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상담자 발달수준 및 공감, 그리고 상담 초기 내담자의 작업동맹 및 상담성과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초기 상담(3회기~6회기)을 진행하는 상담자-내담자 총 192쌍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애착이론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여 최종모형을 선정하였다. 최종모형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상담자 발달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담자의 애착불안은 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상담자 발달수준을 통해서도 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상담자의 애착회피는 상담자 발달수준을 통해서 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상담자 발달수준은 공감과 내담자의 작업동맹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공감은 내담자의 상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상담자의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상담자 발달수준을 통해서 내담자의 작업동맹 및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상담자의 애착불안은 공감과 상담자 발달수준 및 공감의 이중매개를 통해 내담자의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상담자의 성인애착 안정성이 상담자 발달수준과 공감을 높여 상담 초기 내담자의 작업동맹 및 상담성과에 기여함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adult attachment, the counselor’s development levels and empathy of counselors, the client’s working alliance and their effect on the counseling process. Three hypothesized model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s that both counselor attachment anxiety and counselor avoidance negatively influenc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 counselor’s development levels and empathy. Second, the counselor’s development levels positively impact both counselor empathy and the client working alliance. Additionally, results showed that counselor’s empathy seems to have direct impact on the client counseling outcomes. Third, both counselor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client’s working alliance and the counseling outcomes through counselors development levels. Fourth, counselor attachment anxiety has an indirect effect on client counseling outcomes through both counselor development levels and empath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강혜영 (1995).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협력관계의 차이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고윤희, 박성현 (2014).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성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4), 805-839.
권경인, 양정연 (2015). 회피애착형 상담자가지각한 상담관계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상담학연구, 16(3), 25-49.
권지숙 (2012). 작업동맹 형성 과정에서 불안정애착 내담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동민, 양정연 (2012). 작업동맹 지각에 대한상담자와 내담자 성인애착패턴의 효과:행위자-파트너 상호의존 모델(APIM) 분석. 상담학연구, 13(6), 2523-2542.
김민정, 조화진 (2015). 교육수준, 실무, 수퍼비전 경험과 교육 분석 경험에 따른 상담자발달수준 비교연구. 상담학연구, 16(3), 67-84.
김성현 (2004). 친밀관계 경험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수정 (2005). 상담자, 내담자 애착유형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근 (2013). 치료적 요인으로서의 상담자요인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2), 203-202.
김영란, 연문희 (2002). 상담단계별 상담자 공감과 내담자 체험 및 상담성과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19-38.
김은숙 (2011). 상담자와 내담자의 애착과 대상관계 수준에 따른 청소년 내담자가 지각하는 작동맹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은하 (2013). 상담학에서 공감 연구에 대한고찰: 국내 주요 상담학술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5), 2851-2867.
김준혜, 안현의 (2013). 상담자발달수준, 마음챙김 및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 인간이해, 34(2), 95-109.
김창대, 권경인, 한영주, 손난희 (2008). 상담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요인. 상담학연구, 9(3), 961-986.
김환, 한수미 (2015). 어릴 적 외상 경험이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2), 251-274.
금명자, 이장호 (1994). 상담단계와 내담자의체험수준에 따른 상담자 개입패턴의 즉시적 성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6(1), 48-98.
문현미 (1989). 공감적 이해와 상담효율성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문형춘 (2007). 성인애착 특성과 상담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09-63.
박광석 (2001). 내담자의 친애 및 지배수준과 상담자의 공감에 따른 작업동맹의 차이.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현주, 김봉환 (2010). 상담자의 성인애착유형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33-52.
배병렬 (2014).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성예경, 최한나 (2011). 내담자의 타당화 경험이 작업동맹과 회기평가에 미치는 영향:작업동맹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1), 315-332.
송재영, 이윤주 (2014). 초심상담자와 경력 상담자의 공감유형의 차이분석. 상담학연구, 15(1), 123-144.
심흥섭 (1998).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개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심흥섭, 이영희 (1998).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0(1), 1-28.
양정연, 권경인 (2012). 상담자, 내담자 애착유형 조합에 따른 상담관계: 작업동맹, 역전이 행동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2), 891-915.
오경희 (1986). 초기 상담에서 상담자의 반응의도전달이 내담자의 의도지각 및 상담의 효율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현수, 한재희 (2009). 상담전문가 발달과정에서의 좌절극복경험 분석. 상담학연구, 10(1), 109-124.
이상희, 김계현 (1993). 상담회기 평가질문지(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수림, 조성호 (2010). 상담자의 지혜가 상담과정 및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71-94.
이수현, 김동민, 서영석 (2006). 상담자의 애착유형과 상담경험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2), 303-317.
이은경, 이혜성 (1989). 공감적 이해와 상담 효율성간의 관계분석을 위한 모의 상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 56-68.
이장호, 정남운, 조성호 (2005). 상담심리학의기초. 서울: 학지사.
이주혜, 조영아 (2014).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2), 579-594.
