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상담에서의 상담자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The Study of Counselor’s Experience and Perception about Counseling for Bully of School Violence

초록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상담이 실제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상담자들은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는지 확인하여 효과적인 가해자 상담을 위한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가해자 상담 경험이 있는 12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CQR) 방법을 사용하여 면접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담자들은 선입견과 편견 없는 태도로 내담자를 대하는 것, 억울한 정서를 다뤄주는 것 등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학교폭력 관련 행동이 감소하는 것을 가장 주요한 상담 성과로 인식하였다. 또한, 상담자들은 내담자의 비자발적, 비협조적 태도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각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내담자의 정서를 다루고, 치료적인 관계를 촉진하고자 노력하였다. 상담자들은 가해자 상담의 단기성과 사후관리의 부재 등을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관기관 간 연계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 가해자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school violence, bully`s counseling, counselor`s perception,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학교폭력, 가해자 상담, 상담자 인식, 합의적 질적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o counsel for bully in practice and to provide considerations for making counseling more effective. To accomplish the purpose,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as executed to twelve counselors and scripts of interview were analyzed by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highlight the attitude without prejudice or bias and their main intervention is dealing with feeling caused by unfair situation. In terms of counseling outcome, participants report that reducing of behaviors related with school violence is major outcome. Also, participants perceive the involuntary or uncooperative attitude of clie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hindering change of clients as obstacles. They report that problems of counseling for bully are providing service too short and lack of follow-up service. Lastly, participants propose that counseling strategies as well as knowledge about law and policies related with school violence is important as counselor`s competencies.

keywords
school violence, bully`s counseling, counselor`s perception,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학교폭력, 가해자 상담, 상담자 인식, 합의적 질적 연구

참고문헌

1.

강소영, 이기수 (2014). 학교폭력 가해자의 가정적 요인과 경찰의 대응방안. 경찰법연구, 12(1), 59-83.

2.

권선애, 안 석 (2012).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학생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연구: 정신역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3(3), 9-57.

3.

김도연 (2011). 초등학교 상담에서 나타난 정서행동문제유형과 상담자 역할에 대한 분석–지역사회정신건강 전문기관과 연계된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9), 363-383.

4.

김수연, 장재홍 (2011).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기대가 작업동맹 및 상담성과에 미치는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9(2), 155-170.

5.

김은희, 주은선 (2001). 내담자 변인과 상담형태에 따른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감연구–중학생과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 51-77.

6.

김지영, 정정숙 (2011). 중학생들의 학교폭력가해행동 재발방지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18(8), 141-159.

7.

김하강 (2010).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김현욱, 안세근 (2013). 학교폭력 가해자 심리와 가해자 유형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5), 19-40.

9.

김혜원, 김난영 (2009). 청소년들의 상담경험현황과 사회적․심리적 특성에 따른 상담기대의 차이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1(1), 51-77.

10.

김화숙, 한미경, 천성문 (2010). 학교폭력 가해자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폭력가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상담평가연구, 3(2), 47-57.

11.

문영희 (2014).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상 가해학생 조치에 관한 비판적 검토. 법과 정책연구, 14(4), 1905-1932.

12.

박남이 (2013).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아동의 공격성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박미은, 신희정, 이미림, 김성자 (2010). 가정폭력 상담원들의 개인적 경험을 통한 상담에서의 역전이 현상. 사회과학연구, 26(4), 1-23.

14.

박상근, 윤초희 (2013).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상담 및 심리치료 프로그램과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5.

박성희 (2015). 청소년 가해자의 생애사 재구성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방안.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1), 33-57.

16.

박은숙 (2008). 애니어그램을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방숙영 (2005). 독서요법을 통한 청소년의 학교폭력행동 개선에 관한 연구: 중학교 폭력 가해학생을 대상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배원섭, 성희자 (2014). 학교폭력 가해학생의조치에 대한 연구: 학교폭력예방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4), 269-287.

19.

