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불안전 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충동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on Effect of Impulsiveness Moderated by Social Support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불안전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충동성이 매개하고, 이 과정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남 지역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과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 431명 중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361명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조절된 매개모형은 Preacher, Rucker와 Hayes(2007)가 제안한 모형을 근거로 설정하여 부트스트랩 절차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Ping(1996)의 2단계 추정법에 따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조절된 매개모형은 자료에 적합하였고 조절된 매개효과는 일부 지지되었다. 첫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충동성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사회적 지지는 애착불안과 충동성의 관계만 조절하였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 애착불안과 충동성의 관계가 충동성을 매개로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keywords
Insecure adult attachment, Impulsiveness, Smartphone addiction, Social support, 불안전 성인애착,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 사회적지지

Abstract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test whether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impulsiveness. The total of 431 undergraduat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nd the data from 361 students were analyzed because of missingness.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moderated mediation model which Preacher, Rucker, and Hayes(2007) proposed. Results showed the four noteworthy findings. First, the result indicated tha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contributed to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impulsiveness. Second,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on impulsiveness. Third,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impulsiveness. In addi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Insecure adult attachment, Impulsiveness, Smartphone addiction, Social support, 불안전 성인애착,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 사회적지지

참고문헌

1.

강주연 (2012).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희양, 박창호 (2012).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563- 580.

3.

김민선, 서영석 (2010).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성인애착에 따른 집단분류와 심리적 특성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13-434.

4.

김선희 (2002). 자기통제력과 청소년 비행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성현 (2004). 친밀관계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반응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수미, 허휴정, 조 현, 권 민, 최지혜, 안희준, 이선우, 김연지, 김대진 (2014). 대학생에서 우울, 충동성, 회복탄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53(4), 214-220.

7.

김정안 (2012). 성인애착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성과 감정표현불능성향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남현미 (1999).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맹미희 (2003). 스트레스, 자기통제력, 충동성, 자아존중감과 인터넷 중독의 상관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배주미, 조영미, 김경은 (2012). 상담자들이 인식하는 인터넷 중독 청소년 상담의 특성 분석. 상담학연구, 13(6), 2733-2761.

11.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 (2014).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5), 289-297.

12.

박영욱, 김정택 (2009). 고등학교 남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존감, 자기통제력 및 충동성과의 관계. 인간이해, 30(2), 119-134.

13.

백유미 (2015).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466-475.

14.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15.

신상윤 (2012, 1, 3) 학교폭력, 왜 중학교 2학년에 집중될까. http://news.heraldcorp.com/ view.php?ud=20120103000359&md=20120316023456_BL에서 2014, 03, 04 자료 얻음.

16.

유승숙, 최진오 (2015).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불안, 공격성의 관계: 자기통제의 조절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3(1), 131-144.

17.

윤주영, 문지숙, 김민지, 김예지, 김현아, 허보름, 김재언, 정선이, 정지은, 정현지, 이은하, 최정혜, 홍서영, 배정이, 박현주, 홍희정 (2011).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건강문제. 국가위기관리학회보, 3(2), 92-104.

18.

여지영, 강석영, 김동현 (2014). 초기 청소년의 애착불안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 외로움의 매개효과: SNS 집단과 게임 집단의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2(1), 47-69.

19.

이귀선, 정남운 (2003).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과 효과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79-793.

20.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21.

이은정 (2013).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충동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은정, 어주경 (2015). 고등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 충동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23(1), 1-22.

23.

이창호, 김경희, 장상아 (2013).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청소년보호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1-311.

24.

이현덕, 홍혜영 (2011). 중학생의 애착과 인터넷 중독성향간의 관계: 외로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8(10), 271-294.

25.

이현수 (1985). 충동성 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26.

이현주, 안명희 (2012).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청소년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 능력과 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413-434.

27.

장혜진, 채규만 (2006). 기술중독에 빠진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휴대폰 사용 중독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839-852.

28.

전효정 (2006).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따른 애착유형과 심리적 특성. 청소년학연구, 13(3), 137-159.

29.

조화진, 서영석 (2011).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471- 490.

30.

지승희, 이혜성 (2001). 회피형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 과정 및 변화 요인 연구: 애착이론적 조망에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55-73.

31.

최영희, 김민선, 서영석 (2012). 한국판 청소년또래애착 척도 타당화 연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273-296.

32.

최은미, 신점란, 배재홍, 김명식 (2014). 대학생의 우울, 불안, 충동성, 공격성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8), 329-341.

33.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보고서.

34.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

35.

허심양, 오주용, 김지혜 (2012). 한국판 Barratt 충동성 검사-11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769-782.

36.

Adams, W. W. (2006). Love, open awareness, and authenticity: A conversation with William Blake and D. W. Winnicott.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46(1), 9-35.

37.

Alberts, H. J. E. M., Martijn, C., & Vries, N. K. (2011). Fighting self-control failure: Overcoming ego depletion by increasing self-awarenes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7(1), 58-62.

3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

39.

