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불안정 애착 엄마의 자녀양육과 안정화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The Experience of Parenting and Stabilization of Insecure Attachment Mothers: An Autoethnographic Study

초록

본 연구는 주양육자의 불안정 애착이 자녀의 양육과정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주양육자의 불안정 애착에도 불구하고 양육에서의 안정화를 이끄는 동인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주양육자 자신과 자녀 양육경험, 부모에 관한 기억자료, 어머니와 남편과의 인터뷰 자료, 자녀의 성인 애착 면접결과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시간의 흐름을 중심으로 질적 자료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장기코딩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은 삼각 검증법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주양육자의 불안정 애착은 주양육자의 양육기능과 양육의 질을 저하시켰지만 주양육자와 자녀 간의 애착은 일방향적이지 않으며 상호 조절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어졌다. 또한 자녀의 주양육자 이외의 안정 애착경험과 주양육자의 획득된 안정 애착으로의 성장은 양육에서의 안정화에 기여하였다. 연구자가 곧 연구참여자로 자신의 양육경험을 대상으로 한 자문화기술지의 글쓰기 작업은 연구과정이 곧 자기 성찰의 과정으로 연구자의 성장과 치유에 기여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및 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keywords
autoethnography, attachment, parenting, mentalizing, self-introspection, 자문화기술지, 애착, 양육, 정신화, 자기성찰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insecure attachment among foster mothers, and its impact on the child rearing process; specifically, what influences stabilization in parenting processes, in spite of insecure attach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secured via triangulation and long-term coding was conducted on collected parenting experiences. Results showed that insecure attachment in the main foster mother decreased both the parenting role and quality. Results also revealed that attachment between the main foster parent and the child is not unilateral, but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reciprocal regulation. Moreover, the child's secure attachment experience with a person, other than the main fosterer, and the acquired secure attachment of the main fosterer con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parenting processes.

keywords
autoethnography, attachment, parenting, mentalizing, self-introspection, 자문화기술지, 애착, 양육, 정신화, 자기성찰

참고문헌

1.

곽소현 (2006).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정서, 양육행동과 아동의 문제행동의 경로모형 분석-문제군과 일반군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광은 (2004). 성인 애착 유형과 요인에 따른 성격 특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53-69.

3.

김명찬 (2015). 나는 왜 서울대학교 박사가되어야 했나. 교육인류학연구, 18(2), 163-195.

4.

김유진 (2004). 영아의 안정애착 유발요인 연구. 아동복지연구, 2(2), 1-15.

5.

김재희 (2000). 지각된 양육태도와 내적작동모델애착의 상관과 세대간 전이: 부적응 청소년집단과의 비교.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지영, 민하영 (201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가 애정적-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137-155.

7.

김해영 (1995). 저소득층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희주 (1997). 아버지 자녀양육 참여도 및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모정은 (2011). 초등학생 모의 모애착, 아동의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과의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새봄 (2014). 어머니의 원가족 애착경험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 부부관계의 매개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성연, 하유미 (2012). 어머니의 성인애착,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 양식이 양육행동에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9(2), 175-195.

12.

박응임 (1995). 영아-어머니간의 애착유형과 그관련변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혜경 (2014). 어머니 대모애착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미경 (2014). 애착의 변화: 획득된 안정애착과현재의 불안정애착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수정 (2001). 정서적 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안정애착형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6.

손정민 (2014). 획득된 안정애착 어머니 특성에관한 연구: 자녀 애착, 정서조절전략, 결혼만족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안명희 (2010). 모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통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691-710.

18.

우복례 (2003). 애착문제/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임상 아동 어머니의 양육 경험 내적 실행모델 차이에 관한 연구: AAI(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원수연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아동기 애착경험 및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행동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원자희 (2004). 어머니의 애착유형 및 부부의 갈등해결방식과 자녀의 애착유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유영미 (2004). 어머니의 양육체계와 유아의 애착체계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유지영 (2014). 아버지 자녀양육의 책임성(responsibility)에 관한 연구: 개념, 특성, 항목 구성. 사회복지정책, 41(4), 19-37.

23.

