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북한이탈여성의 외상후성장에 관한 질적 연구: 중국 체류 시 결혼경험이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s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초록

본 연구는 중국 체류 시 결혼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여성의 외상경험, 외상후성장 요인, 외상후성장 경험에 대해 질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12명의 북한이탈여성에 대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이하 CQ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외상경험은 건강문제를 포함하여 11개의 범주로 나타났으며, 외상후성장요인은 내적인 요인(스트레스 대처, 성격, 인지과정 등)과 외적인 요인(타인의 도움과 지지 등)의 10개 범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요인들로 인해 연구대상자들은 자기에 대한 인식변화, 대인관계의 변화, 정서의 변화, 가치관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일하는 상담자들은 북한이탈여성의 외적인 지지체계를 지원하는 심리적 안전기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한편, 내적인 요인을 강화시키도록 돕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의 외상후성장요인을 밝힘으로써 심리적 외상 회복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상담적 개입의 시사점을 제안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의 한계점을 기술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했다.

keywords
북한이탈여성, 외상경험, 외상후성장(Posttraumatic Growth: PTG),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raumatic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

Abstract

This study qualitatively examined the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s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ho married Chinese men in order to flee North Korea. In particular, the study explore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efectors’ posttraumatic growth. To conduct the study, researchers recruited and interviewed 12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currently residing in South Korea. Results indicated that both internal (i.e.,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personality) and external factors (i.e., assistance and support from others) influence posttraumatic growth. Specifically, these factors influence whether participants develop positive perceptions of themselves, have improved relationships with others, maintain positive emotions, and develop positive valu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practitioners who work with North Korean defector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external support systems and improving inner strength to help them overcome traumatic stresses. Further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keywords
북한이탈여성, 외상경험, 외상후성장(Posttraumatic Growth: PTG),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raumatic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

참고문헌

1.

강성록 (2000). 탈북자의 외상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숙정, 이장호 (2009). MMPI검사결과를 통한새터민의 심리상담적 접근: 가양동 새터민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0, 235-250.

3.

권석만 (2004).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4.

김연희, 전우택, 조영아 (2010).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문제 유병율과 영향요인: 2007년입국자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19, 141-174.

5.

김영은 (2011). 인민에서 국민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지애, 이동귀 (2012). 외상후성장집단의 판별 요인 연구. 상담학연구, 13, 1845-1859.

7.

김태국 (2009).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외도적 반추에 따른 외상후 성장과 문화적응.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태현, 노치영 (2003). 북한이탈여성들의 삶이야기2: 생존전략을 중심으로 한 중국생활체험. 대한가정학회지, 41, 1-15.

9.

김현경 (2007).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 회복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현경 (2011). 탄력성(resilience) 관점에서 조명한 북한이탈여성의 생애 연구: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활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4, 7-36.

11.

김현경 (2012). 북한이탈주민의 결혼행복감에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8, 1-31.

12.

김현경, 전우택 (2009). 북한이탈주민의 삶의질이 외상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0, 363-397.

13.

김현경, 엄진섭, 전우택 (2008).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사회복지연구, 39, 29-56.

14.

김희경 (201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따른 복합 PTSD와 PTSD 증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 1003-1022.

15.

김희경, 신현균 (2010). 지역사회 정착 전후 북한이탈주민의 성 및 연령별 심리증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 707-724.

16.

김희정 (2008). 유방암생존자의 외상후성장 관련요인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승민 (2012). 상담학 분야의 질적 연구 경향분석-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2), 953-977.

18.

박영자 (2006). 선군시대 북한여성의 섹슈얼러티 연구: 군사주의 국가권력의 성정체성구성을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15, 129-161.

19.

박철옥, 안현의 (2009). 새터민의 대인관계적외상 경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0, 1891-1905.

20.

박혜원 (2006). 외상후 증상, 영성성 및 성장적숙고가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손정아 (2012). 자유를 선택한 북한이탈주민의외상회복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경북외국어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송 현 (2011).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이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대처를 매개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윤여상 (2004). ‘식량난’서 ‘삶의 질’로 탈북 원인 변화. 자유공론, 9월호, 41-45.

26.

윤여상, 김현아, 한선영 (2007).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개발 및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 693-718.

27.

이금순, 김규륜, 김영윤, 안혜영, 윤여상 (2005).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 프로그램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8.

이금순, 전현준 (2010). 북한주민인권의식 실태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9.

이명순, 박 경 (2011). 북한이탈여성의 외상경험과 우울: 낙관성의 중재 효과. 심리치료, 11, 1-29.

30.

이민영, 김현경 (2007). 새터민 여성의 이주로인한 상실의 극복 체험: 남한 남성과 결혼한 여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5, 525-554.

31.

이수림, 양미진 (2009). 질적분석을 통한 상담과정 중 내담자 지혜발달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 791-813.

32.

이숙영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남한내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북한, 탈북과정, 남한 적응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후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 1-23.

34.

이영선, 구혜완, 한인영 (2011).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통일문제연구, 56, 147-193.

35.

이재민, 황선영 (2008).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33, 61-84.

36.

이정호 (2011). 종교적 대처가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해응 (2005). 한국이주 경험을 통해 본 중국조선족 기혼여성의 정체성 변화. 여성학논집. 22, 107-143.

38.

장명선, 이애란 (2009). 서울시 북한이탈주민여성 실태조사 및 지원 정책 방안 연구, 서울: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단.

39.

정태연, 김영만 (2004). 남한사회에서의 생활경험이 탈북자에게 미치는 영향: 남한과 자신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3), 61-81.

40.

제성호 (2007). 북한여성 인권의 실태와 과제. 통일문제연구, 47, 177-206.

41.

조영아 (2012). 남한에서 자녀와 재결합한 북한이탈여성의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4, 197-222.

