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적 소진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의표집 방법으로 추출된 전국 7곳의 대학교 및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651명에게 부모화 경험, 불안, 정서적 소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0.0을 통하여 상관관계,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모화 경험과 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적 소진과 사회적 지지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부모화 경험이 직접적으로 불안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정서적 소진과 사회적 지지에 매개하여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담실제에서 불안을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의 경우 성장기 부모화 경험뿐만 아니라 매개효과가 검증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탐색과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anxiety. Through the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six hundred fifty on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seven universities and colleges located in South Korea. Parentification, anxiety, emotional exhaustion and social support was explored.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and all analyses were completed by using SPSS 21.0 and AMOS 20.0. Results suggests that parentification has an indirect effect on anxiety through emotional exhaustion and social support rather than have a direct effect on anxiety, suggesting to consider various factors associated with parentification to better help college students with anxiety related problems. Implication and potential for follow-up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강선모 (2013). 부모화와 안녕감의 구조관계분석: 수치심,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원희 (2010).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부적응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지희 (2008). 부모화경험이 청소년의 우울과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매개변인으로.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구자은 (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석만 (2010). 인생의 2막 대학생활. 서울: 학지사.
권은미 (2006). 내현적자기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경미, 이하나, 정주리, 정현주, 이기학 (2006). 갈등적 독립수준, 자기주장성, 정서표현에대한 양가감정으로 살펴본 부모화의 하위집단별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3(1), 19-32.
김도연 (1993). 성격특성, 가족지지 및 대처 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교생의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정택 (1978).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Spielberger의 STAI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진주, 노재훈, 원종욱, 이신영, 장세진 (2010).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2(3), 173-182.
김효정, 이승연, 노경란 (2014).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9(4), 339-359.
김희연, 채규만 (2010). 심리도식, 가족응집성-적응성, 스트레스 취약성과 자살생각의관련성. 인지행동치료, 10(1), 39-55.
김희정, 권정혜, 김종남, 이란, 이건숙 (2008).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후성장 관련 요인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781-799.
류정현 (2007). 한국적 부모-자녀 관계, 가족주의, 효. 부모교육연구, 4(2), 81-94.
문비 (2006).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영신, 김이철, (2000). 부모-자녀관계 변화가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초. 중. 고. 대학생의 성취동기, 생활만족도, 학업성취,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8(2), 109-147.
박진아, 신유림, 이미리, 전연진, 이경숙 (2015). 한국판 아동용 부모자녀관계 척도 표준화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2), 169-177.
박혜랑 (2010). 상태-특성불안, 자기효능감, 행동억제체계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경현, 조양선, 손 솔 (2013).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부모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03-217.
선 진 (2013).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 문제의관계: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연주 (2015). 초등학생의 ADHD 증상이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돌봄과교사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203-229.
신강현 (2003).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 소진 척도 (MBI-GS) 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3), 1-17.
신노라, 안창일 (2004). 성인 애착 유형과 자기개념, 효능감, 대처 양식, 사회적지지 수준과 대인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3(4), 949-968.
신주연 (2003). 성장기의 부모화 경험이 대학생의 병리적 의존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 변인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미진, 이은경, 이희우 (2006). 청소년의 심리내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정신건강에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4(1), 63-76.
원호택, 신현균, 박현순, 권석만 (1996). 불안장애환자가 나타내는 사고내용의 특성. 심리과학, 5(1), 1-12.
유성경, 박성호 (2002). 상담환경의 위험요소,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389-400.
이경아 (1997).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선영 (2004).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 결정수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선영, 안창일 (2012).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치료의 치료과정 변인과 치료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59-1076.
이영자 (1995).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역할.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3, 195-242.
정태연, 최상진, 김효창 (2002). 아동과 어른그리고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표상.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8(2), 51-76.
조맹제, 박종익, 배안, 배재남, 손정우, 안준호,이동우, 이영문, 이준영, 장성만 (2012). 보건복지부 학술연구 용역사업 보고서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서울대학교의과대학.
조성미 (2012). 청년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인지요인, 사회적 지지 및 리질리언스의 인과적 관련성.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은영 (2004). 부모화된 자녀의 심리적 특성 및가족 내 영향력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은영, 정태연 (2004). 자녀의 부모화와 관련된 심리적 특성들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9(1), 43-62.
조혜정 (2013).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자아분화가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성진 (2006). 사회복지사의 소진(Burnout)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인재 (2005).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문화적 특징 -부자유친성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59-1076.
최진숙, 조수철 (1990).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와 행동장애 및 반항장애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정신의학, 15(2), 147-159.
최혜윤 (2002).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지지와 심리적 소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4). 상담경향 분석보고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덕웅, 이장호, 탁진국 (1993). S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 검사의 표준화. 학생지도연구, 10(1), 214-222.
