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상담전문가의 역전이 관리 과정

The Process of Expert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전문가들의 역전이 관리 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담전문가 9명을 목적적으로 표집하여 반구조화 인터뷰 질문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21개의 개념, 55개의 하위범주,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압도당하고 붙들림’이란 중심현상을 중심으로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고 핵심범주는 ‘압도됨 속에서 고군분투하다가, 오랜 기간의 수련을 통해 나를 알아차리게 되고 드러낼 수 있게 되면서 내담자의 핵심을 다룰 수 있게 됨’ 으로 밝혀졌다. 상담전문가의 역전이 관리 경험의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막힘’, ‘고군분투’, ‘알아차림’, ‘버티기’, ‘담아내기’, ‘핵심 다루기’, ‘문제해결 반복’ 그리고 ‘숙달’의 8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전문가의 역전이 관리 경험에 관한 논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숙련된 상담전문가를 대상으로 상담 실제에서의 역전이 관리 경험의 구조와 과정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밝힌 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Countertransference, Expert counselor, Grounded theory, 역전이, 상담전문가, 근거이론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ubstantial theory describing the process of expert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expert counselor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121 concepts, 55 sub-categories and 24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The paradigm model of central phenomenon revealed as ‘overwhelmed and tied’. The core category was, ‘While struggling with being overwhelmed, they have been able to work with the client’s core problem by participating in self-awareness and self-disclosure training.”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stages in the process of expert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the stage of being blocked’, ‘the stage of struggling’, ‘the stage of awareness’, ‘the stage of keeping moderate’, ‘the stage of containment’, ‘the stage of working with the core problem’, ‘the stage of problem solving’ and ‘the stage of mastery’. Finall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keywords
Countertransference, Expert counselor, Grounded theory, 역전이, 상담전문가, 근거이론

참고문헌

1.

강석영 (2008).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상담성과의관계에서 상담자 역전이 행동 및 내담자 협력관계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순영, 배성만, 주은선 (2015). 상담자의 상담경력에 다른 상위인지 자각과 포커싱적태도가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6(2), 157-178.

3.

문지영 (2011). 정신과 음악치료 인턴의 역전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3(3), 39-60.

4.

김준혜, 안현의 (2013). 상담자 발달수준, 마음챙김 및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 인간이해, 34(2), 95-109.

5.

김지은 (2005). 부정적 역전이의 발생과정: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한 분석. 가톨릭대학교박사학위논문.

6.

김지은, 조성호 (2006). 역전이 행동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117-136.

7.

김진숙 (2009). 투사적 동일시의 의미와 치료적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765-790.

8.

김현숙 (2012). 상담자의 내현적 자기애와 작업동맹과의 관계에서 역전이 행동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3(5), 2379-2393.

9.

김현정 (2003). 상담자 발달수준과 자기위로능력및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 홍익대학교석사학위논문.

10.

도상금 (1994). 심리치료 장면에서 치료자의경험-역전이 개념과 활용을 중심으로. 인간이해, 15, 5-14.

11.

손진희 (2002). 상담자 경력별 알아차림 방해요소 지각 정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4(3), 563-580.

12.

심지은 (2008). 상담자의 마음챙김, 공감 및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양경연 (2005). 상담자 발달수준과 자아분화 및역전이 행동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유성경, 이문희, 조은향 (2010). 상담자 교육분석 경험 및 태도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8(2), 17-35.

15.

윤정설 (2002). 상담자의 성격특성 및 경력이 역전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윤희섭, 정현희 (2010). 상담자의 애착유형과발달수준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상담학연구, 11(2), 485-505.

17.

이동식 (2008). 도정신치료입문. 서울: 한강수.

18.

이영순 (2010). 초보 상담자들의 어려움과 역전이 관리능력 및 상담성과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1(3), 1021-1035.

19.

이영은, 이창환 (2011). 상담자의 인지 복합성과 대처 유연성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3), 1178-1187.

20.

임고운, 김지현 (2008). 상담자 발달수준 및 역전이 활용과 상담성과. 상담학연구, 9(3), 987-1006.

21.

장세미 (1999). 상담자의 특성, 역전이 관리능력및 상태불안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전아름 (2011). 상담자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마음챙김이 역전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정방자 (1998). 정신역동적 상담. 서울: 학지사.

