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상담자의 타당화 개입이 자기수용, 관계맺음동기 및 부적정서에 미치는 영향: 모의상담영상 제시 실험

The Effects of Counselor’s Validation on the Self-Acceptance, the Interpersonal Reconnection Motivation, and the Negative Emotions: By showing Video of Counseling Situation

초록

본 연구는 모의상담영상을 제시를 통해 타당화 개입이 자기수용, 관계맺음동기 및 부적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참여자는 대학생 173명이었으며 세 집단으로 나뉘어 타당화 집단, 감정반영 집단, 통제 집단에 배정되었다. 모의상담영상을 관찰하는 연구 참여자가 상황에 이입할 수 있도록 가상의 시나리오를 읽고 이입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타당화, 감정반영, 통제의 세 가지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개입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자기수용, 관계맺음동기, 부적정서를 설정하였으며, 개입 이전과 개입 이후로 나누어 변화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자기수용에서는 타당화 집단이 감정반영 집단과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자기수용이 증가하였다. 관계맺음동기에서는 타당화 집단이 감정반영 집단과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계맺음동기가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적정서의 경우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가지 요인으로 분석되어 분노정서와 두려움정서로 명명하고 각각의 정서에 대해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과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노정서의 경우에는 세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두려움정서의 경우에는 타당화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두려움정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상담자의 타당화 개입은 감정반영 개입에 비해 모의상담영상 관찰자의 자기수용 및 관계맺음동기를 향상시키고 두려움정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타당화, 감정반영, 치료적 개입, 상담기법, Validation, Reflection, Therapeutic Intervention, Counseling Skills, Analogue Study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xperimentally the effects of validation by showing video of counseling situations. Participants were undergraduate students of 173.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terms of conditions, which were a validation group, reflection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Firstly, participants in the valida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elf-acceptance. Secondly, participants in the valida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interpersonal reconnection motivation. Lastly, for negative emotions, factor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negative emotions clearly. Factor analysis revealed two types of emotions: the emotion of anger and the emotion of fea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motion of anger among three groups. However, participants in different groups were different on the levels of the emotion of fear. In conclusion, validation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methods in increasing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reconnection motivation and reducing emotion of fear.

keywords
타당화, 감정반영, 치료적 개입, 상담기법, Validation, Reflection, Therapeutic Intervention, Counseling Skills, Analogue Study

참고문헌

1.

김계원, 정종진, 권희영, 이윤주, 김춘경 (2011).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521-542.

2.

김계현 (2002). 카운슬링의 실제(2판). 서울: 학지사.

3.

김원중 (1993). 상담자 자아개방이 관찰자의 상담평가에 미치는 영향: 상담자의 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김은하 (2011). Comparative effects of empathic verbal responses on negative affect after social exclusion.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은하 (2013). 상담학에서 공감 연구에 대한고찰: 국내 주용 상담학술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5), 2851-2867.

6.

김창대 (2009). 인간변화를 촉진하는 다섯 가지 조건에 관한 가설: 상담이론의 관점에서. 인간이해, 30(2), 21-43.

7.

김창대, 권경인, 한영주, 손난희 (2008). 상담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상담학연구, 9(3), 961-986.

8.

박광석 (2001). 내담자의 친애 및 지배수준과 상담자의 공감에 따른 작업동맹의 차이.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배정규 (1995). 정신분석치료에서의 공감과 인간중심치료에서의 공감. 사회과학연구 1(1), 323-335.

10.

서영석, 안창일 (2003). 문화가치에 대한 충실도, 성격유형 및 상담경험이 상담기법에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5(3), 403-421.

11.

서은경 (2011). 수퍼바이지의 완벽주의와 개인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 수치심, 자기수용, 인지대처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성예경 (2011). 상담자의 타당화가 회기평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작업동맹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유성경, 손난희, 김창대, 홍세희, 권경인, 한영주, 윤정숙, 윤정순 (2009). 상담자의 타당화 수준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0(4), 1873-1889.

14.

윤정순 (2010). 글쓰기 및 말하기의 정서표현이대인불안 성향자의 관계맺음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이수민 (2014). 상담자의 개입방법이 정서 및 상담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6.

이영희, 박외숙, 고향자 (1996). 상담자-잠재적내담자의 가치관 유사성과 기대되는 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8(1), 27-45.

17.

