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대학상담센터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회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recovery from burnout among counselors 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들의 심리적 소진 회복 경험을 살펴보고, 상담자에게 심리적 소진으로부터의 회복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 이상 전일제 상담자로 대학상담센터에서 근무하면서 심리적 소진과 회복을 경험했던 전문상담자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뒤, 이를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 영역과 10개 하위영역, 27개 범주가 도출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심리적 소진 회복으로 인한 변화’(개인 내적 변화, 상담 내에서의 변화, 조직 내에서의 변화), ‘심리적 소진 회복을 촉진하는 요인’(개인 내적 요인, 조직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 ‘심리적 소진과 회복의 의미’(성장과 성숙의 기회, 자기점검이 필요하다는 신호, 자기성찰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계기, 실존적 태도 형성의 토대) 등의 영역과 하위영역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선행연구와 달리 심리적 소진 회복에 대해 탐색하고, 이를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특히 근무환경에 따라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 경험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대학상담센터에 근무하는 상담자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상담센터 상담자들의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 할 수 있었다.

keywords
상담자, 심리적 소진(burnout) 회복, 대학상담센터, 합의적 질적 분석(CQR), counselor, burnout recovery, college counseling cente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unselors’ experiences regarding burnout recovery and the meaning of burnout recovery for counselors. A total of 14 professional counselors who had worked for at least 4 years and experienced burnout and burnout recovery at a college counseling center participated in one-to-one interviews. Analysis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revealed 3 domains, 10 sub-domains, and 27 categories. The domains and sub-domains included three main ideas; changes by burnout recovery, factors facilitating burnout recovery, and the meaning of burnout recovery. Changes by burnout recovery were comprised of internal changes, changes in the counseling session, and changes within the organization. Factors facilitating recovery included internal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The meaning of burnout recovery included the opportunity for growth and maturity, a signal for self-monitoring, opportunity fo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and development of existential attitudes.

keywords
상담자, 심리적 소진(burnout) 회복, 대학상담센터, 합의적 질적 분석(CQR), counselor, burnout recovery, college counseling cente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참고문헌

1.

강훈구 (2013). 대학 학생상담센터의 위기관리향상을 위한 전략적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2.

교육부 (2014). 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http://kess.kedi.re.kr에서 2015, 6, 21자료 얻음.

3.

권경인, 김창대 (2007). 한국 집단 상담 대가의특성 분석. 상담학연구, 8(3), 979-1010.

4.

금명자 (2010). 대학평가관련 대학상담센터활성화 방안. 대학생활연구, 16(1), 1-15.

5.

김명훈, 정영윤 (1991). 大學學生生活硏究所의發展方案. 大學相談硏究. 3(1), 1-16.

6.

김정택, 유영권, 천성문, 조성호, 금명자 (2012). 토론회: 대학상담소 운영의 현황과 미래. 인간이해, 33(2), 1-20.

7.

김정희 (2001). 상담자의 자기관리. 한국 상담및 심리치료학회 제11회 상담심리사 수련과정, pp. 3-18. 6월 26일. 서울; 한양대학교.

8.

김진숙 (2002). 청소년상담자들의 실무경험과전문적 발달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863-886.

9.

박제일 (2005). 전국대학(교) 학생생활상담관련기관 현황조사. 전국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협의회 하계연차대회. 6월 23일. 경주; 현대호텔.

10.

배기연 (2014).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한국과 일본어머니의 직업가치관, 자녀진로기대와 진로지도의 비교.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배윤민 (2014). 가족상담자의 소진 대처 및 극복의 의미.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손은령, 고흥월, 이순희 (2013). 한․미 대학상담 기관 운영 실태 비교. 교육연구논총, 34(1), 291-309.

13.

오현수, 한재희 (2009). 상담전문가 발달과정에서의 좌절극복경험 분석. 상담학 연구, 10(1), 1598-2068.

14.

유성경, 박성호 (2002). 상담환경의 위험요소,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상담및 심리치료, 14(2), 389-400.

15.

윤아랑 (2012). 상담자 소진과 관련된 위험요인및 보호요인들: 내적 보호 요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윤아랑, 정남운 (2011). 상담자 소진: 개관.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31-256.

17.

윤은주 (2009). 상담자 소진에 대한 체험분석. 상담학연구, 10(4), 1855-1871.

18.

이소연, 박남숙 (2014).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조절효과: 청소년 상담자와 대학상담자를 중심으로. 인간이해, 35(1), 73-92.

19.

이영란 (2006). 상담자 소진과 5요인 성격특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영은, 차영은, 민경화 (2013). 대학상담소 접수면접 체제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인간이해, 34(2), 1-19.

21.

이은경 (2011). 대학상담자의 직무분석 및 직무만족도. 전국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협의회하계연차대회. 6월 20일. 제주; 신라호텔.