함광성 (2015). 중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Bagozzi, R. P., & Edwards, J. R. (1998). A general approach for representing constructs in organizationa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1), 45-8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Blumenthal, J. A., Burg, M. M., Barefoot, J., Williams, R. B., Haney, T., & Zimet, G. (1987). Social support, type a behavior, and coronary artery disease. Psychosomatic Medicine, 49(4), 331-340.
Borchet, J., Lewandowska-Walter, A., & Rostowska, T. (2016). Parentification in late adolescence and selected features of the family system. Health Psychology Report, 4(2), 116-127.
Boszormenyi-Nagy, I., & Spark, G. M. (1973). Invisible loyalties: Reciprocity in intergenerational family therapy. New York: Harper & row.
Browne,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Byng-Hall, J. (2002). Relieving parentified children's burden sin families with in secure attachment patterns. Family Process, 41(3), 375-388.
Catalan, J., Burgess, A., Pergami, A., Hulme, N., Gazzard, B., & Phillips, R. (1996). The psychological impact on staff of caring for people with serious diseases: the case of HIV infection and oncolog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0(4), 425-435.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Corrigan, P. W., Paul Holmes, E., & Luchins, D. (1995). Burnout and collegial support in state psychiatric hospital staff.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1(5), 703-710.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 16-29.
Davies, P. T. (2002). Commentary: Conceptual Links between Byng-Hall’s theory of parentification and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Family Process, 41(3), 551-555.
Dubow, E. F., & Ullman, D. G.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1), 52-64.
Earley, L., & Cushway, D. (2002). The parentified child. Clinical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7(2), 163-178.
Farber, B., Jenné, W. C., & Kirk, S. A. (1963). Family organiz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s and siblings of a retarded child.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28(7) 1-78.
Havighurst, R. J. (1968).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ew York: David Mackay Company.
Hooper, L. M. (2007). Expanding the discussion regarding parentification and its varied outcomes: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9(4), 322-337.
Jurkovic, G. J. (1997). Lost childhoods: The plight of the parentified child. New York: Brunner/Mazel.
Jurkovic, G. J., Jesse, E, H., & Goglia, L. R. (1991). Treatment of parental children and their families: Conceptual and technical issue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9(4), 302-314.
Jurkovic, G. J., & Thirkield, A. (1999). Filial Responsibility Scale-Adult(FRS-A). Unpublished document, Department of Psychology, Georgia State University, Atlanta, GA.
Jurkovic, G. J., Thirkield, A., & Morrell, R. (2001). Parentification in adult children of divorce: A multidimensional analysi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0(2), 245-257.
Kahill, S. (1988). Symptoms of professional burnout: A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Canadian Psychology/Psychologie canadienne, 29(3), 284.
Kendall, P. C., MacDonald, J. P., & Treadwell, K. R. (1995).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in youth. In A. Eisen, C. Kearney, & C. Schaefer(Eds.), Clinical handbook of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youth. 573-598. Northvale, NJ: Jason Aronson.
Neslihan. P., Üstün, B., & Gigliotti, E. (2009). Conceptualization of burno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uman systems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22(3), 200-204.
Maslach. C., & Jackson, S. E. (1981).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lto, CA: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397-422.
Matthews, K. A., & Angulo, J. (1980). Measurement of the Type A behavior pattern in children: Assessment of children's competitiveness, impatience-anger, and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51(2), 466-475.
McMahon, T. J., & Luthar, S. S. (2007). Defining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consequences of caretaking burden among children living in urban poverty.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7(2), 267-281.
Meyer, P. (1980). Between families: The unattached young adult. In Carter, E., &McGoldrick, M.(Eds.), The Family life cycle: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New York:Gardner Press.
Spielberger, C. D. (1983).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Form 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the strait trait anxiety interview(self-evaluation questionnaire).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Teyber, E. (2006). 이혼가정 자녀 어떻게 돌볼것인가 [Helping children cope with divorce]. (성정현, 김희수, 박한샘, 양심영, 양혜원, 전명희, 주소희, 최정숙 공역). 서울: 청목출판사. (원전은 1997년에 출판).
Van Loon, L., Van de Ven, M. O., Van Doesum, K., Hosman, C. M., & Witteman, C. L. (2015). Parentification, stress, and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who have a parent with mental health problems. Family process, 10(10), 1-13. Epub ahead of print.
Van Parys, H., Bonnewyn, A., Hooghe, A., De Mol, J., & Rober, P. (2015). Toward understanding the child'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parentification: Young adults'reflections on growing up with a depressed parent.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41(4), 522-536.
Wells, M., Glickauf-Hughes, C., & Jones, R. (1999). Codependency: A grass roots construct's relationship to shame-proneness, low self-esteem, and childhood parentification.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7(1), 6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