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진로지속 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Highly Educated Married Korean Women’s Career Persistence Motivation: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학력 기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진로지속 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였다. 연구 1에서는 설문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경력중단 경험이 없는 고학력 기혼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도출된 진술문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진로지속 동기 척도 예비문항들을 제작하였다. 또한 척도의 하위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고학력 기혼 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자아실현과 일에 대한 만족(10문항), 가족생활 지원 및 경제적 독립(6문항), 가족 및 주변의 기대(5문항), 육아와 가사에 대한 낮은 흥미(5문항), 경력단절의 두려움(4문항) 총 5요인 30문항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된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진로지속 동기 척도 문항들이 다른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자료를 적절히 설명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고학력 기혼 여성 48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2에서 도출된 하위요인과 문항들이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자료를 적합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서의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진로지속 동기의 이해와 활용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keywords
career persistence motivation,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highly educated married Korean women, 진로지속 동기 척도, 고학력 기혼 여성, 척도개발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arried Korean Women’s Career Persistence Motivation Scale (KWCPMS). Study 1 addressed procedures to identify items used to measure the motivational aspects of married women’s career persistence and explore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items vi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Study 2 tested the construct validity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e 5-factor solution identified via the EFA to be acceptable.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oncurrent validities were also examined via correlation studies with measures of intrinsic motivation, burnout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including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KWCPMS are satisfactory.

keywords
career persistence motivation,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highly educated married Korean women, 진로지속 동기 척도, 고학력 기혼 여성, 척도개발

참고문헌

1.

김강호, 임현선, 강옥희 (2013). 여성 경력단절 방지 지원 실태와 기업 운영 사례연구. 서울:고용노동부.

2.

김민선 (2014a). 고학력 기혼 여성들이 지각한회사의 지지와 경력몰입의 관계: 내재적동기와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26(3), 1151-1176.

3.

김민선 (2014b). 다중역할에 대한 회사의 지지, 남편의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30대대졸 기혼 직장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8(3), 1-20.

4.

김민선, 서영석 (2015).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진로지속 동기에 따른 집단분류와 직무소진, 삶의 만족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27(2), 425-443.

5.

김복순 (2014). 고학력 기혼 여성(35-39세)의 일자리 변화. 노동리뷰, 108, 97-99.

6.

김영옥, 최숙희, 전기택, 이선행 (2007). 출산․육아로 인한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방지를 위한 정책 방안. 서울: 고용노동부.

7.

김지경 (2004).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3), 91-104.

8.

김정인 (2014). 남을 것인가? 떠날 것인가?: 직무동기와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영향 연구. 행정총론, 52(2), 257-286.

9.

민현주 (2012).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 분석. 한국인구학, 34(1), 53-72.

10.

박수미 (2003). 한국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 19(1), 43-80.

11.

박수범, 김난주, 권희정 (2014). 여성 경력단절예방 재정사업의 성인지적 분석. 한국여성정책 연구원.

12.

신강현 (2003).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소진척도(MBI-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업 및 조직, 16, 1-17.

13.

양난미 (2015). 한국판 대학생활 음주 중요성인식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27(1), 41-61.

14.

엄경애 (2010). 고학력 여성의 경력단절 및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엄경애, 양성은 (2011).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및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 1-138.

16.

윤혜경 (2007).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탐색 경험 분석: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중장년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7.

이소연, 박남숙 (2014).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조절효과: 청소년상담자와 대학 상담자를 중심으로. 인간이해, 35(1), 73-92.

18.

이수분, 이정희 (2010).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29(3), 187-208.

19.

이수분, 이정희 (2014). 취업준비 기혼여성의진로선택에 관한 질적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6, 165-185.

20.

이수연, 김인순, 김지현, 김진아 (2012). 한국형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여성연구, 82(1), 5-33.

21.

이유진, 김의준 (2014). 기혼 여성 재취업의 동태적 분석: 고학력 집단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32(4), 87-114.

22.

