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중년여성 한부모의 성역할갈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Meaning of Life in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aged Female Single Parents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년여성 한부모를 대상으로 성역할갈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가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구조모형 분석을 위해 40세 이후에 배우자와 사별하였거나 또는 이혼한 뒤 2년 이상 경과하였고, 한 명 이상의 자녀와 함께 생활하고 있으며, 재혼하지 않은 40대-50대 중년여성 한부모 24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성역할갈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성역할갈등과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증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갈등이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삶의 의미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갈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부분 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가 상담에서 갖는 의미, 제한점을 제시하였고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keywords
중년여성 한부모, 성역할갈등,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 middle-aged female single parent, gender role conflict, posttraumatic growth, social support, meaning of life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ocial support and meaning of lif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and posttraumatic growth in middle-aged female single parents. For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data collected from 241 female, single parents (classified by marital status) in their 40s-50s was used.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or mod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o examine whether social support and meaning of life had mediating roles in the gender role conflict and posttraumatic growth relati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gender role conflict had a direct impa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an indirect impact on posttraumatic growth with meaning of life as a parameter.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meaning of life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and posttraumatic growth.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suggested.

keywords
중년여성 한부모, 성역할갈등,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 middle-aged female single parent, gender role conflict, posttraumatic growth, social support, meaning of life

참고문헌

1.

강희영 (2005). 배우자 사별 중년 여성을 위한사별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공선영 (2000). 모자가족의 경험과 적응에 관한연구: 변화 정도, 대치 전략, 적응 및 복지요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3.

곽배희 (2001). 한국사회의 이혼실태 및 원인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5.

권해수 (2011). 성폭력상담자의 대리외상 관련변인 연구: 상담유형, 외상경험,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1), 415-430.

6.

김경순 (2010).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가 모의 심리적 안녕 및 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모자보호시설 입소자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경희, 이희경 (2011). 긍정정서와 자기결정성요인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4), 1353-1370.

8.

김미숙, 원영희 (2006). 저소득층 한부모의 자아통제감이 주관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71, 75-105.

9.

김보라, 신희천 (2010).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17-136.

10.

김연수 (1995).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유심, 곽지영 (2010). 빈곤여성가장의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가족응집력이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거주 18세미만 자녀를 둔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1(1), 161-179.

12.

김지현 (2008). 여성성역할갈등척도 개발 및타당화: 여자대학생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9(4), 1-22.

13.

김지현 (2009). 여자대학생의 여성성역할, 여성성역할갈등과 진로결정 간 관계에서의 의사결정의존성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0(3), 239-256.

14.

김지현, 최희철 (2007). 남자청소년의 성역할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도구성과 성역할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07-121.

15.

김지혜 (2008). 중년기 이혼여성의 이혼 경험에관한 연구-중년기 발달과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김택호, 김재환 (2004).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465-490.

17.

김행섭, 김진숙 (2008). 양육 스트레스가 여성한부모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처전략과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9(4), 1567-1584.

18.

김혜선, 김은하 (2010). 이혼한 여성 한부모 어머니의 경험: 삶의 위기에서 시작된 경험들. 한국위기관리논집, 6(1), 219-242.

19.

남현주, 윤형식, 이태영, 신채영, 이동훈 (2013). 한부모 가정 청소년 자녀의 발달과 적응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1), 129-168.

20.

노영주 (2001). 이혼 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2), 43-63.

21.

박주연, 김경신 (2012). 가족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한부모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23-46.

22.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2(4), 1147-1168.

24.

서영석, 조화진, 안하얀, 이정선 (2012). 청소년들의 외상사건 경험. 교육심리연구, 26(3), 787-816.

25.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 (2009). 한국판외상 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93-214.

26.

송 욱 (2013). 40대 이혼 여성의 이혼 후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목회와 상담, 20, 30-60.

27.

송주연, 이희경 (2010).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희망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를 매개로. 상담학연구, 11(4), 1501-1517.

28.

신선영, 정남운 (2012). 삶의 의미와 사회적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인간이해, 33(2). 217-235.

29.

양복순 (2002). 중년여성의 배우자사별 경험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여성가족부 (2013).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www.mogef. go. kr에서 2013, 3, 8 자료 얻음.

31.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의미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32.

이경희 (2006). 이혼 후 한부모의 적응관련 요인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이부영 (2002). 자기와 자기실현. 서울: 한길사.

34.

이수림 (2013). 외상 유형이 외상 후 성장 및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319-341.

