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전문상담교사의 적응과정

The Process of Adaptation as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초록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들이 각 현장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어려움과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적응 과정을 이해하고자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 지역교육청, wee-center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 9명을 대상으로 면담한 자료를 Giorgi(1997)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구성요소와 10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 되었다. 5개의 구성요소는 ‘시작과 계기’, ‘학교 현장의 경험’, ‘위기’, ‘대처’, ‘결과’ 이었다. 전문상담교사들은 설렘과 기대를 가지고 첫 발을 내딛게 된다. 그러나 학교 현장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과 전문상담교사로서 일을 하면서 여러 가지 고충들을 경험하게 되고 그 결과 혼란과 소진으로 위기를 겪게 된다.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대처 방안들을 통해 전문상담교사로 정착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직업인으로 남게 된다. 이러한 기본구조를 통해 전문상담교사들이 근무하는 각 현장에서 적응하게 되며 진정한 전문상담교사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직업적 만족이나 행복, 일의 보람을 갖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전문상담교사, 적응, 위기, 소진,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Adaptation, Crisis, Burnout

Abstract

This study was qualitative research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which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have experienced. For this study, nine counseling teachers working at schools, offices of education in-local, and wee-centers were interviewe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y the phenomenology of Giorgi(1997). Five components and ten sub-components were found. Five components were as follows: “starting and motives”, “experiences in schools”, “crisis”, “handling”, and “result”.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started working with lots of expectation and excitement. However,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roles of counseling teachers at schools forced them to feel difficulties while working and lead them to confusion and burnout. In the middle of dealing with problems, counselors fulfilled their purpose as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or stay as-being in their offic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전문상담교사, 적응, 위기, 소진,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Adaptation, Crisis, Burnout

참고문헌

1.

공현경 (2008). 직무 스트레스와 그 선행요인에관한 연구: 전문상담교사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구본용 (1999). 중등 전문상담교사 양성제도의문제점과 발전방향. 상담교육연구, 2(1), 19-32.

3.

김동배, 권중돈 (1998).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서울: 학지사.

4.

김동일, 신을진, 안현의 (2005). 전문상담교사제도의시행과 개선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열린교육연구, 13(1), 165-182.

5.

김인규 (2009). 전문상담교사제도 발전방안 연구. 상담학연구, 10(1), 517-534.

6.

김정숙 (2010).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역할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정숙, 유금란 (2010).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53-69.

8.

김희대 (2007). 한국의 전문상담교사제도. 경기: 서현사.

9.

박성호 (2001). 상담의 직문환경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영희 (2010). 전문상담교사 직무만족도에 영향미치는 변인 탐구: 전문상담교사가 지각하는자율성과 소속 기관장의 리더십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서문희 (2011). 전문상담교사의 처우만족과 심리적 안녕감 및 소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12.

손혜진 (2010).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환경이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송재홍 (1999).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제도에관한 고찰. 상담교육연구, 2(1), 33-56.

14.

유성경, 박성호 (2002). 상담환경의 위험요소,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4(2), 289-400.

15.

윤아랑, 정남운 (2011). 상담자 소진: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31-256.

16.

이미진 (2012).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직 정체성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 소진 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지희 (2010). 전문상담교사의 능력개발을 위한요구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현아, 이기학 (2009).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적소진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83-102.

19.

조영희, 허승희 (2007).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수행 및 처우에 대한 만족도. 부산교육학연구, 20(1), 137-152.

20.

Giorgi, A. (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Phenomenology and psychology research]. (신경림, 장연집, 박인숙, 김미영, 정승은 역). 서울: 현문사(원전은 1985년에 출판).

21.

Lazarus, R. S. (1963). Personality and adjustment. N. J: Prentice Hall.

22.

Lee, S. M., Baker, C. R., Cho, S. H., Heckathorn, D. E., Holland, M. W., Newgent, R. A., Ogle, N. T., Powell, M. L., Quinn, J. J., Wallace, S. L., & Yu, K. (2007). Development and Initial Psychometrics of the Counsellor Burnout Inventor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0(3), 142-154.

23.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New York: Sage Publication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