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화병 환자의 자애명상 치료적 경험과정에 대한 연구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Therapeutic Process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for Patients with Hwa-byung

초록

본 연구는 화병 환자를 대상으로 근거이론을 이용하여 자애명상의 치료적 경험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화병 환자 9명에게 자애명상 경험에 대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자애명상의 치료적 경험 과정은 103개의 개념, 30개의 하위 범주, 15개의 범주 및 패러다임으로 추출되었다. 중심 현상은 집착에서 벗어난 뒤 자애심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 동기, 방해 요소와 극복 과정이 인과적 조건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행동의 영향력을 자각하고 질병에 대한 통찰, 중재조건이 수용적 태도와 자기의 재발견 그리고 작용․상호작용이 일상생활의 적용과 일상생활의 변화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화병 증상이 감소하고 긍정 정서가 증가하였으며 정서적으로 안정되었고 사고가 유연해지고 자존감이 증가하며 타인에게 너그러워지는 연결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을 통해, 자애명상의 치료적 경험 과정의 핵심 범주는 자애심으로 나타났다. 자애심은 명상 참여를 시작으로 명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집착에서 벗어나면서 일어났고 일상생활 적용과 자기 성장, 삶의 변화와 순환적으로 작용․상호작용하는 모델로 완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미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Loving-kindness meditation, Hwa-byung, Ground theory, 자애명상, 화병, 근거이론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therapeutic process for patient with Hwa-byung who received Loving-Kindness meditation. Nine patients were interviewed and asked about experiences in mediation and their answers were analyzed using ground theory.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the central phenomenon was getting out of the obsessive thinking and arising compassionate mind. The casual conditions wer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obstacles of meditation, and process of overcoming obstacles. The context conditions were awaring influence of behaviour and insighting illness. The intervention conditions were an attitude to acceptance and re-awareness of self. Finally, action-interaction conditions were changes in daily life and application to daily life. Findings showed that the meditation decreased symptoms of Hwa-byung, increased positive emotions, flexible thoughts, self-esteem, and connection to others, and stabilized emotion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to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Loving-kindness meditation, Hwa-byung, Ground theory, 자애명상, 화병, 근거이론

참고문헌

1.

김종우 (2004). 화병에 대한 한의학의 이해. 의학행동과학, 3(1), 103-107.

2.

김종우 (2010). 화병역학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한 화병 환자의 특성.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1(2), 157-169.

3.

민성길 (2004). 홧병: 한국 문화와의 관련성과 그 너머. 의학행동과학, 3(1), 97-102.

4.

민성길, 이만홍, 강홍조, 이호영 (1987). 홧병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의학협회지, 30, 187-197.

5.

박미선 (2008). 홧병 환자들의 집단 음악치료에서 동료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시너지효과: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박승민, 김광수, 방기연, 오영희, 임은미 (2012). 근거이론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학지사.

7.

박영주, 김종우, 조성훈, 문소현 (2004). 화병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4(6), 1035-1046.

8.

배은주 (2009). 화병에 대한 열다한 소통의 임상적 효능평가.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73-688.

10.

어지성 (2009). 화병의 원인과 치료를 위한 사이코드라마의 활용 방안 연구: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유승연 (2010). 마음챙김명상이 화병증상과 우울, 불안,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이시형 (1977). 홧병에 대한 연구. 高醫, 1(2), 63-69.

13.

이윤희 (2003). 화병의 발생기제: 생활스트레스와 화의 경험 및 표현 그리고 성격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정연주, 김영란 (2008). 상담자의 자애명상 경험연구. 상담학 연구, 9(4), 1851-1862.

15.

정인철, 이상룡, 박양춘, 홍권의, 이용구, 강위창, 최선미, 김종우, 최강욱 (2008). 화병의 핵심증상에 대한 사암침 심정격 치료의 효과.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1), 1-18.

16.

조현주 (2009). 자기비판과 우울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자비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49-62.

17.

조현주 (2012). 자애명상 기반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개발과 효과: 우울경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827-846.

18.

홍순상, 이재은, 김호철, 조성훈 (2012). 화병에 대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의 치료효과.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3(4), 169-182.

1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6).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American Psychiatric Press; Washington, DC.

20.

Brown, K. W., Ryan, R. M., & Creswell, J. D. (2007). Mindfulnes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evidence for its salutary effects. Psychological Inquiry, 18, 211-237.

21.

Chӧdrӧn, R. (2001). Start where you are: a guide to compassionate living. Boston: Shambhala Press.

22.

Corbin, J., & Strauss, J. (2009). 근거이론[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3e]. (신경림, 김미영, 김정선, 신수진, 강지숙 공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2007년도에 출판).

23.

Creswell, J. D., Way, B. M., Eisenberger, N. I., & Lieberman, M. D. (2007). Neural correlates of dispositional mindfulness during affect labeling. Psychosomatic Medicine, 69, 560-565.

24.

Fredrickson, B. L., Cohn, M. A., Coffey, K. A., Pek, J., & Finkel, S. M. (2008). Open hearts build lives: positive emotions induced through loving-kindness mediation build consequential personal resources. Journal of Personalty and Social Psychology, 95(5), 1045-1062.

25.

Germer, C., & Siegel, R. (2012). The science of self-compassion in Compassion and Wisdom in Psychotherapy. pp.79-92. New York: Gildford Press.

26.

Gilbert, P. (2010). Compassion focused therapy. London & New York: Routledge Press.

27.

Hucherson, C. A., Seppala, E. M., & Gross, J. J. (2008). Loving-kindness meditation increases social connectedness. Emotion, 8, 720-724.

28.

Kabat-Zinn, J., Lipworth, L., & Sellers, W. (1987). Four-year of meditation based program for self-regulation of chronic pain: treatment outcomes and compliance. Clinical Journal of Pain, 2, 159-173.

29.

Larson, D. B., Koening, H. G., Kaplan, B. H., Greenberg, R. F., Logue, E., & Tyroler, H. A. (1989). The impact of religion on men's blood pressure.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8, 265-278.

30.

Lykins, E., & Baer, R. A. (2009). Psychological functioning in a sample of long-term practitioners of mindfulness.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23, 226-241.

31.

Mason, O. M., & Hargreaves, I. (2001). A qualitative study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74, 197-212.

32.

Miller, J. J., Fletcher, K., & Kabat-Zinn, J. (1995). Three year fellow-up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a mindfulness meditation-based stress reduction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17, 192-200.

33.

Min, S. K., & Suh, S. (2010). The anger syndrome hwa-byung and its comorbidit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124, 211-214.

34.

Najmi, S., Riemann, E. C., & Wegner, D. M. (2009). Managing unwanted intrusive thought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relative effectiveness of suppression, focused distraction and acceptanc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7, 494-503.

35.

Salzberg, S. (2010). The force of kindness. pp 15-39, Sounds True, Inc., Boulder CO.

36.

Segal, V. Z., Williams, G. J. M., & Teasdale, D. J. (2006).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우울증 재발방지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이우경, 조선미, 황태연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2년도 출판).

37.

Zedian, F., Grant, J. A., Brwon, C. A., Mchaffie, J. G., & Coghill, R. C. (2012). Mindfulness mediation-related pain relief: evidence for unique brain mechanisms in the regulation of pain. Neuroscience Letters, 520, 165-17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