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사회초년생이 직업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중소기업에 취업한 대학졸업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fficulties of the new employees of the job world on the process of job adapt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초년생의 첫 직장 직업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 졸업 후 정규직이나 2년 이상의 계약직으로 첫 직장에 취업한 신입사원’ 8명을 대상으로 면담하였다. 면담자료는 근거이론적 방법(Strauss & Corbin, 1998)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분석결과 56개의 하위범주와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패러다임 분석결과 사회초년생이 직업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인과적 조건은 ‘준비 없는 취업’, ‘사회적 시선에 의한 취업’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존재감이 없는 나’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입사 초기 업무 부담’, ‘기대와 다른 직장생활’, ‘불만족스러운 근무여건’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정서적 위안을 위한 노력’, ‘대인관계를 위한 도움 추구’, ‘부정적인 동료관계’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전략은 ‘사고적 대처’,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 ‘행동적 대처’로 나타났다. 결과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 ‘막연한 진로계획’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직업적응과정 어려움의 핵심범주는 ‘존재감 없는 나에서 탈피하기’로 나타났다.

keywords
직업적응, 사회초년생, 직업적응의 어려움, 근거이론, job adaptation, new employee of job world, difficulties of job adaptation, foundation theory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iculties of the new employees of the job world on the process of job adaptation.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opening coding, 56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figured out. Secondly, the causal conditions included ‘employment without preparation’ and ‘employment by social eyesight’. The central phenomenon was ‘I without a sense of existence.’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work burden at the early stage of employment’, ‘employment life that is different from expectation’ and ‘unsatisfactory working condition.’ Mediating conditions included ‘efforts for emotional comfort’, ‘seeking help for interpersonal relation’ and ‘negative peer relation.’ Mutual operation strategy included ‘rational reaction’, ‘efforts to reinforce competence’ and ‘behavioral reaction.’ Results include ‘anxiety for uncertain future’, ‘ambiguous career preparation.’ Thirdly, the core category in difficulties of job adaptation process that was extracted from selection coding was ‘escaping from I having no sense of existence.’

keywords
직업적응, 사회초년생, 직업적응의 어려움, 근거이론, job adaptation, new employee of job world, difficulties of job adaptation, foundation theory

참고문헌

1.

구은주, 박윤배 (2011). 중등과학 초임교사가교직수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53-163.

2.

국제노동기구 (2013). 세계청년고용동향조사. GENEVA: 국제노동기구.

3.

김병숙, 김수정, 김민정 (2011). 직업카드분류의 주제어에 나타난 대학생의 선호직업특성 분석. 진로교육연구, 21(1), 25-49.

4.

김소영, 장원섭, 김민영 (2007). 대졸 초기 경력자의 조직적응 요인들과 심리사회적, 구조적, 학습경험적 요인들 간의 정준상관 분석 연구. 한국교육, 34(4), 105-129.

5.

김은지 (2011). 관리자의 코칭역량에 관한 부하직원의 인식수준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정아 (2008). 신입비서가 겪는 어려움에 대한 연구. 비서학논총, 17(2), 179-200.

7.

김종인, 박민혜 (2002). 신입사원의 이직의도에관한 실증연구: 채용과정 정보의 현실성을 중심으로. 상경연구, 27(2), 77-104.

8.

김홍균, 김지혜 (2007). 대학 전공 불일치가 임금에 미치는 효과. 응용경제, 11(1), 47-71.

9.

김한얼, 이진규 (1993). 조직사회화 과정에서멘토의 역할. 경영연구, 3(1), 99-121.

10.

김효정, 김봉환 (2011). 청년구직자들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사례분석. 상담학연구, 23(3), 785-810.

11.

나인강 (2005).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이직행위의 관계에 대한 패널자료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18(2), 51-72.

12.

박경규, 윤종록, 임효창 (1999). 신입사원의 조직사회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인사조직연구, 7(10), 43-82.

13.

박소연 (2012) 대기업 신입사원 조직사회화의장애요인 탐색. 산업교육연구, 24, 71-85.

14.

박은민 (2012).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2(7), 497-509.

15.