이정민 (2012). 사회적 배제 경험 이후 빈 의자대화를 활용한 체험 치료적 개입의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허영주 (2011). 상담자의 경력, 인지적 복잡성 및정서적 복잡성이 타당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홍창희 (2004). 한국 정서경험척도의 개발과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771-787.

20.

Angus, L. E., & Greenberg, L. S. (2011). Working with narrative in emotion-focused therapy:Changing stories, healing lives.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

Chamberlain, J. M., & Haaga, D. A. F. (2001).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and responses to negative feedback. Journal of Rational-Emotive &Cognitive-Behavior Therapy, 19, 177-189.

22.

Corsini, R. J., & Rosenberg, B. (1955). Mechanisms of group psychotherapie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1, 406-411.

23.

Corsini, R. J., & Wedding, D. (2004). 현대 심리치료 (김정희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2000에 출판).

24.

DeWall, C. N., Twenge, J. N., Gitter, S. A., & Baumeister, R. F. (2009). It's the thought that counts: The role of hostile cognition in shaping aggressive responses to social exclu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6(1), 45-59.

25.

Ekman, P. (1971). Universals and cultural differences in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19, 207-283.

26.

Greenberg, L. S. (2002). Emotional-focused therapy: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their feeling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7.

Greenberg, L. S., & Pavio, S. C. (2008). 심리치료에서 정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이홍표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7에 출판).

28.

Hayes, S. C., & Smith, S. X. (2010). 마음에서 빠져나와 삶 속으로 들어가라 (문현미, 민병배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5에 출판).

29.

Heppner, P. P., Kivlighan, D. M. Jr., & Wampold, B. E. (2008). Research design in counseling (3rd ed.). Monterey,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30.

Hill, C. E., & O' Brien, K. M. (2012). 상담의 기술 (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1999에 출판).

31.

Hillen, M. A., Van Vliet, L. M., Haes, J. C. J. M., & Smets, E. M. A. (2013). Developing and administering scripted video vignettes for experimental research of patient-provider communica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91, 295-309.

32.

Huck, S. W. (2012). Reading statistics and research (6th ed.). Boston, MA: Pearson Education.

33.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NY: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34.

Linehan, M. M. (1993).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NY:Guilford press

35.

Linehan, M. M. (1997). Validation and psychotherapy. In A. Bohart & L. S. Greenberg (Eds.), Empathy reconsidered: New directions in Psychotherapy (pp. 353-39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6.

Lynch, T. R., Champman, A. L., Rosenthal, M. Z., Kuo, J. R., & Linehan, M. M. (2006). Mechanisms of change in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Theoretical and empirical observation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2(4), 459-480.

37.

MacCluskie, K. (2012). 현대 상담기술 (홍창희, 이숙자, 정정화, 정민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0에 출판).

38.

MacDonald, G., Kingsbury, R., & Shaw, S. (2005). Adding insult to injury: Social pain theory and response to social exclusion. In K. D. Williams, J. P. Forgas, & W. von Hippel (Eds.), The social outcast: Ostracism, social exclusion, rejection, and bullying (pp. 77-90).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39.

Marra, T. (2006). 변증법적 행동치료 (신민섭 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5에출판).

40.

Rogers, C. R. (1961). On becoming a person. Boston, MA: Houghton Mifflin.

41.

Rogers, C. R. (1980). A way of being. Boston, MA:Houghton Mifflin.

42.

Rogers, C. R. (1986). Carl Rogers on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centered approach. Person-Centered Review, 1(3), 257-259.

43.

Roter, D. L., Erby, L. H., Adams, A., Buckingham, C. D., Vail, L., Realpe, A., Larson, S., & Hall, J. A. (2014). Talking about depression: An analogue study of physician gender and communication style on patient disclosur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96(3), 239-345.

44.

Twenge, J. M. (2005). When does social rejection lead to aggression? The influences of situations, narcissism, emotion, and replenishing connections. In K. D. Williams, J. P. Forgas, & W. von Hippel (Eds.), The social outcast: Ostracism, social exclusion, rejection, and bullying (pp. 201-212). New York, NY:Psychology Press.

45.

Zane, N., & Ku, H. (2014). Effects of ethnic match, gender match, acculturation, cultural identity, and face concern on self-disclosure in counseling for Asian Americans. Asian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5(1), 66-7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