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메타분석에 기초한 우울과 불안증상에 대한ACT(수용-전념치료) 기반 집단상담 효과

Effectiveness of ACT-based Group Counseling for Depression and Anxiety: A Meta-Analysis

초록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8년 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우울과 불안증상에 대한 수용-전념치료 기반 집단상담의 효과성을 메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우울증상에 대한 16편의 연구에서 산출된 17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한 평균 효과크기는 -.838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우울증상에 대한 치료적 효과는 집단구성원이 남녀 혼합인 경우, 대학생/대학원생인 경우, 준임상 집단일 때, 7∼8회기로 구성하였을 때, 실시기간이 4주 이하일 때, 주당 2회 실시되었을 때, 회기 시간이 91∼120분 일 때, 집단원이 10명 이하인 경우와 무처치 통제집단이었을 때 더 큰 치료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불안증상에 대한 19편의 연구에서 산출된 26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한 결과, 평균 효과크기는 -.789으로 중간크기로 나타났다. 불안증상에 대한 치료적 효과는 남녀혼합 구성, 대학생/대학원생인 경우, 7∼8회기, 실시기간은 4주 이하, 주당 회기 수는 1회 또는 2회기, 회기 시간이 91∼120분, 집단원이 10명 이하로 구성되었을 때와 무처지 통제집단일 때 더 큰 치료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CT, meta-analysis, depression, anxiety, moderator, effective size, 수용전념치료, 메타분석, 우울증상, 불안증상, 조절변인, 효과크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was to estimate the effect size of ACT-based group counseling for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16 studies on depressive symptoms and 17 studies on anxiety symptom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 of AC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depression was -.883, respectively large; and, the average effect size of AC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nxiety was -.789, respectively moderate. Effect sizes varied according to moderators including age, gender, health status, number of sessions, experimental period, times per term, time per session, type of control group, and published year.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were most largely mediated when ACT-based counseling was conducted with less than 10 participants during an experimental period of 4 weeks, 7-8 times per term, and 91-120 minutes session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ACT, meta-analysis, depression, anxiety, moderator, effective size, 수용전념치료, 메타분석, 우울증상, 불안증상, 조절변인, 효과크기

참고문헌

1.

*강경화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소방공무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불안 통제감, 수용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민지, 김미리혜, 김정호 (2015). 수용전념치료가 유방암 환자의 부정정서, 수용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 17-34.

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7).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http://opendata.hira.or.kr 에서 검색.

4.

*권성일 (2012).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사회불안 수준이 높은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단기 종단 연구.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희 (2016). 수용전념치료(ACT)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에 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5), 145-153.

6.

*김두현 (2015). 수용전념치료가 사회공포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불안, 거절 민감성 및 경험회피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옥, 손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ACT)가 대학생의 대인 불안,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01-321.

8.

*김미하, 손정락 (2011). 수용전념 집단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1), 207-223.

9.

*김송언 (2013).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수용기반 노출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경 (2013). 명상집단치료가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의 불안민감성 및 불안통제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수용-전념치료와 알아차림명상을 중심으로. 명상심리상담, 9, 67-77.

11.

*김수인, 백지숙 (2013).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집단치료의 효과-인지적 탈융합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19-40.

12.

*김유리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사회불안과 내현적 자기애가 높은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 사회불안, 내면화된 수치심 및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미, 손정락 (2013). 수용 전념 치료(ACT)가 발표불안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적 회피와 자기-초점적 주의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267-283.

14.

*김채순 (2012). 수용전념 및 인지행동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 심리적 수용 및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혜은, 김도연 (2012). 수용전념 치료가 불안사고 및 불안민감성, 수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발표불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2), 299-310.

16.

*김효정 (2015).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휴대폰 판매원의 우울, 직부소진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임상약학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노지윤, 강혜자, 손정락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과도하게 걱정하는 대학생들의 걱정증상, 상태 및 특성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정서 조절 및 경험회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4), 909-923.

18.

박선미 (2015). 심리우울과 불안증상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에 기반을 둔 개입 효과의 메타분석.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세란, 이훈진 (2012). ACT 기반 가치탐색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인지행동 치료, 12(1), 1-20.

20.