22.

이혜련 (2004). 직업상담원의 소진현상과 작업환경과의 관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홍숙, 주수현, 김효정 (2011). 인턴상담원의상담자 발달에서의 결정적 사건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833-859.

24.

최윤미 (2003). 한국 상담전문가의 역할과 직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179-200.

25.

최윤미, 양난미, 이지연 (2002). 상담자 소진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4(3), 581-598.

26.

최태경 (2005). 동아 새국어사전. 서울: ㈜두산동아.

27.

최혜영 (2010). 소진의 개념 분석. 간호과학, 22(2), 27-38.

28.

최혜윤, 정남운 (2003).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279-300.

29.

홍준호 (2004). 상담자의 자아강도와 사회적지지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Ackerley, G. D., Burnell, J., Holder, D. C., & Kurdek, L. A. (1988). Burnout among licensed psychologists. Professional Psychology:Research and Practice, 19(6), 624-631.

31.

Bernier, D. (1998). A study of coping: severe burnout and work-related stress successful recovery from other reactions to severe. Work & Stress, 12(1), 50-65.

32.

Boštjančič, E., & Koračin, N. (2014). Returning to work after suffering from burnout syndrome: Perceived changes in personality, views, values, and behaviors connected with work. Psihologija, 47(1), 131-147.

33.

Clark. C. C. (1980). Burnout: assessment and interventio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0, 39-43.

34.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57.

35.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36.

Freudenberger, H. J. (1975). The Staff burn-out syndrome in alternative institution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2(1), 72-82.

37.

Golembiewski, R. T., & Boss, R. W. (1991). Shelving levels of burnout for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A note on the stability of phases. Journal of Health and Human Resources Administration, 13, 409-420.

38.

Golembiewski, R. T., & Munzenrider, R. F., (1988). Phases of Burnout. New York: Praeger.

39.

Hallsten, L. (1993). Burning out: A framework. In W. B. Schaufeli, C. Maslach, & T. Marek (Eds.),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pp. 95-113).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40.

Hemmelgarn, A. L., Glisson, C., & James, L. R. (2006). Organizational culture and climate:Implications for services and interventions research.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3, 73-89.

41.

Hill, C. E. (2012).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2.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43.

Hirai, T. (2010). Person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aster therapists: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n expertise in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in Jap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sota. USA.

44.

Jennings, L., & Skovholt, T. M. (1999). The cognitive, emotion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master therapis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1), 3-11.

45.

Kottler, J. A. (2010). On being a therapist. New York: John Wiley & Sons.

46.

Lee, S. M., Baker, C. R., Cho, S. H., Heckathorn, D. E., Holland, M. W., Newgent, R. A., Ogle, N. T., Powell, M. L., Quinn, J. J., Wallace, S. L., & Yu, K. (2007). Development and initial psychometrics of the counselor burnout inventor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0(3), 142-154.

47.

Maslach, C., & Leiter, M. P. (1997). The truth about burnout. San Francisco: Jossey-Bass.

48.

Nelson, K. W., & Jackson, S. A. (2003). Professional counselor identity development: A qualitative study of hispanic student interns.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43(1), 2-14.

49.

Pines, A. M., & Maslach, C. (1978). Characteristics of staff burnout in mental health setting.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29(4), 233-237.

50.

Raquepaw, J. M., & Miller, R. S. (1989). Psychotherapist burnout: A componential analysis. Profession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0(1), 32-36.

51.

Regedanz, K. (2008). Job burnout recove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stitut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California. USA.

52.

Ross, R. R., Altmaier, E. M., & Russell, D. W. (1989).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ing center staf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4), 464-470.

53.

Rupert, P. A., & Kent, J. S. (2007). Gender and work setting differences in career-sustaining behaviors and burnout among professional psycholog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8(1), 88-96.

54.

Rupert, P. A., & Morgan, D. J. (2005). Work setting and burnout among professional psycholog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6(5), 544-550.

55.

Seltzer, J., & Miller, L. (1994). Recovery from burnout: An examination of predictors. Journal of Health and Human Resources Administration, 16(3), 244-251.

56.

Skovholt, T. M. (2003).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도울 수 있다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prevention and self-care strateg]. (유성경, 유정이, 이윤주, 김선경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1년에 출판).

57.

Skovholt, T. M., & Jennings, L. (2008). 심리치료의 거장 [Master therapists]. (유정이, 유성경, 이문희, 박정민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2004년에 출판).

58.

Souders (2009). Counselor trainees' perceptions of their personal growth: A qualitative inqui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Western Michigan University. Kalamazoo. USA.

59.

Sӧderfeldt, M., Sӧderfeldt, B., & Warg, L. E. (1995). Burnout in Social Work. Social Work, 40(5), 638-646.

60.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The found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Inquiry, 15, 93-102.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