이현숙 (2004). 기혼 여성의 노동단절과 지속에관한 연구: 여성 경찰관의 노동 경험을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이현아, 조한익 (2013). 완벽주의와 학업열의및 학업소진과의 관계: 동기와 목표과정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심리치료, 25(3), 575-601.

24.

이희정, 김금미 (2010).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2), 623-640.

25.

임수진, 김해숙 (2011). 자기 효능감, 지각된지지, 내재적 동기가 성폭력 상담소 종사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지, 16(4), 461-475.

26.

원숙연 (2015). 이질동형? 동질이형? 한국-미국-스웨덴의 여성노동에 대한 고정관념적 인식 구조와 함의. 정부학연구, 21(2), 171-199.

27.

장서영 (2006). 고학력 경력차단 여성의 경력개발프로그램 운영자매뉴얼.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8.

장서영 (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74(1), 79-104.

29.

장서영, 오민홍, 은혜경, 최미정 (2007). 경력단절 여성 취업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30.

전예니 (2011). 경력 단절 여성의 생활사건 경험이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정명혜 (2012). 중년 기혼 여성의 취업경력 지속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호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2.

정영숙 (2004). 여성의 정체감과 직업의식: 여성과 직업. 서울: 시그마프레스.

33.

조순일 (2009).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관한 연구: 고학력 여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조호정 (2012). 배워서 남 안 주는 대한민국고학력 여성들. 현대경제연구원.

35.

최영숙 (2004). 진로장벽에 직면한 직업복귀 여성의 진로타협 유형 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최윤정, 김계현 (2007).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Concept Mapping)연구: 진로지속 여성과 중단 여성간의 비교. 상담학연구, 8(3), 1031-1045.

37.

최진훈 (2008). 근로자의 놀이성이 일에 대한 내재적 동기와 업무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8.

최효미 (2014).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와저임금근로의 상태의존성. 한국노동연구원.

39.

통계청 (2013).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40.

통계청 (2014). 2014 사회통계 조사. 통계청.

41.

한정원 (1997). 정서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2.

한은숙, 이희경 (2013). 직장인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25(2), 351-370.

43.

Arrindell, W. A., Meeuwesen, L., & Huyse, F. J. (1991).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Psychometric properties in a nonpsychiatric medical outpatients samp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2(2), 117-123.

44.

Beavers, A. S., Lounsbury, J. W., Richards, J. K., Huck, S. W., Skolits, G. J., & Esquivel, S. L. (2013).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educational research.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Evaluation, 18(6), 1-13.

45.

Bezzina, F., Azzopardi, R. M., & Vella, G. (2013). Understanding and assessing the work motivations of employed women: Insights into increasing female participation rates in the maltese labor market. Sage Open, 3(3), 1-14.

46.

Blau, G. J. (1993). Operationalizing direction and level of effort and testing their relationships to individual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5(1), 152-170.

47.

Borg A., & Vella M. (2007). Women and work:Findings from a study on the work aspirations of Maltese women. Hal-Far, Malta: Employment and Training Corporation.

48.

Connell, J., & Wellborn, J. (1991).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 A motivational analysis of self-system processes. In M. Gunnar & L. Sroufe (Eds.),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 Self processes in development (Vol. 23, pp. 43-77).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9.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50.

Dubey, N., & Tiwari, V. (2014). Factors affecting career aspiration among married women. Indian Journal of Health and Wellbeing, 5(7), 59-63.

51.

Elliot, A. J. (1999).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s and achievement goals. Educational Psychologist, 34, 169-189.

52.

Elliot, A. J. (2005). A conceptual history of the achievement goal construct. In A. Elliot & C. Dweck (Eds.), Handbook of competence and motivation (pp. 52-72). New York, NY:Guilford.

53.

Fernet, C.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Work Role Motivation Scale for School Principals (WRMS-SDP).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47(2), 307-331.

54.

Ferris, D. L., Johnson, R. E., Rosen, C. C., Djurdjevic, E., Chang, C. H., & Tan, J. A. (2013). When is success not satisfying? Integrating regulatory focus and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theories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8, 342-353.

55.

Floyd, F. J., & Widaman, K. F. (1995). Factor analysis in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7, 286-299.

