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는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제시 동기-기대 차이를 관련변인으로 설정하여,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372명에게 내현적 자기애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자기제시 동기 척도, 자기제시 기대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모형 검증 결과, 내현적 자기애 성향 여부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제시 동기-기대 차이로 향하는 경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제시 동기-기대 차이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으로 향하는 경로, 자기제시 동기-기대 차이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으로 향하는 경로는 유의미했으며, 내현적 자기애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으로 가는 직접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수정모형 검증 결과, 내현적 자기애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으로의 경로를 삭제한 모형, 즉 완전매개 모형이 부분매개 모형보다 간명하였다. 내현적 자기애가 높은 집단은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 것이고,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기제시 동기-기대 차이를 유발할 것이며,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정적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불안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의 수치심을 정서적으로 다루는 동시에 비합리적인 자기제시 동기 사고를 논박하여 자기제시 동기를 낮추는 인지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hypothesized modification model develop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vert narcissism, internalized shame, self-presentation motivation and expectation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Participants included 372 college studen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he structural model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ternalized shame, and the gap between self-presentation motivation and expectancy, was valid. All paths of the hypothesized model, except for the direct path from covert narcissism to social interaction anxiety, were significant. Third, after verifying the modification model, except for the direct path from covert narcissism to social interaction anxiety, it was found that the full mediation model, especially with regards to simplicity, surpassed the initial meditation model.
강문선, 이영순 (2011). 내현적 자기애성향과내면화된 수치심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5), 1545-1560.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강진화 (2009). 자기제시동기 및 자기제시기대가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석만, 한수정 (2000). 자기애성 성격장애: 지나친 자기사랑의 함정. 서울: 학지사.
권은미, 신민섭, 김은정 (2009). 내현적자기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627-642.
권희영, 홍혜영 (2010).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과의 관계: 자기비난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023-1048.
김남재 (1999). 대인불안에 대한 자기제시 동기와 자기제시 기대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남재 (2000). 대인불안에 대한 자기제시 모형 고찰. 사회과학연구, 6(1), 25-45.
김남재 (2004). 자기제시 동기와 대인간 평가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677-695.
김민경 (2008).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미치는 영향: 자기제시 동기, 자기제시 기대, 정서표현 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민경, 현명호 (2013).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및 정서표현갈등의 매개효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1), 161-176
김민선, 서영석 (2009). 평가염려 완벽주의와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525-545.
김은혜 (2009). 공적 자의식, 자기제시 동기에따른 내현적 자기애와 완벽주의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진희 (2011). 청소년의 자기애성향과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향숙 (2001). 사회공포증 하위유형의 기억편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효정 (2009).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불안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2005). 외현적 내현적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55-266.
박소영 (2005). 완벽주의가 대인불안에 미치는영향: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영주, 정남운 (2013).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4(1)55-74.
박주영 (2004). 대인불안의 자기제시모델 검증: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효능감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지연, 신민섭, 김은정 (2011).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신체에대한 수치심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3), 663-679.
백승혜, 현명호 (2008).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4), 1001-1017.
서나리 (2011).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차이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시 고려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2(4), 1147-1168.
송언희, 강연우, 허보연, 하정희 (2008). 자기제시동기에 따른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과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819-838.
안봉화 (2011).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윤란 (2004). 또래관계 기술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자기제시 기대와 자기통찰의 매개 중재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오하연, 박 경 (2012). 사회불안에 미치는 내현적 자기애, 수치심, 부정적 평가에 대한두려움의 영향에 대한 고찰.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12(2), 77-99.
유하나 (2006). 청소년의 자기제시동기와 자기효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성민, 신희천 (2007).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9(4), 967-982.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 - 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7(3), 651-670.
이준득, 서수균, 이훈진 (2007). 내현적․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자기개념 명료성과부정적 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463-477.
장건희 (2007). 자기애와 자기불일치 및 사회불안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효진 (2013). 병리적 자기애가 부적응적 자기제시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과 완벽주의의매개역할.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민 (2013).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대한 성격, 사회적 기술 부정적 자동적 사고 및 수줍음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3), 1995-2010.
정원자 (2010).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 간의관계: 자기제시기대와 부정적평가 두려움의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용래, 원호택 (1997). 대인불안에 대한 인지적 평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에 관한 연구. 심리학의 연구문제, 4, 397-434.
최인선, 최한나 (2013).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5), 2799-2815.
하정희, 송수민, 정은선 (2010). 자기제시동기에 따른 수치심경향성과 대인관계와의 관계. 상담학연구, 11(3), 993-1006.
한혜림 (2004).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Akhtar, S., & Thomson, J. A. (1982). Overview: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1), 12-20.
Barrera, T. L., & Norton, P. J. (2009). Quality of life impairment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ocial phobia, and panic disorder.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3(8), 1086-1090.
Besser, A., & Priel, B. (2009). Emotional responses to a romantic partner's imaginary rejection:The roles of attachment anxiety, covert narcissism, and self‐eval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77(1), 287-325.
Cook, D. R. (1987). Measuring shame: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4(2), 197-215.
Dickinson, K. A., & Pincus, A. L. (2003). Interpersonal analysis of grandiose and vulnerable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17(3), 188-207.
Ferrari, J. R. (1992). Procrastinators and perfect behavior: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self-presentation, self-awareness, and self-handicapping component.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6, 75-84.
Hambrick, J. P., Turk, C. L., Heimberg, R. G., Schneier, F. R., & Liebowitz, M. R. (2003). The experience of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social anxiety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18(1), 46-50.
Harder, D. H., & Zalma, A. (1990). Two promising shame and guilt scales: A construct validity compariso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3-4), 729-745.
Hendin, H. M, & Cheek, J. M. (1997). Assessing hypersensitivity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Murray’s Narcism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 588-599.
Katzelnick, D. J., Kobak, K. A., DeLeire, T., Henk, H. J., Greist, J. H., Davidson, J. R., Schneier, F. R., Stein, M. B., & Helstad, C. P. (2001). Impact of generalized social anxiety disorder in managed car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12), 1999-2007.
Kline, R. B. (2010).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 (이현숙, 김수진, 전수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4에 출판).
Leary, M. R., & Kowalski, R. M. (1995). The self-presentation model of social phobia.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94-112.
Lutwak, N., & Ferrari, J. R. (1997). Shame-related social anxiety: Replicating a link with various social interaction measures. Anxiety, Stress, and Coping, 10(4), 335-340.
McGregor, H. A., & Elliot, A. J. (2005). The shame of failure: Examining the link between fear of failure and sham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1(2), 218-231.
Mattick, R. P., & Clarke, J. C.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s of social phobia scrutiny fear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6(4), 455-470.
Scheff, T. J. (1988). Shame and conformity: The deference-emotion system.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3(3), 395-406.
Schlenker, B. R., & Leary, M. R. (1982). Social anxiety and self-presentation: A conceptualization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92(3), 641-668.
Smolewska, K., & Dion, K. (2005). Narcissism and adult attachment: A multivariate approach. Self and Identity, 4(1), 59-68.
Stemberger, R. T., Turner, S. M., Beidel, D. C., & Calhoun, K. S. (1995). Social phobia: an analysis of possible developmental facto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4(3), 526-531.
Tangney, J. P., & Dearing, R. L. (2002). Shame and Guil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Twenge, J. M., & Campbell, W. K. (2003). “Isn’t it fun to get the respect that we’re going to deserve?” Narcissism, social rejection, and aggress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2), 261-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