이경희 (2015). 아동 인성 형성에 미치는 영, 유아기 양육환경의 영향력. 동광, 110, 79-115.

24.

이고은 (2010). 성인 애착 표상의 세대간 전이:미주 한인 1세대 어머니와 대학생 자녀를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동성 (2012). 질적 연구와 자문화기술지.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26.

이영환 (1993). 낯선 상황에서 영아의 아버지에대한 애착 유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이영환, 백지은 (1998). 아버지의 양육행동과유아의 애착,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5(1). 1-28.

28.

이현미 (1996). 어머니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아동의 애착 안정성. 카톨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9.

이현주, 안명희 (2012).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청소년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413-434.

30.

이혜승 (2000). 부모의 아동기 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31.

이희용 (2007). 한 고등학교 국어 교사의 성장체험: 자기 내러티브(self-narrative). 교육인류학연구, 10(2), 131-169.

32.

장미자 (1998). 애착의 세대간 전이: 어머니의내적실행모델과 영아의 애착유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전효정 (2003). 어머니-유아 애착의 세대간 전이의 메커니즘: 어머니의 내적 실행모델과 자녀양육 행동이 유아의 애착유형에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8(3), 159-174.

34.

정경화 (2013). 어머니 대모애착 및 양육효능감과 영아와 유아의 발달 단계에 따른 애착 및 기질과의 관계.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정고운 (2011). 보상애착 대상으로서의 하나님에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혜승 (2000). 어머니 자신의 부모 애착 및 양육행동과 자녀 애착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진미경 (2009). 성인의 원부모와의 애착 표상과 낭만적 애착 및 아동기 양육 경험과의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1), 117-128.

38.

차혜명, 김은영 (2016). 정신화(mentalization) 개념을 통한 애착 이론과 정신 분석의 재조명: 정신화의 경험적 기반과 측정의 임상적 함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167-190.

39.

최옥자 (2006). 어머니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자녀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Adam, E. K., Gunnar. M. R., & Tanaka. A. (2004). Adult attachment, parent emotion, and observed parenting behavior: Mediator and moderator models. Child Development, 75(1), 110-122.

41.

Ainsworth, M. D. S. (1963). The development of infant-mother interaction among the Ganda. In B. M. Foss (Ed.), Determinants of infant behaviorⅡ(pp. 67-112). New York: Wiley.

42.

Ainsworth, M. D.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3.

Bartholomew, K., & Horowittz. L. M. (1991).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 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2), 226-244.

44.

Beebe, B. (2010). Mother-infant research informs mother-infant treatment.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38(1), 17-36.

45.

Belsky, J. (1993). Promoting father involvement-an analysis and critique: Comment on silverstei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7(3), 287-292.

46.

Berscheid, E. (1994).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5(1), 79-129.

47.

Bowlby, J. (1973). Attachment and loss. v.2, Seperation: anxiety and anger. New York: Basic Books.

48.

Chang, H. (2008). Autoethnography as method. Walnut Creek, California: Left Coast Press, Inc.

49.

Collins, N. L., & Read, S. J. (1990).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4), 644-663.

50.

Crowell, J. A., & Feldman, S. S. (1988). Mothers’internal models of relationships and children’s behavioral and developmental status: A study of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9(5), 1273-1285.

51.

Duncan, M. (2004). Autoethnography: Critical appreciation of an emerging art.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3(4), 28-39.

52.

Erickson, M. F., Sroufe, L. A., & Egeland, B. (1985).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attachment and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in a high-risk sample. In I. Bretherton & E. Waters (Eds.),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 (pp. 147-166).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3.

Fearon, P., Shmueli-Goetz, Y., Viding, E., Fonagy, P., & Plomin, R. (2014).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adolescent attach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5(9), 1033-1041.

54.

Fonagy, P., & Campbell, C. (2015). Bad blood revisited: Attachment and psychoanalysis, British Journal of Psychotherapy, 31(2), 229-250.

55.

Fonagy, P., & Target, M. (1996). Playing with reality I.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77(2), 217-234.

56.