서정기 (2011). 학교폭력에 따른 갈등경험과 해결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회복적 정의에입각한 피해자-가해자 대화모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서정기 (2013). 학교폭력 이후 가해자 및 가해자 가족의 갈등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회복적 사업의 실천을 중심으로. 범죄예방정책연구, 25, 99-157.

21.

양미진, 이영희 (2006). 질적 분석을 통한 비자발적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지속요인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1-20.

22.

연문희, 박남숙 (2001). 교육과 상담에서의 질적연구. 연세교육연구, 14(1), 243-263.

23.

염영미 (2012).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을 위한 명상활용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4.

오은경 (2006). 애니어그램 프로그램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오인수 (2010). 집단따돌림 해결을 위한 전문상담교사의 전학교 접근. 상담학연구, 11(1), 303-316.

26.

이근배 (2014). 현장중심의 학교 폭력 상담 전략및 실제. 한국인간발달학회 추계학술대회.

27.

이문자 (2003).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가해행동의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이소연, 최바울, 이정선, 서영석 (2014). 수퍼바이저가 경험한 상담수련생의 전문적 역량의 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245-270.

29.

이윤주, 문명현, 송영희, 김미연, 김예주, 김여흠, 지연정 (2014). 알기 쉬운 상담 연구 방법: 학위논문 작성에서 학술논문 투고까지. 서울: 학지사.

30.

임구원 (2009). 학교폭력 유형별 발생실태에따른 중학생들의 인식연구: 문경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16, 21-36.

31.

지승희, 오혜영 (2013). 상담 분야의 CQR 연구동향: 2001~2010년 상담관련 국내 학술지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4), 2327-2349.

32.

최상열, 이근매 (2015).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미술치료연구, 22(2), 363-383.

33.

최성곤 (2008). 유도 수련에 따른 학교폭력 가해행동과 자아존중감의 관련성. 용인대학교석사학위 논문.

34.

한국청소년상담원 (2005). 경찰 다이버전 체제운영을 위한 학교폭력 가해자 상담모형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35.

홍지영 (2014). 학교폭력 사건 처리과정에 대한 학교상담자의 경험과 인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3), 585-619.

36.

American School Counselor Association. (2005). The ASCA national model: a framework for school counseling programs(2nd ed.). Alexandria, VA:Author.

37.

Biemesser, K., Hamilton, C., Hardy, V., Niebergall, S., Sun, L. L., & Young, A. (2009). Empowering students: using data to transform a bully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12(6), 413-420.

38.

Cottle, T. J. (2004). Feeling scared. Educational Horizons, 83, 42-54.

39.

Digiuseppe, R., Linscott, J., & Jilton, R. (1996). The therapeutic alliance in adolescent psychotherapy. Applied and Preventative Psychology, 5, 85-100.

40.

Gall, M. D., Gall, J. P., & Borg, W. R. (2003). Educational research: An introduction (7th ed.). Boston, MA: Allyn & Bacon.

41.

Hill, C. E., (2012). Introduction to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In C. E. Hill (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pp.3-20).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2.

Hill, C. E., Thompson, B. J., Hess, S. A., Knox, S., Williams, E. N.,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43.

Hogan, K. F., Hegarty, J. R., Ward, T., & Dodd, L. J. (2012). Counsellor’s experiences of working with male victims of female perpetrated domestic abuse.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12(1), 44-52.

44.

Jarvinen, D. W., & Nicholls, J. G. (1996). Adolescents' social goals, beliefs about the causes of social success, and satisfaction in peer rel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32, 435-441.

45.

McAdams, C. R., & Schmidt, C. D. (2007). How to help a bully: recommendations for counseling the proactive aggress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11(2), 120-128.

46.

Merten, D. E. (1997). The Meaning of Meanness:Popularity, Competition, and Conflict among Junior High School Girls. Sociology of Education, 70, 175-191.

47.

Sutton, J. (2001). Bullies: Thugs or thinkers? Psychologist, 14(10), 530-53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