박정현, 류숙진 (2008). 대졸 초기 경력자의 이직의도와 이직행위: 개인특성, 직무만족, 조직․구조적 요인의 영향력 분석. 한국사회학회 사회과학대회 논문집, 2008(6), 853-871.

16.

박종원, 김선희, 허창구, 김완석 (2009). 직업심리학. 서울: 학지사.

17.

박희현 (2011). 대학생을 위한 리더십 계발 프로그램의 효과. 인간발달연구, 18(2), 1-20.

18.

백지연, 최윤정 (2007). 멘토 기능이 직무유형에 따라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10(2), 51-72.

19.

서지윤 (2007). 대학졸업예정자의 취업불안과 취업처 선정 기준 간의 관계 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송명자, 이현림 (2008).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인간관계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69-291.

21.

엄동욱 (2008). 패널자료를 이용한 연공임금분석: 한국노동패널조사(1~9차) 자료를 중심으로. POSRI 경영경제연구, 8(2), 79-105.

22.

용태경 (2009). 기업체 종사자의 개인-환경 일치에 따른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이직의도의구조모형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주희, 최명선, 박희현 (2009). 대학생을 위한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인간발달연구, 16(2), 205-220.

24.

심우정 (2004). 초기경력자의 학습과 적응에서 개발지원관계망의 역할.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장계영, 김봉환 (2011).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2(2), 539-558.

26.

장서영, 장원섭 (2008). 대졸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이직고려사유와 이에 대한 대응실태를 중심으로.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1(3), 105-138.

27.

장원섭 (2006). 일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28.

장원섭, 김소영, 김민영, 김근호 (2007). 대졸초기경력자의 직장 적응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직업교육연구, 26(3), 141-164.

29.

장원섭, 김정환 (2007). 비정규직 근로자의 학습과 적응방식에 관한 연구: 기업내 개발지원관계를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8(2).

30.

장주희 (2005). 초기경력자의 실행공동체 참여와학습 및 적응과의 상관성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연순 (2005). 실행공동체 참여로서의 일터학습-기업체 신입사원 및 초급 관리자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24(3), 99-121.

32.

주휘정 (2012). 신규 대졸자의 직장적응 곤란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HRD연구, 14(1), 73-93.

33.

채창균 (2005).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4.

채창균, 옥준필 (2006).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신입사원 교육훈련.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5.

탁진국 (2007). 개인-직무 부합의 선행변인과이직의도와의 관계: 신입사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4), 459-473.

36.

탁진국, 이동하, 박지현, 김현해, 정병석 (2008). 신입사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환경변수에 관한 연구. 응용통계연구, 21(3), 469-484.

37.

한국경영자총협회 (2014). 2014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분석. 서울: 한국경영자총협회.

38.

한국고용정보원 (2013). 2011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3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09년도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체제 구축.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NCS 학습모듈 이해 자료집.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1.

한상엽 (2011). 신입사원 조직정착화 방안. 임금연구, 19(3), 50-57.

42.

Dawis, R. V., & Lofquist, L. H. (1984).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Minneaplo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3.

Feldman, D. (1981). The multiple socialization of organization membe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6(2), 309-318.

44.

Feldman, D. (1988). Managing careers in organization. Glenview, IL: Scott, Foresman.

45.

Gurney, R. M. (1980). The effects of unemployment on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school-leavers.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3, 205-213.

46.

Holland, J. L. (1985).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careers.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47.

Kristof-Brown, A. L., Zimmerman, R., & Johnson, E. C.(2005). ‘Consequences of individuals’ fit at work: A meta-analysis of person-job, person-prganization, person-group, and personsupervisor fit. Personnel Pshchology 58, 281-342.

48.

Lincoln, Y. S., & Guba, E. G. (1985). Effective Evaluation. 4th Eds.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cation.

49.

Louis, M. R. (1980). Suprise and sense making:What newcomers experience in entering unfamiliar organizational setting.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5(2), 26-251.

50.

Osipow, S. H., & Fitzgerald, L. (1996).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 (4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51.

Strauss, A.,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52.

Strauss, A.,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2nd ed.). Thousand Oaks, CA: Sag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