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기업상담자들의 소진 경험을 살펴보아 이들의 소진을 예방하고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 내 상담실에서 2년 이상 근무하고 본인이 소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상담자 총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를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진의 원인, 소진의 결과, 소진 극복방법의 3영역과 24개의 중심개념으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영역은 기업상담자들이 인식한 소진의 원인과 관련된 것으로, 14개 중심개념으로 구분되었다. 조직과 개인내담자 사이에서 이해당사자들 간 요구 조율, 비밀보장 원칙 준수, 조직 내 근무로 다른 조직원들과 맺게 되는 이중관계, 성과를 중요시하는 조직 요구에 부응 등이 포함되었다. 두 번째 영역은 기업상담자들의 소진 결과와 관련된 것으로, 5개의 중심개념으로 구분되었다. 육체적 피로와 신체적 증상, 대인관계 축소 및 철수, 부정적인 정서, 상담 및 업무에 대한 동기와 의욕 저하, 이직이나 퇴사에 대한 고민이 포함되었다. 세 번째 영역은 기업상담들의 소진 극복방법과 관련된 영역으로, 5개의 중심개념으로 구분되었다. 사회적지지 체계 활용, 인지적 문제해결방안 모색하기 등이 포함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상담자 소진 예방과 극복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ounselor burnout in order to assist in recovery and prevention. Participants included 10 counselors who had worked for at least 2 years and experienced burnout.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revealed 24 sub-domains within the following 3 domains: causes of burnout, conquences of burnout, and factors facilitating burnout recovery. The cause of burnout, as perceived by participating counselors was comprised of: coordinating demands, observing confidentiality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 observance of confidentiality, dual relationships within organization, and meeting organizational demands. Experiencing physical fatigue, physical symptoms, relational withdrawal, or negative emotions, and a decrease in motivation and desire of counseling/tasks resulted from burnout. Factors facilitating recovery from burnout included using social supports, finding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or enjoying leisure activities.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권재환, 박희현 (2010). 아동상담자의 자존감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3), 39-53.
김하나 (2010). 기업상담 운영 효과성 평가지표의상대적 중요도 산출–내부모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남현주 (2014). 기업 내 상담자의 역량 모델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HRD 연구, 16(1), 169-206.
류희영 (2008). 우리나라 기업상담의 실태 및 활성화 과제-기업상담자의 인식을 기반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세훈 (2002). 기업에서의 상담의 활용 가능성. 학생생활연구지, 20. 29-51.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박현주, 김봉환 (2010). 상담자의 성인애착유형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33-52.
백미현, 유현실 (2012).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자 발달수준과 소진의 관계: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6), 3191-3205.
심윤정 (2012). 기업 상담자의 기업 내 적응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대기업 내여성 상담자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 (4), 1819-1843.
양미진, 조수연, 이소엽 (2012). 청소년상담사개인 및 직무환경특성에 따른 소진 차이. 청소년상담연구, 20(1), 17-35.
양재원, 배주미, 강석영, 박용두, 송미경 (2010).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상담자의 심리적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의 성격과 조직 변인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8(1), 73-92.
엄재춘, 조영옥, 임경희 (2013). 학교상담자의자기효능감과 직무환경위험요소가 소진에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4(5), 3125-3143.
왕은자, 김계현 (2009).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세 관련 주체(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의인식. 상담학 연구, 10(4), 2115-2135.
윤부성 (2000). 아내학대 관련기관 상담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아랑, 정남운 (2011). 상담자 소진: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31-256.
윤은주 (2009). 상담자 소진에 대한 체험분석. 상담학연구, 10(4), 1855-1871.
이셈, 최한나 (2012).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조절효과. 인간이해, 33(1), 123-137.
이재곤, 김수연 (2008). 항공사 종사원들의 역할스트레스에 따른 직무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서비스연구, 8(1), 141-160.
이현아, 이기학 (2009).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적 소진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83-102.
이형주, 최해림 (2010). 상담자의 공감, 상태-특성불안, 완벽주의 부정적 결과가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31(1), 29-45.
장은비 (2015). 상담자의 직무소진과 가정소진:일-가족 갈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2), 115-138.
조해연, 이송하, 이동혁 (2013). 기업상담자 역할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상담학연구, 14(4), 2233-2251.
주은선, 최명희 (2005). 상담자들의 역할자신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내담자 통제권과 상담 장면의 내적, 외적 요인을 중심으로-. 덕성여대논문집, 34, 113-137.
최윤미, 양난미, 이지연 (2002). 상담자 소진내용의 질적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4(3), 581-598.
최혜영 (1994). 사회사업가들의 Burnou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복지관과 병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혜윤, 백현정, 차지숙, 김은하 (2015). 대학상담센터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회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7(4), 825-848.
홍준호 (2004). 상담자의 자아강도와 사회적지지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ernier, D. (1998). A study of coping: severe burnout and work-related stress successful recovery from other reactions to severe. Work & Stress, 12(1), 50-65.
Carroll, C. (1994). Building bridges: a study of employee counsellors in the private sector. Unpublished MSc dissertation. City University, London.
Carroll, C. (1997). Building bridges: a study of employee counsellors in the private sector. In M. Carroll, & M. Walton (Eds), Handbook of counseling in organizations. (pp. 222-239). London: SAGE Publications.
Carroll, M. (2010). 기업상담 {Workplace counseling:a systematic approach to employee care} (전종국, 왕은자, 심윤정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1996년에 출판).
Cherniss, C. (1980). Professional burnout in the human services organizations. New York: Praeger Publishers.
Cordes, C. L., & Dougherty, T. W. (1993).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4), 621-656.
Corey, M. S., & Corey, G. (2002). Becoming a helper. Pacific Grove, CA: Brooks/Cole.
Corey, G. (1996).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4th ed} (조현춘, 조현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1986년에 출판).
Edelwich, J., & Broadsky, A. (1980). Burnout:Stages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s. New York: Human Sciences Press.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Hill, C. E. (2012).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ill, C. E., Thomson, B. J., & Williams, E. W.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Hill, C. E., Thompson, B. J., Hess, S. A., Knox, S., Williams, E. N.,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Kirk-Brown, A., & Wallace D. (2004). Predicting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workplace counselors: the influence of role stressors, job challenge, and organizational knowledge.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41(1), 29-37.
Lee, J., Lim, N., Yang, E., & Lee, S. M. (2011).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ree dimensions of burnout i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 meta-analysi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42(3), 252-258.
Maslach, C. (1982). Burnout, the cost of ca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397-422.
Moore, K. A., & Cooper, C. L. (1996). Stress i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 theoretical overview.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42(2), 82-89.
Norcross, J. C. (2000). Psychotherapist self-care:Practitioner-tested, research-informed strategie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1(6), 710-713.
Orlans, V. (2003). Counseling psychology in the workplace. In R. Woolfe, W. Dryden, & S. Strawbridge (Ed.),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pp. 536-551). London: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