35.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 후 성장에 대한연구 개관: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23.

36.

이진희, 배은경 (2013). 완벽성의 강박에서벗어나 ‘충분히 좋은 어머니’(good-enough mother)로: 위니캇의 유아정서발달이론과어머니노릇을 중심으로. 페미니즘연구, 13(2), 35-75.

37.

장재정 (1998). 중년여성의 성역할 정체감과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전경숙 (2010). 한국 중년의 안녕감: 행복과 삶의 의미에 대한 척도 개발 및 집단 간 비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정주리, 이기학 (2007). 의미발견을 통한 의미추구와 주관적 안녕감의 모형 검증: 문제해결 책임감과 긍정적 재해석을 매개로. 상담학연구, 8(4), 1309-1321.

40.

주혜주 (2012). 여성은 어떻게 이혼을 결정하는가. 파주: 한국학술정보.

41.

최은화, 이윤화 (2010). 이혼 후 여성의 자기인식 변화 과정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8, 119-149.

42.

하정혜, 김지현 (2012). 한국 중년여성 성역할갈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13(6), 2987-3007.

43.

한경혜 (1993). 이혼 후 재혼 가족의 적응. 인간발달연구, 5(1), 234-267.

44.

한국여성민우회 가족과 성 상담소 엮음 (2001). 새로 짓는 우리집. 서울: 학민사.

45.

한기연 (1993). 다차원적 완벽성: 개념, 측정 및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한인영, 홍선희 (2011). 여성의 성역할인식이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4), 477-498.

47.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48.

Affleck, G., & Tennen, H. (1996). Construing Benefits from Adversity: Adaptotional Significance and Disposltional Underpinnings. Journal of personality, 64(4), 899-922.

49.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

50.

Astin, M. C., Lawrence, K. J., & Foy, D. W. (1993).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battered women: risk and resilience factors. Violence and victims, 18(1), 17-28.

51.

Bellizzi, K. M., & Blank, T. O. (2006).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 Psychology, 25(1), 47-56.

52.

Bem, S. L. (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155-162.

53.

Boals, A., & Schuettler, D. (2009). PTSD symptoms in response to traumatic and non-traumatic events: The role of respondent perception and A2 criterio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3(4), 458-462.

54.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56-89.

55.

Cohen, O., & Savaya, R. (2003). Adjustment to divorce: A preliminary study among Muslim Arab citizens of Israel. Family process, 42, 269-290.

56.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57.

Davis, C. G., & Morgan, M. S. (2008). Finding meaning, perceiving growth, and acceptance of tinnitus. Rehabilitation Psychology, 53(2), 128.

58.

Efthim, P. W., Kenny, M. E., & Mahalik, J. R. (2001). Gender role stress in relation to shame, guilt, and externaliza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9, 430-438.

59.

Erdwins, C. J., Buffardi, L. C., Casper, W. J., & O'Brien, A. S. (2001). The relationship of women's role strain to social support, rol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Family relations, 50(3), 230-238.

60.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Norton.

61.

Forste, R., & Heaton, T. B. (2004). The divorce generation: Well-being, family attitudes, and socioeconomic consequences of marital disruption.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41, 95-114.

62.

Frankl, V. E. (1963). Man's search for meaning. New York: Pocket Books.

63.

Frazier, P. A., Tix, A. P., & Barron, K. E. (2004).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Correction to Frazier et al..

64.

Gillespie, B. L., & Eisler, R. M. (1992). Development of the feminine gender role stress scale A cognitive-behavioral measure of stress, appraisal, and coping for women. Behavior Modification, 16(3), 426-438.

65.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MA:Harvard University Press.

66.

Guttman, H. A. (1991). Parental death as a precipitant of marital conflict in middle ag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7(1), 81-87.

67.

Helgeson, V. S. (2002). The psychology of gender. NJ: Prentice Hall.

68.

Helgeson, V. S., & Fritz, H. L. (1998). A Theory of Unmitigated Commun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2(3), 173-183.

69.

Helson, R., Stewart, A. J., & Ostrove, J. (1995). Identity in three cohorts of midlife wo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3), 544.

70.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

71.

Hicks, J. A., & King, L. A. (2009). Positive mood and social relatedness as information about meaning in life.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4(6), 471-482.

72.

Janoff-Bulman, R. (2004). Posttraumatic growth:Three explanatory models. Psychological Inquiry, 15(1), 30-34.

