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가족스트레스와 가정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자아분화, 가족스트레스, 가정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가족스트레스와 가정생활만족간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스트레스를 적게 느끼고, 가정생활만족은 크게 느낀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정생활만족과 가족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중년여성 196명을 대상으로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의 하위요인 중 가족퇴행, 가족투사, 정서적 단절,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 4가지 자아분화 하위요인이 가족스트레스와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자아분화의 하위요인 모두 가정생활만족도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가정생활만족에 대한 가족스트레스는 자아분화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정생활만족, 가족스트레스, 자아분화 세 변인간의 관계에 있어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각각의 하위요인별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상담현장에서 중년여성의 자아분화의 수준을 높이는 상담적 개입이 가족스트레스가 가정생활만족에 미치는 과정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keywords
자아분화, 가족스트레스, 가정생활만족, 중년여성, Self-Differentiation, Family stress, Life Satisfaction, Middle-Aged Women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family-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wome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between family stress and family-life satisfaction was tested using SPSS 21.0 o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hich included 196 middle-aged women.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all four sub-scales of self-differentiation, except self-integration,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family stress and all sub-scales of self-differenti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family-life satisfaction. Secon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ognition-function vs. emotional-function between family stress and family-life satisfaction was found. Third, the present study showed significance for testing the mediation effect of each self-differentiation sub-scale separately.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the intervention fostering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mong middle-aged women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family-life satisfaction.

keywords
자아분화, 가족스트레스, 가정생활만족, 중년여성, Self-Differentiation, Family stress, Life Satisfaction, Middle-Aged Women

참고문헌

1.

강기연 (2000).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 의사결정참여, 가정생활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모성, 전영주, 손태홍 (2008). 기혼 중년남성의 직무 및 가족 스트레스와 자살구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105-134.

3.

강인 (1990). 중년기 가족스트레스와 대처전략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권정혜, 유성은 (1997).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지지, 스트레스에 대한대처식이 중년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67-84.

5.

김경신, 조유리 (2000). 부부의 갈등대처행동과결혼만족도: 광주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114-116.

6.

김경희 (2007). 청소년기 자녀를 둔 40대 남녀의 스트레스 인지수준과 가정생활 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두길, 유영달 (2015). 중년기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1), 177-191.

8.

김명자 (1989). 중년기 연구. 서울: 교문사.

9.

김명자, 고현선 (1994). 부부의 자아분화가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지, 9, 8-17.

10.

김미령 (2009).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6, 35-61.

11.

김선희 (2011).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자아분화, 우울에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시연, 서영석 (2008).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부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243-1265.

13.

김안득, 김한곤 (2012). 중년여성의 다양한 스트레스 해소에 대한 요가ㆍ춤명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8(4), 141-166.

14.

김연화 (2002). 도시부부의 생활예절수행․가족체계역동․심리적복지감, 숙명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15.

김정엽 (2006). 간호학생의 자아분화 정도와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2), 238-247.

16.

김정엽, 조현숙 (2008). 고등학생의 자아분화정도 및 가족기능과 스트레스 수준에대한 연구.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4(1), 61-70.

17.

김재경, 문숙재 (1991). 부부의 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형성기 가정과 확대기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정남 (2013). 중년 여성의 가족스트레스 인지와 자기분화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차이.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정택, 심혜숙 (1993). 자아분화 개념을 통한Bowen의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특징.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1), 31-45.

20.

김지연, 강창균, 이만균 (2014). 10 주간의 하타 및 라자 복합요가 프로그램이 일상생활 피로도, 체력 및 호흡 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2), 1091-1104.

21.

김진원, 엄명용 (2014). 가족식사활동이 기혼여성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44, 81-111.

22.

김희진 (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877-906.

23.

노갑택, 김상유, 김성훈 (2010). 폐경 중년여성들의 운동 참여정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와 삶의 질 차이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19(4), 559-571.

24.

문은미, 최명선 (2008). 부모화 경험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063-1085.

25.

박경환 (2010). 기혼직장인의 자아분화가 가정생활만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갈등 대처행동을 매개변인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57-75.

26.

박금, 자이, 지현, 김미, 옥방, 부경 (2002). 중년여성의 지각된 생활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Community Nursing, 13(2).

27.

박문재 (2010). 부모의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자녀의 의사소통유형 연구. 국제신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28.

박미성, 김금순 (2014). 요가운동 프로그램이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반응, 체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6(1), 22-33.

29.

박영숙, 조인숙 (2001). 중년여성의 전환상태조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7(4), 486-498.

30.

박영신, 김의철 (2008).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자녀에 대한 신뢰 및 자기효능감이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4), 71-101.

31.

박진경 (2007). 중년기 여성의 가족스트레스와분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박희정, 박태진 (1998). 중년기 여성의 생활사건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변외진, 김춘경 (2007).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255-276.

34.

배옥현, 홍상욱 (2008). 대학생의 자아분화 정도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1), 27-34.

35.

서미, 최보영, 조한익 (2006).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7(2), 271-288.

36.

신혜숙 (2002).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생활사건에 관한 주관성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2(2), 406-415.

37.

오금숙 (2003). 중년기 여성의 자아분화와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사례.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오청미, 최연실 (2006). 기혼 남녀의 자아분화수준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Bowen 이론과 McMaster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199-223.

39.

유계숙, 강수향, 오아림, 이주현 (2010). 맞벌이부부의 가사분담이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17-136.

40.

