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집단따돌림 외상 경험 및 극복 과정 연구

Research on Traumatic Bullying Experience and Its Recovery Proces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집단따돌림 피해자들이 따돌림으로 인한 외상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처 및 개입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피해자들이 어떤 관계외상을 경험했고, 어떤 과정을 거쳐 외상을 극복했는지, 그리고 외상 경험 및 극복 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 이론을 토대로 집단따돌림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극복에 대한 기준을 마련한 다음, 따돌림을 당하면서 외상과 같은 고통을 경험했지만 이를 극복한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36명을 선발해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해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106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가 나타났고, 집단따돌림 외상 경험 및 극복 과정을 반영하는 이론 모형이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집단따돌림을 당하면서 ‘바닥을 치는’ 것과 같은 심리․정서․신체적 외상을 경험했고, 홀로 견디기, 개방하기, 확장하기, 돌아보기 단계를 거치면서 집단따돌림으로 인한 외상을 극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이 외상을 극복해 나간 데에는 참여자 스스로의 부단한 노력 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개입, 환경의 변화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keywords
bullying, trauma, recovery process, grounded theory approach, 집단따돌림, 외상, 극복 과정, 근거이론 접근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realistic coping strategies for the bullied by exploring bullied victims’ experience, their recovery proces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recovery. We operationally defined bullying for the study and applied previous criteria for recovery from trauma in selecting participa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6 participants who reported having recovered from bully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applied in analyzing data, which resulted in 106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as well as a paradigm model.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hit rock bottom’ as they were experiencing bullying and that they went through four distinct phases (i.e., enduring alone, opening up, expanding, and reflecting) in recovering from traumatic bullying. Constant effort of the victims themselves, change in environment, and active support and intervention from others positively affected participants in overcoming the trauma of bullying.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bullying, trauma, recovery process, grounded theory approach, 집단따돌림, 외상, 극복 과정, 근거이론 접근

참고문헌

1.

경향신문 (2012. 2. 7). 일본 ‘이지매’ 다시 증가.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2072153105&code=970203에서 2015, 1, 6 자료 얻음.

2.

구본용 (1997).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청소년상담문제 연구보고서 29). 서울: 청소년대화의 광장.

3.

권이종 (2000). 학교 내에서의 집단따돌림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학교내의 폭력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7(2), 1-37.

4.

권준모 (1999). 한국의 왕따 현상의 개념화와 왕따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5(2), 59-72.

5.

김선애 (2004). 집단따돌림 연구경향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5(1), 73-107.

6.

김수정 (2005). 집단따돌림의 가해․피해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사회적 요인. 상담학연구, 6(2), 359-371.

7.

김순구 (2003).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순구, 김영혜, 김명희 (2004). 중, 고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극복 과정. 대한간호학회지, 34(3), 458-466.

9.

김순구, 김옥숙 (2004). 집단따돌림 극복 실패 과정. 아동과 권리, 8(1), 1-17.

10.

김순구, 이미련 (2006).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12(3), 377-385.

11.

김은정, 김인경, 정태연 (2001). 집단 괴롭힘을 당하는 집단의 심리적 취약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2), 245-257.

12.

김원중 (2004). 왕따: 의미, 실태, 원인에 관한 종합적 고찰. 상담학연구, 5(2), 451-472.

13.

김주현 (2006). 가정폭력피해여성이 폭력에서 벗어나는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김태사, 안명희 (2013). 불안정 성인애착이 심리적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대상과 정신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853-871.

15.

김혜원, 이해경 (2000). 집단괴롭힘의 가해와 피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45-64.

16.

박경숙, 손희권, 송혜정 (1998). 학생의 왕따(집단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 RR 98-1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7.

박은아 (2014). 성인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낙관성과 관계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박 진 (2003). 청소년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대처방안. 인문사회학연구소, 10, 355-369.

19.

박진규 (2000). 청소년 집단따돌림(왕따) 현상에 대한 사회 문화적 일 고찰, 청소년학 연구, 7(2), 39-71.

20.

박한샘 (2004). 이혼가족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보건복지부 (2001). 중학생의 집단따돌림 현상의 정신병리학적 연구 (GOVP1200132752). 국회전자도서관 웹사이트에서 검색: http:// dlps.nanet.go.kr/SearchDetailView.do?cn=MONO1200132752&sysid=nhn

22.