Grice, H. P. (1975). Logic and conversation. In P. Cole, & J. L. Morgan (Eds.), Syntax and semantics Ⅲ: Speech acts (pp. 41-58). New York: Academic Press.

57.

Grille, R. (2015). 0-7세, 감정육아의 재발견: 7세까지 경험한 감정은 두뇌에 저장되어 아이의 행동과 성격을 결정한다. (이주혜 역). 서울: 글담.

58.

Hesse, E. (1999).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Historical and current perspectives. In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pp. 395-433). New York: Guilford Press.

59.

Jones, S. H. (2005). Autoethnography: Making the personal political. In N. K. Denzin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3rd ed.) (pp. 763-791). Thousand Oaks, CA: Sage.

60.

Lamb, M. E. (2002). Infant-father attachments and their impact on child development. In C. Tamis-LeMonda & N. Cabrera (Eds.), Handbook of father involvement: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pp.93-117). Mahwah, New Jersey:Erlbaum.

61.

Lyuten, P. (2015). Unholy questions about five central tenets of psychoanalysis that need to be empirically verified. Psychoanalytic Inquiry 35, 5-23.

62.

McAdams, D. P., & McLean, K. C. (2013). Narrative identit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2(3), 233-238.

63.

Main, M. (1995). Attachment: Overview, with implications for clinical work. In. S. Goldberg, R. Muir, & J. Kerr (Eds.), Attachment theory:Social, developmental and clinical perspectives, (pp.407-474). Hillsdale, New Jersey.: Analytic Press.

64.

Main, M., Kaplan, N., & Cassidy, J. (1985). Security in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A 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In I. Bretherton & E. Waters(Eds.),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1-2) (pp.66-104),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5.

Main, M., & Solomon, J. (1990). Procedures for identifying infants as disorganized/disoriented during the Ainsworth strange situation. In M. Greenberg, D. Cicchetti, & E. M. Cummings (Eds.), Attachment during the preschool years: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pp. 121-16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6.

McLean, K. C. (2005). Late adolescent identity development: narrative meaning making and memory telling. Developmental Psychology, 41(4), 683-691.

67.

McLean, K. C., Pasupathi, M., & Pals, J. L. (2007). Selves creating stories creating selves:A process model of self-develop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1(3), 262-278.

68.

McLean, K. C., & Pratt, M. W. (2006). Life’s little (and big) lessons: Identity statuses and meaning-making in the turning point narratives of emerging adults. Developmental Psychology, 42(4), 714-722.

69.

Pinquart, M., Feussner, C., & Ahnert, L. (2013). Meta-analytic evidence for stability in attachments from infancy to early adulthood.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15(2), 189-218.

70.

Russell, C. (1999). Experimental ethnography: The work of film in the age of video.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71.

Saldaña, J. (2009).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Los Angeles, California:Sage.

72.

Saunders, R., Jacobvitz, D., Zaccagnino, M., Beverung, L. M., & Hazen, N. (2011). Pathways to earned-security: The role of alternative support figures.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13(4), 403-420.

73.

Siegel, D. J. (1999). The developing mind: How relationships and the brain interact to shape who we are. New York: Guilford Press.

74.

Spry, T. (2001). Performing autoethnography: An embodied methodological praxis. Qualitative Inquiry, 7(6), 706-732.

75.

Sroufe, L. A. (1986). Appraisal: Bowlby's contribution to psychoanalytic theory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Attachment Separation: Los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7(6), 841-849.

76.

Sroufe, L. A., & Waters, E. (1977). Attachment as an organizational construct. Child development, 48(4), 1184-1199.

77.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6). Time of change? The spiritual challenges of bereavement and loss. Omega-Detroit Then New York, 53(1-2), 105-116.

78.

Trahar, S. (2009). Beyond the story itself:Narrative inquiry and autoethnography in intercultural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10(1), 1-20.

79.

Van Ijzendoorn, M. H. (1995). Adult attachment representations, parental responsiveness, and infant attachment: A meta-analysis on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Psychological Bulletin, 117(3), 387-403.

80.

Wallin, D. J. (2010). 애착과 심리치료. (김진숙, 이지연, 윤숙경 역). 서울: 학지사.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