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대구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 5, 6학년 42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은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3개를 각각 검증한 결과, 긍정성만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가족응집성만이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긍정성 모형에서는 가족응집성이 긍정성을 통해서만 자살생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응집성이 초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 변인임을 보여주며, 회복탄력성을 구성하는 개념 중 긍정성이 가족응집성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긍정성에 초점을 맞춘 회복탄력성의 증진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높은 회복탄력성은 취약한 가족체계 하에 있는 아동들을 자살생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주는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icidal ideation and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A total of 424 5th and 6th grade students from 3 schools in Seoul and Daegu participated in the study.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3 subscales of resilience, and suicidal ideation. In path analysis, only positiveness, one of the 3 subscales of resilience,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on suicidal ideation. Self-regul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did not show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while family-cohesion directly affected suicidal ideation. In conclusion, family cohesion is a meaningful predictor of children’s suicidal ideation and resilience and, positiveness, serves as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between vulnerable family function and suicidal ideation.
강동수 (2003). 집단 따돌림의 피해 아동의 자살생각.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현선 (2014). 부모와의 관계가 초등학교 고학년아동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계숙 (2013).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애 (1997).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체계특성과 청소년의 성격 특성.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희 (1997).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유형과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민선 (2005).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이점발견(benefit-finding)과의 관계 연구: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보영 (2010). 가족기능과 가족소외감의 관계에관한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연화 (2010). 아동청소년의 일상스트레스 및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12), 287-307.
김원경 (2014). 한국 초, 중,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 한국청소년연구, 25(3), 199-231.
김진희 (1989). 부모-청소년 자녀간 의사소통과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주연 (1996). 가족기능에 따른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 하우스.
김현주 (2005). 놀이치료자의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역전이 관리능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대근, 이진주, 이종각, 김정민, 문수백 (2013).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변인들 간의 인과적 구조분석: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자아존중감, 집단따돌림 그리고 우울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4(3), 93-112.
민하영 (1991). 청소년 비행정도와 부모-자녀간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은 (2014). 초등학생 회복탄력성과 용서와의관계: 초등학생 5∼6학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선 (2012). 학령기 아동의 자살생각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선애 (2006).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응집성·가족적응성 및 부모-자녀간 기능적 의사소통수준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수진 (2009).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학업성취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수진 (2014, 5, 30). 어린이․청소년 ‘주관적행복지수’ 6년째 OECD 꼴찌.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39987.html 에서 2015, 10. 자료 얻음.
박지아, 유성경 (2003). 적응유연성과 영적 안녕 및 부모애착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5(4), 765-787.
박현철, 김성봉, 홍달아기 (2011).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과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3), 167-193.
배상윤 (2012). 일부 중학생의 절망감,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송미은 (2013).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은경 (2003). 가족의 기능과 아동의 성격특성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인한, 권세원, 정은혜, 김리자 (2011). 중학생의 부모-자녀 유대와 자살사고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가지는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8(2), 199-217.
신귀순 (2001). 가족의 기능에 따른 아동의 자기역량 지각과 대인관계 성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1990). 고등학생의 자살성향에 관한 연구: 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적인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9(1), 1-19.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2009a).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신우열, 최민아, 김주환 (2009b). 회복탄력성의세 가지 요인이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6(3), 43-81.
신정희 (2007).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혜정, 정익중, 이상아, 이향연, 박재연 (2014). 청소년의 우울,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교사회복지, 27, 25-50.
안소정, 박은희, 홍현주, 송정은, 육기환, 김소은 (2013). 청소년 우울증 환자에서 자살시도의 보호요인으로서 회복탄력성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2), 351-366.
안현진 (2009). 중학생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 성향적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지영, 박태영 (2013). 청소년의 자살생각에관한 연구: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8), 121-145.
유성경, 이소래 (2001). 청소년 비행수준에 따른 위험요소 및 보호요소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187-205.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 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윤기영 (2010). 고등학생의 가족관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에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상영 (2013). 아동기 학대 경험 및 부부폭력 노출 경험이 성인기 미치는 영향 회복 탄력성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님 (1996).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 훈련이아동의 자기통제능력과 과제수행능력의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0(1), 25-145.
이경진, 조성호 (2004). 청소년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6(4), 667-685.
이서원, 장용언 (2011).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가족응집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8(11), 111-136.
이은정 (2000). 가족의 기능적 특성과 교우관계가아동의 역량지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윤, 허재홍 (2003). 아동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위험요인. 청소년상담연구, 11(2), 85-95.
이지연 (2005). 스트레스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춘재, 성현란, 송길연, 윤혜경, 김혜리, 박혜원, 장유경, 정윤경 공역 (2002). 발달정신병리학: 영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박학사.
이현경 (2012). 지각된 부모의 공감능력이 후기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수 (2009). 역경속의 성장. 학지사.
장경문 (2003).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빛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0(4), 143-161.
장휘숙 (2010). 청년심리학 (제4판). 박영사.
장소현 (2010).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부모양육행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채영 (1999). 문제행동아의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과 동작성 가족화 검사반응간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귀연, 최보가(1995a). 가족응집성이 청소년의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3(1), 83-96.
전귀연, 최보가(1995b). 가족적응성이 청소년의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3(2), 73-87.
조순종 (2010).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소영, 이양희 (2007). 아동용 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초등학교 4-6학년용. 아동학회지, 28(2), 91-113.
채경숙 (2012).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승욱 (2011, 11, 1). 연령 낮아지는 자살상담. 초등생, 3년간 2.6배 급증.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5513068&code=11131200 에서 2015, 10. 자료 얻음.