Barrera, M. Jr. (1981). Social support in the adjustment of pregnant adolescents: Assessment issues. In B. H. Gottlieb (Ed.),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pp. 69-96). Beverly Hills: Sage.

40.

Bowlby, J. (1988). A secure base: Clinical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London: Routledge.

41.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46-76). New York: Guilford Press.

42.

Brisch, K. H. (2003). 애착장애의 치료: 이론에서 실제까지 [Bindungsstӧrungen von der bindungstheorie zur therapie. Stuttgart]. (장휘숙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1999년에 출판).

43.

Caspers, K. M., Cadoret, R. J., Langbehn, D., Yucuis, R., & Troutman, B. (2005). Contributions of attachment styl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lifetime use of illicit substances. Addictive Behaviors, 30(5), 1007-1011.

44.

Cohen, J., Cohen, P., West, S. G., & Aiken, L. S. (2003). Appli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3rd ed.). Mahwah, NJ: Erlbaum.

45.

Cyders, M. A., & Smith, G. T. (2008). Clarifying the role of personality dispositions in risk for increased gambling behavi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5(6), 503-508.

46.

Flanagin, A. J., & Metzger, M. J. (2001). Internet use in the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7(1), 153-181.

47.

Flores, P. J. (2010).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김갑중, 박찬이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8년에 출판).

48.

Floyd, F. J., & Widaman, K. F. (1995). Factor analysis in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7(3), 286-299.

49.

Fraley, R. C., & Shaver, P. R. (1997). Adult attachment and the suppression of unwanted though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5), 1080-1091.

50.

Fraley, R. C., Waller, N. G., & Brennan, K. G. (2000).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2), 350-365.

51.

Gillath, O., Bunge, S. A., Shaver, P. R., Wendelken, C., & Mikulincer, M. (2005). Attachment-style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suppress negative thoughts: exploring the neural correlates. Neuroimage, 28(4), 835-847.

52.

Gillath, O., Giebrecht, B., & Shaver, P. R. (2009). Attachment, attention, and cognitive control: Attachment style and performance on general attention task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5(4), 647-654.

53.

Hazan, C., & Hutt, M. J. (1990). Continuity and change in inner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Presented at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sonal Relationships, Oxford, England, July, 1990.

54.

Holmes, J. (1993). John Bowlby and attachment theory.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55.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56.

Kahn, L., & Antonucci, C. (1980). Convoys over the life course: Attachment, roles, and social support. In Jr B. B. Paul & B. G. Orville (Eds.),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57.

Katz, E., Blumler, J. G., & Gurevitch, M. (1974). Utilization of mass communication by the individual. In J. G. Blumler & E. Katz (Eds.),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s: Current perspectives on gratifications research (pp. 19-32). Beverly Hills, CA: Sage.

58.

Kim, J. H., Lee, E. H., & Jung, Y. S. (2012). The WHO adult ADHD self-report scale (ASR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In submitting.

59.

Kwon, S. M. (1992). Differential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automatic thoughts in depression: An integrated model of depression. Ph. D.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in Australia.

60.

Leung, L., & Wei, R. (2000). More than just talk on the move: Uses and gratifications of the cellular phone.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7(2), 308-320.

61.

Mikulincer, M., & Shaver, P. R. (2003). The attachment behavioral system in adulthood: Activation, psychodynamics, and interpersonal processes. In M. P.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San Diego, CA: Academic Press.

62.

Padykula, N. L., & Conklin, P. (2010). The self regulation model of attachment trauma and addiction.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38(4), 351-360.

63.

Patton, J. H., Stanford, M. S., & Barratt, E. S. (1995). Factor structure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1(6), 768-774.

64.

Ping, R. A. (1996). Latent variable interaction and quadratic effect estimation: A two-step technique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9(1), 166-175.

65.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66.

Rubin, M. A. (2009). Uses-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 on media effects. In J. Briant, & B. M. Oliver (Eds.),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pp. 165-184). New York: Talyor and Francis.

67.

Searle, B., & Meara, M. N. (1999). Affective dimensions of attachment style: Exploring self-reported attachment style, gender, and emotional experience among college stud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2), 147-158.

68.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69.

Vaux, A., Phillips, J., Holly, L., Thomson, B., Williams, D., & Stewart, D. (1986). The Social Support Appraisal (SS-A) scale: Studi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2), 195-219.

70.

Wallace, J. L., & Vaux, A. (1993). Social support network orientation: The role of adult attachment styl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2(3), 354-365.

71.

Wallin, D. J. (2010). 애착과 심리치료 [Attachment in psychotherapy]. (김진숙, 이지연, 윤숙경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7년에 출판).

72.

West, S. G., Aiken, L. S., & Krull, J. L. (1996). Experimental personality designs: Analyzing categorial by continuous variable interactions. Journal of Personality, 64(1), 1-48.

73.

Worthington, R. L., & Whittaker, T. A. (2006). Scale development research: A content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for best practice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4(6), 806-838.

74.

Wu, A. D., & Zumbo, B. D. (2008). Understanding and using mediators and modera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7(3), 367-392.

75.

Young, K. S. (1996).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1(3), 237-24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