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어서 실수염려 완벽주의, 사회적 지지, 우울의 매개효과를 구조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친구, 교수, 부모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각각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는 대학생, 대학원생 446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은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실수염려 완벽주의는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사이를 우울을 통해 다중 매개할 뿐, 직접 매개하지는 않았다. 친구나 교수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 역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사이를 우울을 통해 다중 매개하였으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사이를 직접 매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부모지지의 경우는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사이를 우울을 통해 다중 매개 할뿐만 아니라 직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과 대학원생들의 자살을 예방하는데 있어 부모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상담에서 갖는 함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concern over mistake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college life and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A total of 446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However, perfectionistic concern over mistakes failed to direct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but showed a serial mediating effect through depression. Social support (i.e., from friends, professors, and parents) and depression showed serial mediated relation from stress to suicidal ideation. However, only support from parents had a dir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as well.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profession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고명은 (2009).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에 따른 매개효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고병인 (1995). 대학의 정체감 위기와 정서의특징들. 한세대학교 교원논집, 5, 193-210.
고성은, 홍혜영 (2009). 중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6(11), 97-124.
권중돈, 김동배 (200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학지사.
김경희, 라만교, 권재환 (2014).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의 지지, 학습동기 및 학업적응의관계모형 검증. 아시아교육연구, 15(1), 45-69.
김계하, 신수진 (2004). 타대학 출신 여자 대학원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16(1), 51-60.
김미례 (2006).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7(3), 669-682.
김민경 (2012).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 가족탄력성 및 자존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경로모형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7(1), 61-83.
김신연, 채규만 (2013).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인간이해, 34(1), 1-13.
김의철, 박영신, 김의연, Tsuda Akira, HoriuchiSatoshi (2010).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 극복 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초, 중,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2), 197-219.
김정기, 정주리 (2015). 2014년도 재학생(학부생, 대학원생) 실태조사 분석. 대학생활연구, 28, 45-127. 포항공과대학교 상담센터.
김진희, 장은영, 김대호, 최준호, 박용천 (2011). 의과대학생들의 정신건강 및 이들의 자존감 유지전략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3(4), 295-304.
김현순, 김병석 (2008). 자살생각과 그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0), 201-219.
김현주, 노자은 (2011). 부모, 친구, 교사, 지역사회 지지와 청소년의 자살충동간 인과관계 분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2), 135-162.
노윤채, 신정숙, 박희서 (2012). 정책적 시사점도출을 위한 청소년의 학교폭력피해경험과 자살충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족지지와 친구지지,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7(8), 171-179.
박광배, 신민섭 (1990). 고등학생의 대학입시목표와 자살생각.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9(1), 20-32.
박재연, 김정기 (2014).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의지지와 친구의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1), 167-189.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백선숙, 하은호, 류언나, 송미승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8(4), 157-163.
세계일보 (2013, 6, 30). 서울대생 1년에 2명꼴‘극단적 선택’.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3/06/27/20130627025119.html 에서2015, 3, 4 자료 얻음.
심은정, 김은영, 변복수, 석미정, 최혜경 (2013). 20대를 위한 심리학. 서울: 숭실대학교 출판사.
아시아경제 (2015, 2, 12). 카이스트 대학원생숨진 채 발견. ‘자살’ 추정.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21206484682797 에서 2015, 2, 28 자료 얻음.
여환홍, 백용매 (2010). 경계선적 성격특성, 부적응적 완벽주의 및 우울이 자살관련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4), 1047-1066.
연합뉴스 (2011, 4, 11). 대학생자살 연 230명. 심리상담 강화 추진.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4/11/0200000000AKR20110411103900004.HTML?did=1179m 에서 2014, 11, 25 자료 얻음.
유상미, 이승연 (2008). 대학생의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애착유형의 조절효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2), 119-136.
이윤주 (2009). 가족지지, 부모와의 의사소통및 친밀감이 중고등학생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1(3), 57-71.
이지영 (2007). 대학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심리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이혜선, 김성연, 박 일, 강여정, 이지영, 권정혜 (2012). 대학생의 자살관련생각과 행동의 원인 및 자살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3), 703-728.
전겸구, 김교헌 (1991).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제어이론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 137-158.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정승진 (1999).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 하, 신희천 (2009). 생활사건 스트레스가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1(3), 1011-1026.
최윤정 (2012).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작용하는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3(3), 77-104.
충청투데이 (2014, 11, 25). KAIST 학생 또 자살: 청년지식메카 4년 동안 8명 하늘로.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869047 에서 2015, 3, 4 자료얻음.
통계청 (2014). 2013년 사망원인통계. 서울: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ko/5/2/index.board?bmode=read&aSeq=330389 에서2014, 11, 25 자료 얻음.
하정희, 안성희 (2008).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스, 대처방식, 완벽주의, 우울, 충동성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49-1171.
홍나미 (1998).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 임상, 19(1), 161-177.