73.

Jung, C. G. (1954).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New York: Pantheon.

74.

Kalmijn, M., & Monden, C. W. (2006). Are the Negative Effects of Divorce on Well?Being Dependent on Marital Qualit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8(5), 1197-1213.

75.

Kaufman, G. (2000). Do gender role attitudes matter? Family formation and dissolution among traditional and egalitarian men and women. Journal of Family Issues, 21(1), 128-144.

76.

Kilmartin, C. T. (2009). 우리 안의 남성[The masculine self (3rd ed.)]. (김지현, 김현순, 조중신, 최희철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2007에 출판).

77.

Levinson, D. J. (1996).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New York: Knopf.

78.

Linel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 11-21.

79.

Maslow, A. (1979). Humanistic Education.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19(3), 13-25.

80.

Matud, M. P. (2004). Gender differences in stress and coping styl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7), 1401-1415.

81.

Mearcker, A., & Langner, R. (2001). Posttraumatic personal growth: Validation of German version of 2 questionnaires. Diagnostica.(German), 47, 153-262.

82.

O'Neil, J. M. (1981). Patterns of gender role conflict and strain: Sexism and fear of femininity in men's lives.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60, 203-210.

83.

O'Neil, J. M. (2008). Summarizing 25 Years of Research on Men's Gender Role Conflict Using the Gender Role Conflict Scale: New Research Paradigms and Clinical Implication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6(3), 358-445.

84.

Park, C. L. (2010). Making sense of the meaning literature: an integrative review of meaning making and its effects on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Psychological bulletin, 136(2), 257-301.

85.

Park, C. L., & Ai, A. L. (2006). Meaning making and growth: New directions for research on survivors of trauma. Journal of Loss and Trauma, 11(5), 389-407.

86.

Park, C. L., Cohen, L. H., & Murch, R. (1996).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64(1), 71-105.

87.

Park, C. L., & Folkman, S. (1997).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2), 115-144.

88.

Park, C. L., & Helgeson, V. S. (2006).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growth following highly stressful life events--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5), 791.

89.

Peterson, J. L., Folkman, S., & Bakeman, R. (1996). Stress, coping, HIV status, psychosocial resources, and depressive mood in African American gay, bisexual, and heterosexual me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4), 461-487.

90.

Pleck, J. H. (1981). The myth of masculinity. MA:MIT Press.

91.

Pleck, J. H. (1995). The gender role strain paradigm: An update. In R. R. Levant & W. S. Pollack (Eds.), A new psychology of men (pp. 11-32). New York: Basic Books.

92.

Rook, K. S., & Ituarte, P. H. (1999). Social control, social support, and companionship in older adults' family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Personal Relationships, 6(2), 199-211.

93.

Ryff, C. D., & Singer, B. (1998). The contours of positive human health. Psychological inquiry, 9(1), 1-28.

94.

Seligman, M.,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95.

Sharpe, M. J., Heppner, P. P., & Dixon, W. A. (1995). Gender role conflict, instrumentality, expressiveness, and well-being in adult men. Sex Roles, 33(1-2), 1-18.

96.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

97.

Spruijt, E., & Duindam, V. (2005). Problem behavior of boys and young men after parental divorce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43(3-4), 141-155.

98.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innesota.

99.

Taylor, S. E. (1983). Adjustment to threatening events: A theory of cognitive adaptation. American psychologist, 38(11), 1161-1173.

100.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101.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102.

Thornton, A. A., & Perez, M. A. (2006). Posttraumatic growth in prostate cancer survivors and their partners. Psycho. Oncology, 15(4), 285-296.

103.

Wang, H., & Amato, P. R. (2000). Predictors of divorce adjustment: Stressors, resources and defini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 655-669.

104.

Weathers, F. W., & Keane, T. M. (2007). The Criterion A problem revisited: Controversies and challenges in defining and measuring psychological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2), 107-121.

105.

Weiss, T. (2004). Correlates of posttraumatic growth in husbands of 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13(4), 260-268.

106.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US: Sage.

107.

Wester, S. R., Christianson, H. F., Vogel, D. L., & Wei, M. (2007). Gender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e role of social support.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8(4), 215.

108.

Yalom, I. D. (1982). The terrestrial meanings of life. In International Forum for Logotherapy. Viktor Frankl Inst of Logotherapy, 5(2), 92-102.

109.

Zoellner, T., & Maercker, A. (2006).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 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5), 626-65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