최희량 (1998). 가족체계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문제 성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자살예방협회 (2008).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학지사.
한현아, 도현심 (2008). 가정의 위험요인,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의 질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1), 87-101.
허미정, 장석진 (2012). 가족기능과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3(3), 1211-1231.
Barnes, H., & Olsen, D. H. (198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circumplex Model. Child Development, 56, 438- 447.
Beck, A.,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343-352.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pp.39-101). Hillsdale, NJ: Lawrence:Erlbaum.
Brenda, M. (1998). Personal resilience, cognitive appraisals, and coping: An intergrative model of adjustment to abor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3), 735-752.
Brooks, R., & Goldstein, S. (2003). Nurturing resilience in our children. Chicago: Contemporary Books.
Choquet, M., Kovess, V., & Poutignat, N. (1993). Suicidal thoughts among adolescents: an intercultural approach. Adolescence, 28(111), 649-659.
DeWilde, E. J., Kienhorst, C. W., Diekstra, R. F., & Wolter, W. H. (1994). Social support, life events, and behavioural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ly distressed adolescents at high risk for attempting suicide. Adolescence, 29(113), 49-60.
Diekstra, R., Keinhorst, C., & DeWilde, F. (1995).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In M. Rutter & D. Smith, Psychosocial disorders in young people: time trends and their causes. Chichester(GB): Wiley.
Friedrich, W., Reams, R., & Jacobs, J. (1982).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1, 403-407.
Garrison, C. Z., Addy, C. L., Jackson, K. L., McKeown, R. E., & Waller, J. L. (1991). A longitudinal study of suicidal ideation in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0(4), 597-603.
Garmazy, N., & Rutter, M. (1985). Acute stress reactions. In M. Rutter & L. Hersov(Ed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Modern approaches. Oxford: Blackwell.
Galvin, K. M., & Brommel, B. J. (1986). Family communication: Cohesion and change, Illinois:Scott Foreman and Co.
Greene, D B. (1994). Childhood suicide and myths surrounding it. Social Work, 39, 230-232.
Goldenberg, I., & Goldenberg, H. (1991). Family therapy: An overview(3rd ed.).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Hoberman. H., & Garfinkel, B. (1988). Completed suicid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27, 689-695.
Hurry, J. (2000). Deliberate self-har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national Review Psychiatry, 12, 31-36
Kandel, D., Raveis, V., & Davies, M. (1991).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ce: Depression, substance use, and other risk fact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 289-309.
King, C. A., Segal, H., Kaminski, K., Naylor, M. W., Ghaziuddin, N., & Radpour, L. (1995). A prospective study of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5, 327-338.
Luthar, S. S., Cicchetti, D., & Becker, B.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543-562.
Mishara, B. L. (1999). Conceptions of death and suicide in children ages 6-12 and their implications for suicide prevent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9, 105-118.
Morrison, G. C., & Collier, J. G. (1969). Family treatment approaches to suicidal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Child Psychiatry, 8, 140-148.
Nrughan, L., Holen, A., & Sind, A. M. (2010). Associations between attempted suicide, violent life events, depressive symptoms, and resilience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8, 131-136
Olson, D. H., McCubbin, H. I., Barnes, H., Larsen, A., Muxen, M., & Wilson, M. (1986). Family Inventories. St. Paul, MN: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Olson, D. H., Russell, C. S., & Sprenkle, D. H. (198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VI.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22, 69-83.
Olson, D. H., Porter, J., & Lavee, Y. (1985). FACES Ⅲ. St. Paul, MN: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Olson, C. A., Bond, L., Burns, J. M., Vella-Brodrick, D. A., & Sawyer, S. M. (2003). Adolescent resilience: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olescence, 26, 1-11.
Pfeffer, C. R., Klerman, G. L., & Hurt, S. W. (1993). Suicidal children grow up: Rates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suicide attempts during follow up. Journal of American Academy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2, 106-113.
Reed, J. S., & Dubow, E. F. (1997). Cognitive and behavioral predictors of communication in clinic-referred and nonclinical mother-adolescent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 91-102.
Reivich, K., & Shatte,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NY: Broadway Books.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Taylor, E. A., & Stansfeld, S. A. (1984). Children who poison themselves. I. A clinical comparison with psychiatric control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5, 127-132.
Thompson, A. E., Eggert, L. L., & Hurting, R. J. (2000). Mediating effects of an indicated prevention program for reducing youth depression and suicide risk behavior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0(3), 252-271.
Tilmann, von S., Mossige, S., Stefansen, K., & Hjemdal, O. (2010). A Validation Study of the Resilience Scale for Adolescent.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32(2), 215-225.
Tugade, M, M., & Fredrickson, B. L. (2004).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2), 320-333.
Wilson, K. G., Stelzer, J., Bergman, J. N., Kral, M. J., Inaytullah, M, & Elliot, C. A. (1995). Problem solving, stress, and coping in adolescent suicide attemp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5, 241-252.
Williams, C., & Lyons, C. M. (1979). Family interaction and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ustralian Journal of Psychiatry, 10, 243-252.
Wyman, P. A., Sandler, I., Wolchik, S., & Nelson, K. (2000). Resilience as cumulative competence promotion and stress protection:Theory and intervention. In D. Cicchetti (Ed.), The promotion of wellnes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p. 133–184). Washington, DC:CWLA Press.
Yates, T., Egeland, B., & Sroufe, L. A.(2003). Rethinking resilience, A developmental process perspective. In S. Luther(Ed),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Adaptation in the context of adversiti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Zhang, J., & Thomas, D. L. (1991). Familial and religious influences on suicidal ideation. Family Perspective, 25, 30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