56.

Gagné, M., Chemolli, E., Forest, J., & Koestner, R. (2008). A temporal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motivation. Psychological Belgica, 48, 219-241.

57.

Gagné, M., Forest, J., Gilbert, M. H., Aubé, C., Morin, E. M., & Malorni, A. (2010). The Motivation at Work Scale: Validation evidence in two languag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70, 628-646.

58.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4th ed.). New Jersey:Prentice Hall Publishers.

59.

Heyman, G. D., & Dweck, C. S. (1992). Achievement goals and intrinsic motivation: Their relation and their role in adaptive motivation. Motivation and Emotion, 16(3), 231-247.

60.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61.

Ismail, H. C. (2012). An exploratory study of motivational factors on women entrepreneurship venturing in Malaysia. Business and Economic Research, 2(1), 282-297.

62.

Jang, S. Y., & Merriam, S. (2004). Korean culture and the reentry motivations of university women. Adult Education Quarterly, 54(4), 23-51.

63.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64.

Kasser, T., & Ryan, R. M. (1996). Further examining the American dream: Differential correlat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 280-287.

65.

Kim, H. O., & Siegfried, H. G. (2001). Mothers Roles in Traditional and Modern Korean Families: The Consequences for Parental Practices and Adolescent Socialization.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2(1), 85-93.

66.

Marsh, H. W., & Yeung, A. S. (1998). Longitudinal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academic self-concept and achievement: Gender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math and English construct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5(4), 705-738.

67.

Miceli, M., & Castelfranchi, C. (2000). Further distinctions between coping and defence mechanisms? Journal of Personality, 69, 287-296.

68.

Nasser, F., & Takahashi, T. (2003). The effect of using item parcels on goodness-of-fit indexes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 example using Sarason's reactions to test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16(1), 75-97.

69.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McGrawHill.

70.

OECD (2011). OECD Employment Outlook. Paris:OECD Publishing.

71.

Parker, S. K., & Wall, T. D. (1998). Job and work design: Organizing work to promote well-being and effectiveness. CA: Sage.

72.

Pett, M. A., Lackey, N. R., & Sullivan, J. J. (2003). Making sense of factor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73.

Ryan, R. M. (1982). Control and information in the intrapersonal sphere: An extension of cognitive evaluation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450-461.

74.

Ryan, R. M., & Deci, E. L. (200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54-67.

75.

Rothmann, S., Steyn, L. J., & Mostert, K. (2005). Job Stress, Sense of Coherence and Work Wellness in an Electricity Supply Organization. South Afric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36, 55-63.

76.

Schaufeli, W. B., Leiter, M. P., Maslach, C., & Jackson, S. E. (1996).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In C. Maslach, S. E. Jackson, & M. P. Leiter (Eds.), Maslach Burnout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77.

Sheldon, K. M., Sheldon, M. S., & Osbaldiston, R. (2000). Prosocial values and group-assortation within an N-person prisoner's dilemma. Human Nature, 11, 387-404.

78.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79.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7).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5th ed.). Boston, MA:Allyn and Bacon.

80.

Tanaka, S. J. (1993). Multifaceted conceptions of fit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K. A. Bollen & S. J.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0-39). Newbury Park, CA: Sage.

81.

Tremblay, M. A., Blanchard, C. M., Taylor, S., Pelletier, L. G., & Villeneuve, M. (2009). Work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Scale:Its value for organizational psychology research.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41, 213-226.

82.

Vallerand, R. J. (2007). A hierarchical model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sport and physical activity. In M. S. D. Hagger & N. L. D. Chatzisarantis (Eds.), Self-determination theory in exercise and sport (pp. 255-279). Champaign, IL: Human Kinetics.

83.

Van Yperen, N. W., & Hagedoorn, M. (2003). Do high job demands increase intrinsic motivation or fatigue or both? The role of job control and job social suppor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3), 339-348.

84.

Yong, A. G., & Pearce, S. (2013). A beginner's guide to factor analysis: Focusing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utorials in Quantitative Methods for Psychology, 9(2), 79-9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