*심태경 (2017). 군병사의 대인민감성, 좌절된 소속감, 부정적 자기초점,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수용-전념을 기반으로 한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양선미, 박 경 (2014).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를 위한 수용전념 집단치료 및 자기자비의 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6(1), 27- 47.

22.

*오정은 (2015). 수용-전념치료(ACT)가 우울한 평가염려 완벽주의 대학생의 완벽주의, 자기 비난, 이분법적 사고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온안국, 손정락 (2017). 수용전념치료가 학군사관 후보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수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0), 261-268.

24.

*유화경, 손정락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 중독을 보이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자기 조절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4(2), 415- 426.

25.

*이경희 (2017). 우울과 불안증상 취약성개입에 대한 예비연구: 인지행동치료와 수용전념치료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32-53.

26.

*이규복 (2015). 수용전념치료가 대인불안이 있는 대학생의 주장성과 대인불안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보민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불안애착 대학생의 우울, 반추,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불안 애착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선영, 안창일 (2012).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치료의 치료과정 변인과 치료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223-254.

29.

*이준석 (2016). 수용 전념치료가 사회불안 대학생의 사회불안 증상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사회불안 수용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현아 (2010).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이 부모의 문제음주를 경험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우울 및 수용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혜진, 박형인 (2015). 마음챙김 기반 치료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991-1038.

32.

조용래, 노상선, 조기현, 홍세희 (2014). 우울과 불안증상에 대한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개입의 효과-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223-254.

33.

*조현주 (2012). 자애명상 기반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우울경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4), 903-931.

34.

조희현, 이주희 (2017). 마음챙김 명상의 메타분석-ACT와 MBSR 중심으로. 스트레스 학회, 25(2), 69-74.

35.

하지연, 신성만 (2016). 청소년 인터넷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적용이론과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191-216.

36.

*하진미, 손정락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1(1), 1-16.

37.

황성동 (2014).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서울: 학지사.

38.

황정규 (1998). Meta-Analysis의 이론과 방법(경험과학적 연구 결과의 종합을 위하여). 서울: 성곡학술재단.

39.

홍혜라 (2016). 수용-전념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아동의 분노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Armstrong, A. B., Morrison, K. L., & Twohig, M. P. (2013).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adolescent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Utah: Utah State University Press.

41.

A-Tajk, J. G., David, M. L., Morina, N., Powers, M. B., Smits, J. A., & Emmelkamp, P. M. (2014). A meta-analysis of the efficacy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psychical health problems.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85(1), 30-36.

42.

Beeson, P. M., & Robey, R. R. (2006). Evaluating single treatment research: lessons learned from the aphasia literature. Neuropsychology Review, 16(4), 161-169.

43.

Bohlmeijer, E. T., Fledderus, M., Rolox, T. A., & Pieterse, M. E. (2011). Efficacy of an early intervention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adults with depressive symptomtology: Evaluation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9(1), 62-67.

44.

Bond, F. W., & Bunce, D. (2000). Mediators of change in emotional-focused and problem- focused worksite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 156-163.

45.

Bond, F. W., & Hayes, S. C. (2003). The role of acceptance and job control in mental health, job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6), 1057-1067.

46.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 Rothsten, H. (2009). A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New York: John Wiley & Sons.

47.

Brown, L. A., Forman, E. M., Herbert, J. D., Hoffman, K. L., Yuenm, E. K., & Goetter, E. M. (2011).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cceptance-based behavior therapy and cognitive therapy for test anxiety: a pilot study. Behavior Modification, 35(1), 31-53.

4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Y: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49.

Coyne, L. W., McHugh, L., & Martinez, E. R. (2011).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Advance and applications with children, adolescents, and familie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20(2), 379-399.

50.

Dahl, J., Wilson, K. G., & Nilsson, A. (2004).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the treatment of persons at risk for long-term disability resulting from stress and pain symptoms: a preliminary randomized trial. Behavior Therapy, 35(4), 785-801.

51.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52.

Egger, M., Smith, G. D., Schneider, M., & Minder, C. (1997).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simple, graphical test. British Medical Journal, 315(7109), 629-634.

53.

England, E. L., Herbert, J. D., Forman, E. M., Rabin, S. J., Juarascio, A., & Goldstein, S. P. (2012). Acceptance-based exposure therapy for public speaking anxiety. Journal of Contextual Behavioral Science, 1(1), 66-72.

