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이르는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57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척도,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한국판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하여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 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 대인관계문제로 이루어진 측정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 경쟁모형1, 경쟁모형2 중에서 경쟁모형2가 가장 적합하고 간명한 모형으로 나타나 최종모형으로 선택되었다(NFI=.927, TLI=.920, GFI=.925, CFI=.944, RMSEA=.089). 셋째, 관계관여적 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자기방어적 양가성에 선행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357 university students using RSQ, AEQ-K, KIIP-SC.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surement model consisting of rejection sensitivity, self-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fit the data well. Second, competitive model 2 was selected over research model and competitive model 1 for the final research model (NFI=.927, TLI=.920, GFI=.925, CFI=.944, RMSEA=.089).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fully mediated by self-defense ambivalence. Fourth, an order-based double mediating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occurred: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preceded self-defensive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강연우 (2004). 자기애와 방어유형 및 대인관계특성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나래 (2008). 아동, 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정서조절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곽지혜 (2016). 불안애착이 연인관계 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구승희 (2011). 대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 대학생활 적응 및 대인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다은 (2015).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정서표현양가성과 분노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석만 (1997).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 심리학. 서울: 학지사.
권희정 (2013). 대학생의 완벽성향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건, 임선진, 김진훈, 윤해주 (2008). 온라인과오프라인 설문자의 기질 특성 : 성인 인터넷 중독 검사 설문자를 대상으로. 정신신체의학, 16(1), 31-37.
김나영 (2009).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여량 (2013).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유숙 (2014).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김인성 (2010). 남・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애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모, 장정주 (2008). 정서적 지각, 표현 및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심리치료, 20(3), 697-714.
김중태 (1999). 자존감에 의한 방어기제와 대인관계의 관련성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진선 (2009). 거절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자기침묵을 매개변인으로. 아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향선 (2011).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자기격려의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림 (2015).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내일신문 (2008, 5, 22). 대학생 절반 “자살충동느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2&oid=086&aid=0001945868 에서 2015, 3, 25 자료 얻음.
박송이 (2009). 우울취약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혜련 (2011). 거부민감성, 사회불안, 감정노출이 이성관계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변영진 (2005). 정서표현갈등과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명성 (2002).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존중감 및대인관계문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상원 (2014).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무조건적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은화 (2012). 대학생의 분리-개별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특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주아, 한주리 (2010). 온라인 여론조사의 참여자는 누구인가?: 그루닉의 상황이론을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8(2), 59-82.
양민정 (2011).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남경 (2009). 대학생의 애착요인과 분리개별화의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관계.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충광, 정남운 (2007). 정서표현갈등과 상담자지각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3(1), 115-136.
우현주 (2016).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분노억제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달아 (2012). 정서표현 양가성과 결혼 만족도의관계: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기선 (2011).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화 (2013). 대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인지적 재해석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이민선 (2010).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복동 (2000). 성인애착과 이성관계만족: 거부민감성과 귀인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영식 (2015). 대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경험회피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문제를 조절변수로 하여. 신한대학교지식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희 (2012). 자기침묵과 정서표현양가성이 결혼만족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정석 (2013). 거부민감성과 정서강도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선 (2012). 정서표현양가성, 정서조절 양식및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원 (2012).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관계.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61-493.
이희경, 윤인, 이해라, 조한익 (2006). 신경증적갈등에 대한 카렌 호나이의 정신분석. 서울:학지사.
장정주, 김정모 (2011). 정서자각에 기초한 정서표현 훈련이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표현의 억제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23(4), 861-884.
장휘숙 (2008). 가족심리학. 서울: 박영사.
정경아 (2015).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미 (2014). 대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의사소통 유형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지혜 (2013). 거절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혜진 (2014).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가 우울에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정서표현 양가성의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연숙 (2015).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우울의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해연, 민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성격. 21(4), 71-89.
최해연 (2008).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과 억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해연, 민경환, 이동귀 (2008). 상담일반: 정서표현신념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역할. 상담학연구. 9(3), 1063-1080.
허준 (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구조방정식 모형.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진유경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923-940.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산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홍세희 (2009).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시리즈6: 구조방정식모형 초급. 서울: S & M 리서치 그룹.
황광숙 (2006). 자아방어기제와 청소년이 지각한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지영 (200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완벽주의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lden, L. E., Wiggins. J. S., & Pincus. A. L. (1990). Perfectionism in an interpersonal context: A self-regulation analysis of dysphonia and social anxiety. Cognitive Therapy &Research. 18. 297-316.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vies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Ayduk, O., Downey, G., Testa, A., Yen, Y., & Shoda, Y. (1999). Does rejection sensitivity elicit hostility in rejection sensitive women? Social Cognition, 17, 245-271.
Bowlby, J. (1980) Attachment and loss, Vol. 3. Loss:Sadness and depression Basic Books. New York: BasicBooks.
Christman, J. A. (2012). Examining the Interplay of Rejection Sensitivity, Self-Compassion, and Communica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PhD diss., University of Tennessee.
Downey, G., & Feldman, S. I. (1996). Implications of rejection sensitivity for intimate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6), 1327-1343.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Feldman, S., & Downey, G. (1994). Rejection sensitivity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childhood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adult attachment behavio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 231-247.
Horowitz, L. M., Rosenberg, S. E., Baer, B. A., Ureno. G., & Villasenor, V. S. (1988).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 885-892.
Impett, E. A., Gable, S. L., & Peplau, L. A. (2005). Giving Up and Giving In: The Costs and Benefits of Daily Sacrifice 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3), 327-344.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864-877.
Pennebaker, J. W. (1992). Inhibition as the linchpin of health. In H. S. Friedman(Ed.), Hostility, Coping, & Health (pp. 127-139). Washington, DC: APA.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Stuart, G. W., & Sundeen, S. J.(1987). Principles and practice of psychiatric nursing. St Louis: the CV Mosby co.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