손향숙 (2005). 집단따돌림 지속의 결정요인: 피해 아동의 대처 방식, 사회적 지지 및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2(3), 223-244.

23.

양귀화 (2014).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4.

윤명숙, 박은아 (2011).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외상 후 성장관련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9, 61-89.

25.

이경희, 고재홍 (2006). 유형별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발생원인의 비교: 사회관계모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1), 23-45.

26.

이규미, 구자경, 김은정, 이시형 (2001). 외톨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47-162.

27.

이규미, 문형춘, 홍혜영 (1998). 왕따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상담사례를 통해서 본 왕따현상. 개원 1주년 기념 심포지엄, 서울특별시 청소년 종합상담실.

28.

이귀숙, 정현희 (2005). 여자 중학생의 집단따돌림과 심리사회적 적응: 2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1), 1-17.

29.

이봉건, 남재봉, 이종연, 이상익, 황순택, 김수현, 이재신 (2001). 또래아동의 비행 행동이 피해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및 그 개선방안: 집단괴롭힘 소위 “왕따” (bullying)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3), 413-441.

30.

이숙영 (2014). 북한이탈여성의 외상후성장에 관한 질적 연구: 중국 체류 시 결혼경험이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임선영 (2013). 외상적 관계상실로부터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745-772.

32.

임정란, 강영신, 문정순, 이재우 (2014). 상담교사의 대리외상과 대리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조절능력의 이중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1), 89-107.

33.

정민선 (2014). 대학생의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1), 415- 430.

34.

정여주, 김윤희 (2013). 집단따돌림 극복집단과 지속집단 구분 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가족과 상담, 3(1), 15-32.

35.

정연균, 최응렬 (2014).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도권 지역내 경찰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48, 243-276.

36.

정옥분, 정순화, 김경은, 박연정 (2008). 국내 집단따돌림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인간발달연구, 15(1), 115-137.

37.

정지선, 안현의 (2008). 청소년 학교폭력의 복합 외상(Complex Trauma)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45-160.

38.

주은선, 박은란 (2003). 집단따돌림 피해자 특성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덕성여대논문집, 32, 143-166.

39.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4). 2013년도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발표. https://www.edujikim.com/customercenter/board/default/view_b.asp?intBbsSeq=8&Page=1&intArticleSeq=97551 에서 2015, 1, 6 자료 얻음.

40.

표준국어대사전 (2015). http://stdweb2.korean.go. kr/main.jsp에서 2015, 1, 8 자료 얻음.

41.

한윤희 (2001). 집단따돌림의 가해-피해에 따른 각 집단과 성격성향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한종철, 김인경 (2000). 또래 따돌림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2), 103-114.

43.

Benedetti, F. (2011). The patient’s brain: The neuroscience behind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4.

Calhoun, L. G., Cann, A., & Tedeschi, R. G. (2010). Posttraumatic growth and culturally competent practice. In T. Weiss & R. Berger (Eds.),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 Sociocultural considerations (1st ed. pp.1-14).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45.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6).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An expanded framework. In L. G. Calhoun & R. G. Tedeschi (Eds.),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pp.3-23). Mahwah, NJ: Lawrence Erlbaum.

46.

Cortina, L. M., & Magley, V. J. (2003). Raising voice, risking retaliation: Events following interpersonal mistreatment in the workplace.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8, 247-265.

47.

Daigneault, I., Cyr, M., Tourigny, M. (2007). Exploration of recovery trajectories in sexually abused adolescents.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14(1/2), 165-184.

48.

Erikson, E.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49.

Erikson, E.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50.

Frank, J. D., & Frank, J. B. (1991). Persuasion and healing: A comparative study of psychotherapy (3rd ed.).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51.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2.

Gilmartin, B. G. (1987). Peer group antecedents of severe love-shyness in male. Journal of Personality, 55, 467-489.

53.

Gofin, R., Palti, H., & Mandel, M. (2000). Fighting among Jerusalem adolescents: personal and school-related factor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7(3), 218-223.

54.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5.

Hallberg, L. R-M., & Strandmark, K. M. (2006). Health consequences of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in the public service sector.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on Health and Well-being, 1, 109-119.

56.