54.

Folke, F., Parling, T., & Melin, L. (2012).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depression: a preliminary randomized clinical trial for unemployed on long-term sick leave. Cognitive Behavior Press, 19(4), 538-594.

55.

Forman, E. M., Herbert, J. D., Moirta, E., Yeomans, P. D., & Geller, P. A. (2007). A randomized controlled effectiveness trial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cognitive therapy for anxiety and depression. Behavior Modification, 31(6), 772-799.

56.

Forsyth J. P., Parker, J. D., & Finlay, C. G. (2003). Anxiety sensitivity, controlla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and their relation to drug choice and addition severity in a residual sample of sybstance-abusing veterans. Addictive Behaviors, 28(5), 851-870.

57.

Franklin, M. E., Best, S. H., Wilson, M. A., Loew, E., & Compton, S. N. (2011). Habit reversal training an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tourette syndrome: a pilot project. Journal of Development and Physical Disabilities, 23(1), 46-60.

58.

Graham, C. D., Gouick, J., Krahe, C., & Gillanders, D. (2016). A systematic review of the use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in chronic disease and long-term conditions. Clinical Psychology Review, 46, 46-58.

59.

Haker T., Stone, P., & MacBeth, A. (201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do we know enough? Cumulative and sequential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90, 551-565.

60.

Hayes, S. C., Boyd, C. P., & Sewell, J. (2011).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treatment of adolescent depression; a pilot study in a psychiatric outpatient setting. Mindfulness, 2011(2), 86-94.

61.

Hayes, S. C., Follette, V. M., & Linehan, M. M. (Eds.). (2004). Mindfulness and acceptance. New York: Guilford Press.

62.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63.

Hayes S. C., Villatte, M., Levin, M., & Hildebrand, M. (2011). Open, aware, and active: contextual approaches as an emerging trend in the behavioral and cognitive therapies.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7(1), 141-168.

64.

Hedges, L. V., & Olkin, I. (1985). Statistical selection effect in meta-analysis. New York: Academic Press.

65.

Higgins, J. (2011). Cochran handbook for systematiview of intervention. Chichester, UK: Wiley.

66.

Kocovski, N. L., Fleming, J. E., Hawley, L. L., Huta, V., & Antony, M. M. (2013). Mindfulness and acceptance-based group therapy versus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 group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51(12), 889-989.

67.

Max, B. P., & Sloan, D. M., (2005). Posttraumatic dissoci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as predictor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3(5), 569-583.

68.

Ӧst, L. G. (2008). Efficacy of the third wave of behavioral therap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6(3), 296-321.

69.

Ӧst, L. G. (2014). Efficacy of the third wave of behavioral therapie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61, 105-121.

70.

Peter, A. S., Tom, M., & Jorge, E. E. (2017).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using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s an intervention in the management of non-malignant, chronic pain in adult. International Journal of Osteopathic Medicine, 24, 18-31.

71.

Powers, M. B., Zum, M. B., & Emmelkamp, P. M. G. (200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 meta-analytic review.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78(2), 73-80.

72.

Roemer, L., Salters, K., Raffa, S., & Orsillo, S. M., (2005). Fear and avoidance of internal experiences in GAD: Preliminary treats of a conceptual model.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9(1), 71-88.

73.

Rosenthal, R., & Rubin, P. (1983).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3), 638-641.

74.

Ruiz, F. J. (2012).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versus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 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urrent empirical evidence. International Journal Psychology & Psychological Therapy, 12, 333-357.

75.

Twohig, M.. P., Hayes, S. C., & Masuda, A. (2006). Increasing willingness to experience obsessions: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s a treatment fo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7(1), 3-13.

76.

Woidneck, M. R., Morrison, K. L., & Twohig, M. P. (2014).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among adolescents. Behavior Modification, 38(4), 451-476.

77.

Zettle, R. D., & Hayes, S. C. (1986). Dysfunctional control by client verbal behavior: the context of reason giving. The Analysis of Verbal Behavior, 4(1), 30-38.

78.

Zettle, R. D., & Rains, J. DC. (1989). Group cognitive and contextual therapies in treatment of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5(3), 438-44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