임고운, 김지현 (2008). 상담자발달수준 및 역전이 활용과 상담성과. 상담학연구, 9(3), 987-1006.
임전옥 (2014). 상담자의 정서지능과 상담관계및 성과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임전옥, 장성숙 (2015). 상담자의 정서지능과상담관계 및 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3), 491-518.
유성경, 손난희, 김창대, 홍세희, 권경인, 한영주, 윤정숙, 윤정순 (2009). 상담자의 타당화 수준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0(4), 1873-1889.
유성경, 심혜원 (2005). 상담자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자기 대화 내용의 차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789-812.
윤정숙, 유성경, 홍세희 (2012). 상담 초기 작업동맹과 상담성과 사이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3(4), 1903-1919.
윤희섭, 정현희 (2010). 상담자의 애착유형과발달수준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상담학연구, 11(2), 485-505.
윤희섭, 정현희 (2012). 내담자의 애착과 전이애착, 상담자의 애착과 역전이 관리능력이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 연구, 13(5), 2463-2482.
정방자 (1986). 정신역동적 상담과정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반응 변화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희선 (2011). 상담자 및 내담자 애착 회피요인, 상담자발달수준과 작업동맹.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수연 (2010). 초기상담에서 상담자 발달 수준에 따른 공감정확도와 상담 만족도: 임상실제자료를 기반으로 한 내담자 지각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수연, 권경인 (2011). 초기상담에서 상담자경력별 공감 정확도와 상담만족도: 임상 실제 자료를 기반으로 한 내담자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57-275.
지승희, 이혜성 (2010). 회피형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 과정 및 변화요인 연구: 애착이론적 조망에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3(3), 55-73.
최한나, 권윤주, 강귀옥 (2015).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1990-2014). 상담학연구, 16(3), 85-99.
하철오, 신희천 (2014). 상담자,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와 작업동맹이 상담회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4), 879-901.
황주연, 정남운 (2010). 상담자 자기성찰(Self-Reflection)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9(2), 241-263.
허미연 (2006). 놀이치료자의 성인애착이 역전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담자 발달수준의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Ackerman, S. J., & Hilsenroth, M. J. (2003). A review of therapist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positively impacting the therapeutic allianc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3(1), 1-33.
Albert, G. (1997).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psychotherapists? The experts speak. Journal of Practical Psychology and Behavioral Health, 3, 36-44.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Barak, A., & LaCrosse, M. B. (1975). Multidimensional perception of counselor behavio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2(6), 471-476.
Barrett-Lennard, G. F. (1981). The empathy scale:Refinement of a nuclear concep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 91-100.
Beutler, L. E., Malik, M., Alimohamed, S., Harwood, T. M., Talebi, H., Noble, S., & Wong, E. (2004). Therapist effects. Bergin and Garfield’s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 5, 227-306.
Bordin, E. S. (1979). The generalizability of the psychoanalytic concept of the working alliance.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 practice, 16(3), 252-260.
Bowlby, J. (1988). A secure base: Clinical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London: Routledge &Kegan Paul.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pp. 46-76). New York, NY. Guilford Press.
Corey, M. S., & Corey, G. (2006). Becoming a helper. Cengage Learning.
Corrigan, J. D., & Schmidt, L. D.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revisions in the counselor rating form.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0, 64-75.
Diener, Marc J., Monroe, Joel 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style and therapeutic alliance in individual psychotherapy: A meta-analytic review. Psychotherapy, 48(3), 237-248.
Daniel, S. I. (2006). Adult attachment patterns and individual psychotherapy: A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 968-984.
Dozier, M., Cue, K, L., & Barnett, L. (1994). Clinicians as caregivers: Role of attachment organization in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4), 739-800.
Fuller, F., & Hill, C. E. (1985). Counselor and helpee perceptions of counselor intentions in relation to outcome in a single counseling ses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 329-338.
Fraley, R. D., Waller, N. G., & Brennan. K. A. (2000).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2), 350-365.
Gelso, C. J., & Carter, J. A. (1994). Components of the psychotherapy relationship: Their interaction and unfolding during trea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3), 296-306.
Goldberg, C. (1992). The seasoned psychotherapist. New York: W. W. Norton & Co.
Greenberg, L. S. (1986). Change process researc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1), 4-9.
Greenberg, L. S., Watson, J. C., Elliott, R, & Bohart, A.(2001). Empathy. Psychotherapy: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38(4), 380-384.
Hill, Clara E., Helms, Janet E., Tichenor, Victoria., Spiegel, Sharon B., O'Grady, Kevin E., & Perry, Elgin. (1988). The effects of therapist response mode in brief psycho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3), 222-233.
Horvath, A. O., & Bedi, R. P. (2002). The alliance. In J. C. Norcross (Ed.), Psychotherapy relationships that work: Therapist contributions and responsiveness to patient(pp. 37-69).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Inc.
Horvath, A. O., & Greenberg, L. S. (198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Working Alliance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2), 223-233.