유숙자, 양 수, 윤재연 (2000). 중년여성의 우울 정도와 사회적지지 및 성역할 장애의관계. 정신간호학회지, 9(4), 619-630.

41.

유희남, 김영희 (2011).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대처행동및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9(3), 141-158.

42.

이명옥, 하정희 (2007).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519-535.

43.

이선미 (2014). 대학생의 자아분화수준, 가족건강성이 스트레스 인지 수준 및 대처에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4), 239-260.

44.

이수옥 (1999). 대인관계 중심 집단상담이 주부들의 자아분화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울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은순 (2011).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위한 만다라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18(6), 1279-1302.

46.

이은희 (2004). 농촌 중년여성의 시부모부양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관한연구. 노인복지연구, 23, 231-251.

47.

이평숙 (2003). 중년여성의 분노, 지각된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상태와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3(6), 856-864.

48.

이하랑 (2015). 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자아분화와 정서적 위기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2(4), 1205-1223.

49.

임성문, 김영일 (2010). 성인애착과 결혼만족의관계에서 자아분화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 27(1), 33-58.

50.

임정빈 (1988). 가치성향 의사결정양식 및 가정생활만족: 서울시 주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1.

임지혜 (2004). 중년기 여성의 자아분화와 우울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제석봉 (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관계, Bowen의 가족체계 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3.

조금숙, 조증열 (2004).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심리적 안녕감: 성역할태도, 스트레스 및결혼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9(3), 27-41.

54.

조성희, 박소영 (2010). 여성의 결혼만족도에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9, 149-174.

55.

조은경, 정혜정 (2002). 기혼남녀의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갈등 대처 행동 및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6.

56.

조형운 (2013).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이 수험생자녀의 자아분화, 성취압력지각 및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최난경 (2003). 부모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녀양육행동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최승애, 정현희 (2004). 역기능적 태도, 스트레스 지각, 대처방식, 스트레스 장애 간의구조경로 분석. 상담학연구, 5(2), 353-366.

59.

최연실, 옥선화 (1997). 가족 스트레스 모델의경험적 검증: 청소년 자녀가 있는 중년기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5(1), 55-78.

60.

최용식 (2003). 맞벌이 사회복지 종사자의 가족스트레스와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최정혜 (2004). 주말부부의 가족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69-83.

62.

통계청 (2013).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www. kostat.go.kr

63.

한국갤럽 (2011). 세계 여성 행복도 비교 조사, www.gallup.co.kr.

64.

한금선 (2000). 중년여성을 위한 스트레스 자가 관리를 적용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연구, 8(1), 27-38.

65.

한영숙 (2007).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59-272.

66.

한정아, 심홍석 (2005). 대학생의 자아분화,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65-981.

67.

홍성례, 유영주 (2000). 부인의 정서적 지지와남편의 결혼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2), 61-76.

6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69.

Bollen, K. A. (1987).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7(1), 37-69.

70.

BOSS, R. (1987). Family stress: Perception and context. ln M. Sussman and S. Steinmetz, (Eds.), Handbook on Marriage and the Family (pp. 695-723). US: Springer.

71.

Bowen. M (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Guerin, P. J.(ed). Family therapy, New York: Gardner Press.

72.

Bowen. M. (1982).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son Aronson.

73.

Bowen, M. (1993).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Jason Aronson.

74.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75.

Hayes, M. P., & Stinnett, N. (1971).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husbands and wives. Journal of Home Economics, 63(9), 669-674.

76.

Holmbeck, G. N. (1997). Toward terminological, conceptual, and statistical clarity in the study of mediators and moderators: examples from the child-clinical and pediatric psychology literatur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4), 599.

77.

Kerr, M. E. (1985). Obstacles to differentiation of self. In A. S. Gurman (Ed.), Casebook of marital therapy (pp. 111-153). New York:Guilford Press.

78.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WW Norton & Company.

79.

Knudson‐Martin, C. (1994). The female voice:Applications to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0(1), 35-46.

80.

Lavee, Y., & Olson, D. H. (1991). Family types and response to stre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786-798.

81.

Leifman, H. D. (2001). Family of origin roles and adult work roles in relation to employee adjustment, satisfaction, and success.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82.

Lim, M. G., & Jennings, G. H. (1996). Marital satisfaction of healthy differentiated and undifferentiated couples. The Family Journal, 4(4), 308-315.

83.

MacKinnon, D. P. (2000). Contras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In Rose, J. S., Chassin, L., Presson, C. C., & Sherman, S. J. (Eds.), Multivariate applications in substance use research:New methods for new questions (pp. 141-160). Psychology Press.

84.

McClelland, J. (1976). Stress and middle age. Journal of Home Economics, 68(45), 16-19.

85.

McCubbin, H. I., Patterson, J. M., & Wilson, L. R. (1981).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University of Wisconsin.

86.

McCubbin, H. I., & Patterson, J. M. (1983). The family stress process: The double ABCX model of adjustment and adaptation. Marriage & Family Review, 6(1-2), 7-37.

87.

Mee-Gaik, N. (1991).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 Healthy Like, Healthy Unlike, Unhealthy Like, and Unhealthy Unlike Couples (Doctoral dissertation).

88.

Murdock, N. L., & Gore Jr, P. A. (2004). Stress, coping, and differentiation of self: A test of Bowen theory.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6(3), 319-335.

89.

Skowron, E. A., Wester, S. R., & Azen, R. (2004). Differentiation of self mediates college stress and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JCD, 82(1), 69.

90.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56-7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