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재혼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가족생활적응의 관계: 가족경계혼란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Stepfamily Adjustment and Stress of Stepfamily Adolescents: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Boundary Ambiguity on Adjustmen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혼가정 청소년들의 스트레스와 가족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가족경계혼란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에 있다. 재혼가정 스트레스와 적응을 설명하는 통합적 모델에 기반 하여, 스트레스와 관련한 위험요인으로 가족경계혼란을, 보호요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설정하였고 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에 동의한 90명의 재혼가정 청소년(중1-고3)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와 가족경계혼란, 사회적 지지는 몇 가지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함께 가족생활적응의 7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와 가족경계혼란, 사회적 지지가 재혼가정 청소년의 가족생활적응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가족경계혼란, 사회적지지가 각각 스트레스와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상호작용효과의 양상을 확인해본 결과 가족경계혼란이 낮은 경우 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라 가족생활 적응수준이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가족경계혼란이 높을 경우 스트레스 수준이 가족생활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혼가정 청소년들의 가족생활 적응에 있어 높은 가족경계혼란은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 실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keywords
재혼가정, 청소년, 스트레스, 가족경계혼란, 사회적지지, 가족생활적응, stepfamily, adolescent, stress, boundary ambiguity, social support, stepfamily adjustment

Abstract

This study was plann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boundary ambiguity and the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their adjustment to a stepfamily. Data were collected from 90 adolescents aged between 13 and 19 in stepfamilies. Th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significant main effects of family boundary ambiguity and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were found. Additionally, results exhibited that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s of family boundary ambiguity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when the family boundary ambiguity was low, the stress level itself affected adolescents' adjustment to a stepfamily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mily boundary ambiguity was high, the stress level itself was not related with the level of adolescents' adjustment to a stepfamily. Implications to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keywords
재혼가정, 청소년, 스트레스, 가족경계혼란, 사회적지지, 가족생활적응, stepfamily, adolescent, stress, boundary ambiguity, social support, stepfamily adjustment

참고문헌

1.

권미경 (2006). 재혼가족 아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정책 요구조사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2.

김기태, 박미진 (2005). 여성 노인의 부정적인생활 스트레스와 탄력성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29, 71-90.

3.

김수빈, 이 숙 (2009). 아동이 지각한 일상적스트레스가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 대한가정학회지,47(2), 55-67.

4.

김승미 (1998). 초등학생과 중학생에서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영신 (2009). 재혼가족의 청소년이 지각한 친부모와의 촉진적 의사소통이 새 부모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6.

김유나 (2010). 한국 재혼가족 자녀들이 겪고 있는 주요 문제에 대한 연구. 감리교 신학대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의철, 박영신 (2004). 한국사회와 사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신뢰: 청소년과 성인의지각을 통해 본 토착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3), 103-129.

8.

김정란, 김정신 (2009). 가족기능과 가족주의가치관이 대학생의 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133-149.

9.

김효순 (2006). 재혼가족 청소년자녀의 역할긴장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지, 13(2), 187-213.

10.

김효순 (2007). 재혼가족 청소년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간발달연구,14(4), 65-86.

11.

김효순 (2010). 새부모의 양육태도유형과 재혼가족 청소년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0, 245-268.

12.

김효순, 엄명용 (2007). 청소년 자녀가 있는 재혼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 75-102.

13.

김효순, 하춘광 (2010). 재혼가족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적응 및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17(4), 67-101.

14.

박은미, 박준성, 정태연 (2009). 새터민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낙관성,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428-429.

15.

박준호, 서영석 (2010).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3), 611-629.

16.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2(4), 1147-1168.

17.

손병덕 (2009). 이혼․재혼가정 아동의 공격․위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로분석: 일반가정 아동과 비교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4), 113-136.

18.

신수진 (1999).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족주의전통.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1), 165-192.

19.

원두리 (2010).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일상에서의 의미경험, 자율적 행동조절 및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의미경험과 자율적 행동조절의 매개효과에 관한 관계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2), 295-308.