Horvath, A. O., & Luborsky, L. (1993). The role of the therapeutic alliance in psycho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4), 561-573.
Horvath, A. O., & Symond, B. D. (1991). Relation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outcome in psychotherapy: A meta-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 139-149.
Kim, D., Wampold, B. E., & Bolt, D. M. (2006). Therapist effects in psychotherapy: A random effects modeling of the NIMH TDCRP data. Psychotherapy Research, 16(2), 161-172.
Ligiero, D. P., & Gelso, C. J. (2002). Countertransference, attachment, and the working alliance: The therapist's contribution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39(1), 3-11.
Linehan, M. M. (1997). Validation and psychotherapy. In A. C. Bohart & L. S. Greenberg (Eds.), Empathy reconsidered: New directions in psychotherapy(pp. 353-39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Mallinckrodt, B. (1993). Session impact, working alliance, and treatment outcome in brief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0(1), 25-32.
Marmarosh, Cheri L., Kivlighan Jr., Dennis M., Bieri, Kathryn., LaFauci Schutt., Jean M., Barone, Carrie., & Choi, Jaehwa. (2014). The insecure psychotherapy base: Using client and therapist attachment styles to understand the early alliance. Psychotherapy, 51(3), 404-412.
Martin, D. J., Garske, J. P., & Davis, M. K. (2000). Relation of the therapeutic alliance with outcome and other variable: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3), 438-450.
Mikulincer, M., & Shaver, P. R. (2007). Attachment in adulthood: Structure, dynamics, and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Mikulincer, M., Shaver, P. R., & Berant. E. (2013). An attachment perspective on therapeutic processes and outcomes. Journal of Personality Special Issue: Personality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81(6), 606-616.
Mohr, J. J., Gelso, C. J., & Hill, C. E. (2005). Client and counselor trainee attachment as predictors of session evaluation and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in the first counseling sess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3), 298-309.
Orlinsky, D. E., Grawe, K., & Parks, B. K. (1994). Process and Outcome in Psychotherapy. In S Garfield & A Bergin (Eds)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 (3rd., pp. 270-376) New York: Wiley.
Pistole, M. C. (1999). Caregiving in Attachments Relationships: A Perspective for Counselor,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7, 437-446.
Pistole, M. C., & Watkins, C. E. Jr. (1995). Attachments theory counselling process and supervis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3(3), 457-458.
Ridgway, I. R., & Sharpley, C. F. (1990). Multiple measures for the prediction of counselor trainee effectiveness. Canadian Journal of Counseling, 24, 165-177.
Rogers, C. R. (1975). Empathic: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 The Counseling psychologist, 5, 2-10.
Romano, V., Fitzpatrick, M., & Janzen, J. (2008). The secure-base hypothesis: Global attachment, attachment to counselor, and session exploration in psycho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5(4), 495-504.
Rubino, G., Barker, C., Roth, T., & Fearon, P. (2000). Therapist empathy and depth of interpretation in response to potential alliance ruptures: The role of therapist and patient attachment styles. Psychotherapy Research, 10(4), 408-420.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S.,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Sauer, E. M., Lopez, F. G., & Gormely, B. (2003). Respective contributions of therapist and client adult attachment orientations to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working alliance: A preliminary growth modeling study. Psychotherapy Research, 13(3), 371-382.
Slade, A. (1999).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Implications for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dividual psychotherapy with adults. In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pp. 575-594). New York: Guilford Press.
Stiles, W. B. (1989). Use of the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Manuscript, Miami University.
Schauenburg, H., Buchheim, A., Beckh, K., Nolte, T., Brenk-Franz, K., Leichsenring, F., Strack, M., & Dinger, U. (2010). The influence of psychodynamically oriented therapists’attachment representations on outcome and alliance in inpatient psychotherapy. Psychotherapy Research, 20, 193-202.
Schmidt, L. D., & Strong, S. R. (1971). Attractiveness and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8, 348-351.
Skovholt, T. M., & Jennings, L. (2004). Master Therapists. Boston: Pearson.
Skovholt, T. M., & Ronnestad, M. H. (1995).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Stages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Oxford: John Wiley & Sons.
Taylor, A. B., MacKinnon, D. P., & Tein, J. Y. (2008). Tests of the three-path mediated effect.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1, 241-269.
Wallin, David J. (2007). Attachment in Psychotherapy. NY: Guilford Press.
Wampold, B. E. (2001). The great psychotherapy debate: Models, methods, and finding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Wampold, B. E. (2012). Humanism as a Common Factor in Psychotherapy. Psychotherapy, 49(4), 445-449.
Wampold, B. E., & Brown, G. S. (2005). Estimating variability in outcomes attribute to therapists: A naturalistic study of outcomes in managed care.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 914-923.
Wynn, R., & Wynn, M. (2006). Empathy as an interactionally achieved phenomenon in psychotherapy: Characteristics of some conversational resources. Journal of Pragmatics, 38(9), 1385-1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