼준비도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독교 결혼준비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 그리고 기독교 미혼남녀의 결혼준비 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통합 분석하여 총 141문항을 구성하였다. 이 문항에 대해 내용타당도 점검 등을 거친 후 요인분석을 통해 6요인 43문항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는 기독교 결혼준비도 전체는 Cronbach's α = .930이고 하위요인은 .764 ~ .867사이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기독교 결혼준비도 척도의 타당도 분석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한국판 PREPARE 검사와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결혼준비도 전체와 한국판 PREPARE 전체 및 유사한 요인들끼리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개발된 기독교 결혼준비 척도의 예측 타당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결혼 만족도 검사지로 예측 타당도를 점검하였다. 결과 기독교 결혼 준비도 척도와 결혼 만족도 척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독교 결혼준비도 척도의 활용 가능성과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 Christians' Marital Preparation Scale(CMPS). Preliminary studies including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with experts, and surveys with open-end questionnaire found one hundred forty one candidate items.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that the final version of CMPS should be consisted of forty three items showing six factors. Its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K-PREPARE(measure for preparation for marriage) indicated that CMPS showed criterion validity at reasonable level. Furthermore, in order to investigate CMPS's predictive validity, the Scale for Children's Premarital Prepar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Scale(MSS) were administered to 46 newlywed couples. High correlations subscales in CMPS with MSS demonstrated that CMPS exhibited predictive validity at acceptable level.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practical uses of CMPS are discussed.
고정자 (2003). 결혼준비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논문집, 제11집. 215-233.
김광률 (2001). 기독교인 결혼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나미 (2009). 결혼준비평가 한국판 PREPARE검사의 요인구조 분석 및 타당화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난희 (2000). 그리스도인을 위한 결혼예비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소그룹에서의 적용을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석 (1990). 결혼준비 성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혜선, 박희성 (2001).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결혼준비 진단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 125-143.
김혜선, 신수아 (2002). 결혼준비도 척도 개발 연구: 기혼 남, 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 41-53.
김혜선, 이정읍 (2003). 미혼남녀의 결혼준비도. 대한가정학회지, 41(2).
문수백 (2003). 연구방법의 실제. 서울: 학지사.
박말순 (1998). 결혼예비 프로그램이 예비부부의 의사소통과 갈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미경 (1997). 예비부부를 위한 결혼준비 교육 프로그램.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방현주 (2002). 결혼초기 부부를 위한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윤자 (2001). 교육학적 관점을 기초로 한 결혼준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1). 109-135.
유민순 (1996). 결혼예비 상담 모델.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정숙 (2008). 결혼예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은 (1993). 결혼준비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희숙 (2001). 한국 가족문화와 기독교. 한신대학교 학술원 신학연구소. 한울 아카데미.
정미향 (2000). 결혼 전 관계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검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민자 (1996). 결혼준비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 대한가정학회지 34(4) 373-391
정외숙 (2001). 결혼준비 교육을 위한 요구도 및 실시방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현숙 (2004). 결혼 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 91-101.
조연옥 (2003). 도시 교회의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 성윤리의 실태조사와 그 해결책-목동 지구촌 교회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희안 (1997). 기독교인의 성과 성생활 연구-대상관계 이론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일보, 2009년 9월 13일/2009사범연감.
Berger, R. & Hannah, M. T. (1999). Preventive approaches in couple therapy. Philadelphia: Brunner/Mazel.
Buckner, L. P. & Salt, Connie, J. (1985). A Premarital assessment program. Family Relation, 34(4): 513-520.
Holman, T. B., Busby, D., & Larson, J. H. (1989). Preparation for Marriage. Provo. UT: Brigham Young University, Marriage Study Consortium.
Jacobson, N. E., & Gurman A. S. (2002). Clinical handbook of therapy. New York; The Gilford Press.
Olson, D. H. (1980). Marriage education: An illustration of the process. Family Perspectives, 14(Winter), 27-32
Olson, D. H. (1983). How effectives is marriage preparation?, Prevention in family service Beverly Hills: Sage.
Olson, D. H., & Fournier, D., & Drukman, J. (1986). PREPARE. Mineapolis: PREPARE/ ENRICH.
Olson, D. H., & Olson, A. K. (2000). Empowering couples: Building on your strengths. Minneapolis, Minnesota; Life Innovations, Inc.
Roach, A. J., Frazier, L. P., & Bowen, S. R., (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 537-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