24.

최명식 (2003). 역전이 개념의 변천, 분류 및치료적 활용에 대한 이해. 인간이해, 24. 1-22.

25.

최명식 (2005). 역전이 활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하 정, 홍지영 (2011). 집단 수퍼비전 경험을통한 상담자의 발달적 변화 과정. 아시아교육연구, 12(3), 279-303.

27.

한영주, 권경인, 김창대, 유성경 (2012). 낮은성과를 보인 상담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3(1), 71-97.

28.

한은주, 최한나 (2013). 역전이 활용능력과 상담만족도의 관계: 작업동맹의 매개효과검증. 인간이해, 34(1), 75-91.

29.

황인호 (2004).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행동 및 상담협력관계가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국립국어원 편 (2013). 표준국어대사전. http://www.korean.go.kr.

31.

Bauer, G. P. (2007). 지금-여기에서의 전이분석. [The analysis of the transference in the here and now]. (정남운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1993년에 출판).

32.

Bion, W. R. (2013). 경험에서 배우기. [Learning from Experience]. (윤순임 역). 서울: 눈(원전은 1962년).

33.

Creswell, J.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Publications.

34.

Davanloo, H. (1980). Short-Term Dynamic Psychotherapy. New York: Jason Aronson.

35.

Freud, S. (1910). The future prospects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standard Edition, 11, 141-151.

36.

Friedman, S., & Gelso, C. J. (2000). The development of Inventory of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6, 1221-1235.

37.

Gelso, C. J., Latts, M. G., Gomez, M. J., & Fassinger, R. E. (2002).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nd therapy outcome: An initial evalua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7), 861-867.

38.

Hayes, J. A., Gelso, C. J., & Hummel, A. M. (2011). Managing Countertransfere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8(1), 88-97.

39.

Hayes, J. A., Gelso, C. J., Van Wagoner, S. L., & Diemer, R. A. (1991). Managing countertransference: What the experts think. Psychological Reports, 69. 39-148.

40.

Hayes, J. A., McCracken, J. E., McClanahan, M. K., Hill, C. E., Harp, J. S., & Carozzoni, P. (1998). Therapist perspectives on countertransference: Qualitative data in search of a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468-482.

41.

Jones, A. S. (1990). The effects of counselor anger discomfort, gender, and need for nurturance on countertransference reactions to angry cli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42.

Kyale, S. (1998). 인터뷰-내면을 보는 눈. [InterViews; Learning the Craft of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신경림 역). 서울: 하나의학사(원전은 1996년에 출판).

43.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k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44.

Macran, S., & Shapiro, D. (1998). The role of personal therapy for therapists: a review.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71, 13-25.

45.

Renik, O. (2012). 실용정신분석. [Practical psychoanalysis for therapists and patients. Other Press]. (노경선 역). 서울: 눈(원전은2006년에 출판).

46.

Robbins, S. B., & Jolkovski, M. P. (1987). Managing countertransference feelings;interactional model using awareness of feeling and theoretical framework.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4(3), 276-282.

47.

Rosenberger, E. W., & Hayes, J. A. (2002). Origins, Consequences, and Management of Countertransference: A Case Stud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9(2), 221-232.

48.

Safran, J. D., & Segal, Z. V. (1990). Interpersonal process in cognitive therapy. New York: Basic Books.

49.

Schreiber, R. S., & Stern, P. N. (2003). 근거이론연구방법론.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신경림, 김미영 공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2001에 출판).

50.

Stoltenberg, C. D., McNeil, B. W., & Delworth, U. (1998). IDM Supervision: An integrated developmental model for supervising counselors and therapists. San Francisco: Jessey-Bass.

51.

Strauss, A., &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원전은 1998에 출판).

52.

Tracey, T. J., Hays, K. A., Malone, J., & Herman, B. (1998). Changes in counselor response as a function of experienc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2), 119-126.

53.

Van Wagoner, S. L., Gelso, C. J., Hayes, J. A., & Diemer, R. A. (1991). Countertransference and the reputedly excellent therapist. Psychotherapy, 28, 411-421.

54.

Watkins, C. E. (1985). Countertransference: Its impact on the counseling situa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celopment, 63(6), 356-35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