20.

윤주애 (2002). 재혼가족 청소년 자녀의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 대구 카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윤혜미, 류나미 (2007). 가족기능,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33, 215-236.

22.

이수정, 전영주 (2009). 재혼연구 동향분석: 1996~2007년 발간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 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173-195.

23.

이정림 (2001). 이혼과 재혼에 관한 청소년의 지각.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임춘희 (2006a). 재혼가정 청소년의 적응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가족관계 인식과 교육 요구도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743-760.

25.

임춘희 (2006b). 재혼가족 청소년의 친부모관계와 새부모 관계에 대한 연구-재혼가족에 대한 고정관념과 재혼가족신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3(3), 79-102.

26.

진보라 (2008). 학교 부적응과 청소년 자살 충동에 관한 연구: 우울 증세와 사회적 지지를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최은규 (2003).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직무 탈진의 관계: 사회적지지의중재효과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4),159-174.

28.

통계청. 2010년. 인구동태통계연보.

29.

현은민 (2003). 재혼가족의 아동: 가족적 사회적 측면에서 경험하는 문제와 대책 고찰.한국가족관계학회지, 8(2), 101-126.

30.

Ahrons, C. R. (2007). Family ties after divorce: Long-term implications for children. Family Process, 46(1), 53-65.

31.

Barnes, G. M., & Windle, M. (1987). Family factors in adolescent alcohol and drug abuse. Pdiatrician-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Health, 14(1-2), 13-18.

32.

Barre, M. S., Genevieve, L. A., Donald, K. F., & Jennifer, A. F. (2005). Adolescents in stepfamilies: a qualitative analysis.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44(1), 177-183.

33.

Boss, P. (1987). Family stress: Perception and context. In M. Sussman & S. Steinmetz (Eds.),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pp.695- 723). NY: Plenum Press.

34.

Boss, P., & Greenberg, J. (1984). Family boundary ambiguity: A new variable in family stress theory. Family Process, 23(4), 535-546.

35.

Brown, S. L., Manning, W. D. (2009). Family boundary ambiguity and the measurement of family structure: The significance of cohabitation. Demography, 46(1), 85-101.

36.

Carroll, J. S., Olson, C., D., & Buckmiller, N. (2007). Family boundary ambiguity: A 30-year review of theory, research, and measurement. Family Relations, 56(2), 210-230.

37.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lomatic Medicine, 38(5), 300- 314.

38.

Cohen, S. (1988). Psycho social models of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tiology of physical disease. Health Psychology, 7(3), 269-297.

39.

Cohen, W., Underwood, L. G., & Gottlieb, B. G. (2000). Social support measurement and intervention: a guide for health and social scientists. Oxford, NY: Oxford University Press.

40.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4), 385-396.

41.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Journal of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42.

Coleman, M., Ganong, L., & Fine, M. (2000). Reinvestigating remarriage: Another decade of progre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4), 1288-1307.

43.

Crosbie-Burnett, M. (1989a). Application of family stress theory to remarriage: A model for assessing and helping stepfamilies. Family Relations, 38(3), 323-331.

44.

Crosbie-Burnett, M. (1989b, November). The stepfamily adjustment scale (SAS): The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designed to measure the unique aspects of stepfamilies. Paper presented at the Theory Construction & Research Methodology Pre-Conference Workshop of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New Orleans, LA.

45.

DeGarmo, D. S., Patras, J., & Eap, S. (2008). Social support for divorced fathers' parenting: Testing a stress-buffering model. Family Relations, 57(1), 35-48.

46.

Doyle, K. W., Wolchik, S. A., & Dawson- McClure, S. (2002). Development of the stepfamily events profil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6(2), 128-143.

47.

Emery, R. E. (1994). Renegotiation family relationships: Divorce, child custody, and mediation. NY: Gilford.

48.

Frazier, P. A., Tix, A. P., Barron, K. E. (2004).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ts in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1), 115-134.

49.

