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 between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n University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Meaning in life and Active Stress Coping Method

초록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척도, 삶의 의미 척도,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삶의 의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인의 개별 부분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 하였다.

keywords
자아탄력성, 삶의 의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외상 후 성장, ego-resilience, meaning in life, active stress coping method, post-traumatic growth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eaning in life and active stress coping method in relations between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to verify their structural rel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with 258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ego-resilience, meaning in life, stress coping method, and post-traumatic growth. Data were analyzed with correlation and test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go-resilience, meaning in life, and active stress coping method are turned out to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post-traumatic growth. Second, meaning in life and active stress coping method had partial du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dditional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two intervening variables was also found.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keywords
자아탄력성, 삶의 의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외상 후 성장, ego-resilience, meaning in life, active stress coping method, post-traumatic growth

참고문헌

1.

김대권 (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보라, 신희천 (2010).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17-136.

3.

김에스더 (2015). 감사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은미 (2015).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와문제중심대처를 매개변인으로 한 구조적 관계분석.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현정, 함경애, 이동훈 (2014). 실직자의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787-804.

7.

김혜진 (2015). 학업탄력성을 매개로 한 대학생의외상 후 성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단두리 (2013). 자아탄력성 및 자기노출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보경 (2013). 대학생의 탄력성, 삶의 의미, 의도적 반추 및 외상 후 성장의 관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선정 (2015). 부모상실경험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가족탄력성, 의도적 반추,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박소윤 (2015).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진아, 이은경 (2011).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7(3), 267-276.

13.

박효서 (1999). 자기위로능력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배상정, 양난미 (2014). 영성, 희망, 외상 후 성장과 삶의 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6(3), 597-616.

15.

배병렬 (2009). Amos 17.0 구조방정식 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16.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2(4), 1147-1168.

17.

송리라 (2014). 탈중심화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의미부여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

송주연, 이희경 (2010).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희망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를 매개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1(4). 1501-1517.

20.

송현, 이영순 (2011).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2(4), 1231-1246.

21.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23.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24.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 효과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25.

유희정 (2012).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윤명숙, 김남희 (2013). 부모상실대학생의 외상후 성장 영향 요인: 사별, 이혼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1(2), 177-201.

27.

이경숙 (2012).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간의 관계에 미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동귀, 김혜영, 최해연 (2008). 정서인식 및표현양식에 따른 하위집단과 심리적 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15.

29.

이미애, 남기민 (2007). 스트레스 대처방안을매개로 한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살생각간의 관계.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34, 307-325.

30.

이슬기 (2015). 외상 후 인지와 외상 후 성장의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대인관계적 외상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 후 성장에 대한연구개관: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23.

32.

이지영 (2014). 반추 양식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정서 및 인지적 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현주 (2012).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검증 및 아기 장래 결정에 따른 집단 간비교연구: Lazarus and Folkman의Stress-Coping-Adaptation model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이현주 (2015). 대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관련요인.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임상희 (2005).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와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36.

장경문 (2003).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련.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0(4), 143-161.

37.

전보람 (2012). 위협지각, 낙관성 및 삶의 의미가암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정미영 (2010). 삶의 의미발견과정에 관한 연구:의미추구, 의미발견, 사생관 및 가치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정연균 (2015).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의 구조관계 검증.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조은향 (2009).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긍정 및 부정정서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검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최승미, 김영재, 권정혜 (2013). 인지적, 문제해결적 행동대처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인지행동치료 13(2). 307-328.

43.

최정윤 (2014). 종교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를 매개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하정혜 (2014). 중년여성 한부모의 성역할갈등,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한경아 (2016).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예측모형.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6.

한영민 (2010).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한유미 (2015). 이성교제에서 이별을 경험한 미혼남녀의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영향: 용서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한인영, 이인정 (2011). 암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42(2). 419-441.

49.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411-423.

5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51.

Bellizzi, K. M., & Blank, O. B. (2006).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 Psychol, 25, 47-56.

52.

Block, J. H.,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58-167.

53.

Bonanno, G. A. (2004).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estimate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s?. American Psychologist, 59, 20-28.

54.

Calhoun, L. G., Cann, A., Tedeschi, R. G., & McMillan, J. (2000). A correlational test or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Trauma Stress, 13, 521-527.

55.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4). The found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New considerations. Psychological Inquiry, 15, 93-102.

56.

Davis, C. G., Wortman, C. B., Lehman, D. E., & Silver, R. C. (2000). Searching for meaning in loss: Are clinical assumptions correct?. Death Studies, 24, 497-540.

57.

Emmons, R. A. (1999). The psychology of ultimate concerns: Motivation and spirituality in personality. New York: The Guilford Press.

58.

Folkman, S., & Lazarus, R.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59.

Greenberg, M. A. (1995). Cognitive processing of traumas: The role of intrusive thoughts and reappraisal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5, 1262-1296.

60.

Hu, L. Z., & Bentler, P. M. (1999).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61.

Janoff-Balman, R. (2004). Posttraumatic growth:Three explanatory models. Psychological Inquiry, 15(1), 30-34.

62.

Krause, N. (1998). Stressors in highly valued roles, religious coping, and mortality. Psychology and Ageing, 13(2), 242-255.

63.

Lazarus, R. S. (2000). Toward better research on stress and cop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65-673.

64.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1), 11-21.

65.

Maercker, A., & Langner, R. (2001). Posttraumatic personal growth: Validation of german version of 2 questionnaires. Diagnostics(German), 47, 153-162.

66.

McMillen, J. C. (1999). Better for it: How people benefit from adversity. Social Work, 44, 455-468.

67.

Michael, S. T., & Snyder, C. R. (2005). Getting unstuck: The roles of hope, finding meaning, and rumination in the adjustment to berea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Death Studies, 29, 435-458.

68.

Park, C. L. (1998). Stress-related growth and thriving through coping: the roles of personality and cognitive processes. Journal of Social Issues, 54, 267-277.

69.

Park, C. L., & Ai, A. L. (2006). Meaning making and growth: New directions for research on survivors of trauma. Journal of Loss and Trauma, 11, 389-407.

70.

Park, C. L., Cohen, L. H., & Murch, R. L. (1996). Assessment and predictions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64(1), 71-105.

71.

Schaefer, J. A., & Moos, R. H. (1998). The context for posttraumatic growth: Life crises, individual and social resources, and coping. In R. G. Tedeschi, C. L. Park, & L. G. Calhoun(Eds.),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c hanges in aftermath of crisis(pp. 99-125).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2.

Shrout, P. E., & Blo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45.

73.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innesota.

74.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rler, M. (2006).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 80-93.

75.

Taylor, S. E. (1983). Adjustment to threatening events: A theory of cognitive adaptation. American Psychologist, 38, 1161-1173.

76.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 455-471.

77.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 1-1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