황윤경 (1995). 청소년 또래집단의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심리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Adkins, K. K., & Parker, W. (1996). Perfectionism and suicidal preoccupation. Journal of Personality, 64(2), 529-54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Arlington, VA.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411-423.
Banyard, V. L., & Cross, C. (2008). Consequences of teen dating violence: Understanding intervening variables in ecological context. Violence Against Women, 14(9), 998-1013.
Barrios, L. C., Everett, S. A., Simon, T., R., & Brener, N. D. (2000). Suicide ideation among US college students: Associations with other risk behavior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48(5), 229-233.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343-352.
Blatt, S. J. (1995). The destructiveness of perfectionism. Implication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50(12), 1003-1020.
Bowlby, J. (1963). Pathological mourning and childhood mourning.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11, 500-541.
Burns, D. D. (1980, November).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34-52.
Chang, E. C. (1998). Cultural differences, perfectionism, and suicidal risk: Does social problem solving still matter?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2, 237-254.
Clum, G. A., & Febbraro, G. A. R. (1994). Stress, social support, and problem solving appraisal/skills: Prediction of suicide severity within a college samp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16, 69-83.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Cohen, S., & Willi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Cole, E. C., Protinsky, H. O., & Cross, L. H. (1992).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Adolescence, 27(108), 813-818.
Crosby, A. E., Han, B., Oretega, L. A. G., Parks, S. E., & Gfroerer, J. (2011).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among adults aged ≥ 18 year- United States, 2008-2009.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60(SS13), 1-22.
Dahlem, N. W., Zimet, G. D., & Walker, R. R. (1991).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 confirmation stud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7, 756-761.
Fergusson, D. M., Beautrais, A. L., & Horwood, L. J. (2003). Vulnerability and resiliency to suicidal behaviors in young people. Psychological medicine, 31, 61-73.
Fergusson, D. M., Woodward, L. J., & Horwood, L. J. (2000). Risk factors and live process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suicidal behavior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Psychological Medicine, 3(1), 23-39.
Flett, G. L., Hewitt, P. L., & Heisel, M. J. (2014). The destructiveness of perfectionism revisited: Implications for the assessment of suicide risk and the prevention of suicid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8(3), 156-172.
Frost, R. O., Marten, P. A..,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449-468.
Frost, R. O., Turcotte, T. A., Heimberg, R. G., Mattia, J. I., Holt, C. S., & Hope, D. A. (1995). Relations to mistakes among subjects high and low in perfectionistic concern over mistake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9(2), 195-205.
Furr, S. R., Westefeld, J. S., McConnell, G. N., & Jenkins, J. M. (2001). Suicide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A decade later.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2(1), 97-100.
Hewitt, P. L., & Flett, G. L. (1993). Dimensions of Perfectionism in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 58-65.
Hewitt, P. L., Flett, G. L., & Weber, C. (1994). Dimensions of perfectionism and suicide ideat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8, 439-460.
Hyun, J. K., Quinn, B. C., Madon, T., & Lustig, S. (2006). Graduate student mental health:Needs assessment and utilization of counseling service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7(3), 247-266.
Joiner, T. E. (2005). Why people die by suicid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Joiner, T., & Rudd, M. (1995). Negative attributional style for interpersonal events and the occurrence of severe interpersonal disruptions as predictors of self-reported suicidal ideat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5(2), 297-304.
Kaslow, N. J., Thmpson, M. P., Okun, A., Price, A., Young, S., Bender, M., Wyckoff, S., Twomey, H., Gildin, J., & Parker, R. (2002).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behavior in abused African American wom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0, 311-319.
Leilani, G., & Laura S. (2002). Religiosity, attributional style, and social support as psychosocial buffers for African American and White adolescents' perceived risk for suicide.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2(4), 404-417.
Moscicki, E. K. (1995). Epidemiology of suicide. International Psychogeriatics, 7, 137-148.
Nixon, P. G. (1976). The human function curve. With special reference to cardiovascular disorders: Part I. Practitioner, 217(1301), 765-770.
O'Connor, R. C. (2007). The relations between perfectionism and suicidality: A systematic review.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7, 698-714.
Quinnett, P. G. (2006). 돌이킬 수 없는 자살[Suicide: The forever decision]. (이혜선, 육성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87에 출판).
Radloff, L. S. (199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Rudd, M. D. (1990). An integrative model of suicidal ideation.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20(1), 16-30.
Rutter, M. (1987).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7, 316-331.
Stravynski, A., & Boyer, R. (2001). Loneliness in relation to suicide ideation and parasuicide:a population-wide study.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ur, 31, 32-40.
Taylor, A. B., MacKinnon, D. P., & Tein, J. Y. (2008). Tests of the three-path mediated effect.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1, 241-269.
Wang, M. C., Lightsey, O. R., Pietruszka, T., Uruk, A. C., & Wells, A. G. (2007). Purpose in life and reason for living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suicidal behavior.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2(3), 195-204.
Wilburn, V., & Smith, D. E. (2005).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n late adolescents. Adolescence, 40(157), 3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