Faul, F.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50.

Gerard, J. M., & Buehler, C. (2004). Cumulative environmental risk and youth problem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6(3), 702-720.

51.

Gosselin, J. (2010). Individual and family factors related to psychosocial adjustment in stepmother families with adolescents. Jorunal of Divorce & Remarriage, 51(2). 108-123.

52.

Hemovich, V., & Crano, W. D. (2009). Family structure and adolescent drug use: An exploration of single-parent families. Substance Use & Misuse, 44(14), 2099-2113.

53.

Hetherington, E. M. (1999). Should we stay together for the children? In E. Hetherington (Ed.), Coping with divorce, single parenting and remarriage (pp.93-116). Mahwah, NJ: Erlbaum.

54.

Hill, R. (1949). Families under stress. NY: Harper & Row.

55.

Hill R, (1958). Generic features of families under stress. Social Casework, 49, 139-150.

56.

Keisha, M. L., & Tamera, B. M. (2004). Attachment to par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 examination of young adult college students in intact families and stepfamili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8(4), 600-608.

57.

Kirby, J. B. (2006). From single-parent families to stepfamilies: Is the transition associated with adolescent alcohol initiation?. Journal of Family Issues, 27(5), 685-711.

58.

Lincoln, K. D., Chatters, L. M., & Taylor, R. J. (2003).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black and white americans: Differential effects of social support, negative interaction and personal control.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4(3), 390-407.

59.

Matjasko, J. L., Grunden, L. N., & Ernst, J. L. (2007). Structural and dynamic process family risk factors: Consequences for holistic adolescent function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9(3), 654-674.

60.

MuCubbin, H. I. & Patterson, J. M. (1983). The family stress process: The double ABCX model of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H. I. McCubbin., M. B. Sussman & J. M. Petterson (Eds.), Social stress and the family: Advances and developments in family stress theory and research (pp.7-37). NY: Haworth Press.

61.

Nolten, P. W.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62.

Pasley, K. (1987). Family boundary ambiguity: Perceptions of adult stepfamily members. In. K. Pasley & M. Ihinger-Tallman (Eds.), Remarriage & stepparenting: current research & theory. NY: Guilford Press.

63.

Pasley, K., & Ihinger-Tallman, M. (1982). Stress in remarried families. Family Perspective, 16(4), 181-190.

64.

Pasley, K., & Ihinger-Tallman, M. (1989). Boundary ambiguity in remarriage: Does degree of ambiguity influence marital adjustment. Family Relations, 38(1), 46-52.

65.

Pearce-McCall, D. (1988). Adult children of divor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66.

Sameroff, A. J., Seifer, R., & Barko, W. T. (1997). Environmental perspectives on adaptation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S. S. Luthar, J. A. Burack, D. Cicchetti, & J. R. Weisz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Perspective on adjustment, risk, and disorder (pp.507-526).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Scal, P., Ireland, M., & Borowsky, W. (2003). Smoking initiation among America adolescents: A risk and protective factor analysis. Jouranl of Community Health, 28(2), 79-97.

68.

Shannon, E. C. (2008). Family structure history and adolescent adjustment. Journal of Family Issues, 29(7), 944-980.

69.

Song, C., Benin, M., & Glick, J. (2012). Dropping out of high school: The effects of family structure and family transitions.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53(1), 18-33.

70.

Stewart, S. D. (2005). Boundary ambiguity in stepfamilies. Journal of Family Issues, 26(7), 1002-1029.

71.

Thoits, P. A. (1983). Dimensions of life events that influence psychological distress: An evaluation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In H. B. Kaplan (Ed.), Psychosocial stress (pp.33- 103). San Diego, CA: Academic Press.

72.

Visher, E. B., & Visher, J. S. (1979). Stepfamilies: A guide to working with stepparents and stepchildren. N. Y.: Brunner/Mazel.

73.

Whaley, L. F., & Wong, D. L. (1997). Essential of pediatric nursing (5th ed.). St. Louis: Mosb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