42.

조영아, 전우택, 유정자,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7, 467-484.

43.

지승희 (2013). 상담 분야의 CQR 연구 동향: 2001~2010년 상담관련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 2327-2349.

44.

진미정, 이순형, 김창대 (2009).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 서울: 학지사.

45.

최승미 (2008). 외상후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통일부 (2014). 북한이탈주민정책 통계자료. 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3099에서 2016. 06. 19 자료 얻음.

47.

통일부 (2016). 북한이탈주민정책 통계자료. 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3099에서 2016. 06. 19 자료 얻음.

48.

한노을 (2008). 외상후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아동기 성폭력을 경험한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석사학위논문.

49.

홍창형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대한 3년 추적 연구. 연세대학교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Abraido-Lanza, A. F., Guier, C., & Colon, R. M. (1998). Psychological thriving among Latinas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Social Issues, 54, 405-424.

51.

Andrykowski, M. A., Brady, M. G., & Hunt, J. W. (1993). Positive Psychological adjustment in potential bone marrow transplant recipients:Cancer as a psychosocial transition. Psycho-Oncology, 2, 261-276.

52.

Armeli, S., Gunthert, K. C., & Cohen, L. H. (2001). Stressor appraisals, coping, and post-event outcomes: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 366-395.

53.

Arnold, E. (1991). Issue of reunification of migrant West Indian children in the United Kingdom. In J, L. Roopnanine & J. Brown (Eds), Caribbean families diversity among ethnic groups (pp. 243-258). Greenwich, CT: Ablex Publishing Corp.

54.

Bonanno, G. A. (2004).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estimate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 American Psychologist, 59, 20-28.

55.

Bonanno, G. (2005). Resilience in the face of potential trauma.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4, 135-138.

56.

Brewin, C. R., Andrew, B., & Valentine, J. D. (2000). Meta -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rauma-exposed adul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 748-766.

57.

Calhoun, L. G., & Tedeschi, R. G. (1999). Facilitating posttraumatic growth: A clinician's guid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8.

Calhoun, L. G., & Tedeschi, R. G. (Eds.). (2006).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Mahwah, NJ: Erlbaum.

59.

Camille B. Wortman. (2004). Posttraumaric Growth: Progress and Problems. Psychological Inquiry, 15(1), 81-90.

60.

Davis, C. G., Nolen-Hoeksema, S., & Larson, J. (1998). Making sense of loss and benefiting from the experience: Two construals of mea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561-574.

61.

Evers, A. W. M., Kraaimaat, F. W., van Lankveld, W., Jongen, P. J. H., Jacobs, J. W. G., & Bijlsma, J. W. J. (2001). Beyond unfavourable thinking: The Illness Cognition Questionnaire for chronic diseas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 1026-1036.

62.

Ferren, P. M. (1999). Comparing perceived self -efficacy among adolescent Bosnian and Croatian refugees with and withou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2, 405-420.

63.

Gabbard, G. O. (2002). 역동정신의학. 서울:학지사. (원저 2000년도 출판).

64.

Hayes, S. C., Luoma, J. B., Bond, F. W., Masuda, A., & Lillis, J. (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 and outcome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4, 1-25.

65.

Hill, C. E., Thompson, B. J., Williams., E.N. (1997). A Guide to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 517-572.

66.

Hill, C. E., Thompson, B. J., Hess, S. A., Knox, S., Williams., E. N.,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196-205.

67.

Hill, C. E. (2016). 합의적 질적연구 - 사회과학현상 탐구의 실질적 접근- 서울: 학지사. (원저 2012년도 출판).

68.

Jeon W. T., Hong, C. H., Lee, C. H., Kim, D. K., Han, M. Y., & Min, S. K., (2005). Correlation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8, 147-154.

69.

Kim, Hyun Kyoung. (2012). A Study on the Perceived Growth after Adversity among North Korean Women Refugee: Application of Grounded Theory Method. OUGHTOPIA, 27(1), 33-66.

70.

Lashley, M. (2000). The unrecognized social stressors of migration and reunification in Caribbean families. Transcultural Psychiatry, 37, 203-217.

71.

McMillen, J. (1999). Better for it: How people benefit from adversity. Social Work, 44, 455-468.

72.

Park, C. L., & Helgeson, V. S. (2006).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Growth following highly stressful life events-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 791-796.

73.

Rosen, C. S., Chow, H. C., Finney, J. F., Greenbaum, M. A., Moos, R. H., Sheikh, J. I., & Yesavage, J. A. (2004). VA practice patterns and practice guidelines for trea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3), 213-222.

74.

Rousseau, C., Drapeau, A., & Rahimi, S. (2003). The complexity of trauma response: a 4-year follow-up of adolescent Cambodian refugees. Child Abuse & Neglect, 27, 1277-1290.

75.

Schaefer, J. A., & Moos, R. H. (1992). Life crises and personality growth. In B. N. Carpenter (Ed.), Personality cop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pp. 149-170). Westport, CT:Praeger.

76.

Seidman, I. (2009).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서울: 학지사. (원저 2006년도 출판).

77.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y, 55, 5-14.

78.

Shakespeare-Finch, J., & Copping, A. (2006).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in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Loss and Trauma, 11, 355-371.

79.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80.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ance. Psychological Inquiry, 15, 1-18.

81.

Waysman, M., Schwarzwald, J., & Solomon, Z. (2001). Hardiness: An examination of its relationship with positive and negative long term changes following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4, 513-548.

82.

Zollner, T., & Maercker, A. (2006).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 - 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 626-653.

83.

Znoj, H. J. (1999). European and American perspectives on posttraumatic growth: A model of personal growth: Life challenges and transformations following loss and physical handicap.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ventions of the APA, Boston, US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