Harvey, M. R. (1996). An ecological view of psychological trauma and trauma recovery.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1), 3-23.

57.

Harvey, M. R., Liang, B., Harney, P. A., Koenen, K., Tummala-Narra, P., & Lebowitz, L. (2003).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trauma impact, recovery and resiliency: Initial psychometric findings.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6(2), 87-109.

58.

Harvey, M. R., Westen, D., Lebowitz, L., Saunders, E., Avi-Yonah, O., & Harney, P. A. (1994). Multidimensional trauma recovery and resiliency interview. Cambridge, MA: The Cambridge Hospital Victims of Violence Program.

59.

Haves, S. C., Wilson, K. G., Gifford, E. V., Follette, V. M., & Strosahl, K. (1996).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4(6), 1152-1168.

60.

Herman, J. L. (1992). Complex PTSD: A syndrome in survivors of prolonged and repeated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5, 377-391.

61.

Kanetsuna, T., Smith, P. K., & Morita, Y. (2006). Coping with bulling at school: Children's recommended strategies and attitudes to school-based interventions in England and Japan. Aggressive Behavior, 32, 570-580.

62.

Karstadt, L., & Woods, S. (1999). The school bullying problem. Nursing Standard, 14(11), 32-35.

63.

Kupersmidt, J. B., Coie, J. D., & Dodge, K. A. (1990). The role of poor peer relationship in the development of disorder.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New York: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64.

Lambert, J. E., & Alhassoon, O. M. (2015). Trauma-focused therapy for refugees: Meta- analytic finding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2(1), 28-37.

65.

Morse, J. M. (2003). A Review Committee's Guide to Evaluating Qualitative Proposal.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3(6), 833-851.

66.

Muramoto, K. (2007).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trauma impact, recovery, and resilience.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14(3), 107-118.

67.

Neff, K. D., Kirkpatrick, K. L., & Rude, S. S. (2007).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1), 139-154.

68.

Olweus, D. (1973). Personality and aggression. In J. K. Cole, & D. D. Jensen (Eds.),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1972 (pp.261-321).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69.

Olweus, D. (1992). Peer victimization: antecedents and long-term outcomes. In K. H. Rubin, & J. B. Asendorf, Social withdrawal inhibition, and shyness in childhood. Hillsdale, NJ: Erlbaum.

70.

Olweus, D. (1999). Sweden. In P. K. Smith, Y. Morita, J. Junger-Tas, D. Olweus, R. Catalano, & P. Slee (Eds.), The nature of school bullying: A cross-national perspective (pp.2-27). Routledge.

71.

Pelcovitz, D., van der Kolk, B., Roth, S., Mandel, F., Kaplan, S., & Resick, P. (1997). Development of a criteria set and a structured interview for disorders of extreme stress (SIDE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0, 3-16.

72.

Schafer, M., Korn, S., Smith, P. K., Hunter, S. C., Mora-Merchan, J. A., Singer, M. M., & Meulen, K. (2004). Lonely in the crowd: Recollections of bullying.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2, 379-394.

73.

Shallcross, S. L., Frazier, P. A., & Anders, S. L. (2014). Social resources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dimensions and distress following potentially traumatic ev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1(3), 352-362.

74.

Smith, P. K., Talamelli, L., Cowie, H., Nalyor, P., & Chauhan, P. (2004). Profiles of non-victims, escaped victims, continuing victims and new victims of school bully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565-581.

75.

Strauss, A., &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1998년에 출판).

76.

Suzanne, G., Wendy, M. C., Debra, P., & Jennifer, C. (2003).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Victimization: Identifying Risk and Projective Factors. Journal of Applied School Psychology, 19(2), 139-156.

77.

van Heugten, K. (2012). Resilience as an underexplored outcome of workplace bullying.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3(3), 291-301.

78.

Vliet, K. J. V. (2008). Shame and resilience in adulthood: A grounded theory stud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5(2), 233-245.

79.

Wampold, B. E., & Budge, S. L. (2012). The 2011 Leona Tyler Award Address: The relationship-and its relationship to the common factor and specific factors of psychotherapy. The Counseling Psychologist, 40(4), 601-623.

80.

Wentzel, K. R., & Asher, S. R. (1995). The academic lives of neglected, rejected, popular and controversial children. Child Development, 66, 754-76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