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적응과 우울, 불안의 관계와 학교적응과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모애착과 부애착의 조절효과를 각각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Ping의 2단계 방법을 적용하여 모애착과 부애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학교적응과 관련한 하위 요인으로는 학교흥미, 학업성취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적응은 모애착, 부애착과 정적인 상관관계, 우울, 불안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과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모애착은 모두 유사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부애착의 경우에는 학교적응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유사조절 효과를, 학교적응과 불안 간의 관계에서는 순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조절효과의 양상을 확인해 본 결과, 학교적응과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모애착과 부애착은 모두 긍정적인 효과의 크기를 상승시키는 형태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모애착과 부애착이 높을수록 우울과 불안을 낮추는 효과가 더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Ping의 2단계 방법을 적용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적응과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모애착, 부애착의 조절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 and father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s among school adjustment, anxie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A total of 334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ing's two-step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showed that school adjus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mother attachment and father attachment, while school adjust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depression and anxiety. Further, mother attachment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depress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anxiety, while father attachment showed a moderating effect sole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anxiety. There was a main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such that students who had higher attachment to both mother and father showed lower depression and anxiety score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강유선 (2013). 청소년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공감과 정서표현성의 영향에 대한 고찰.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13(1), 153- 176.
강유임, 김병석 (2013). 다문화가정 아동의 모애착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정적 대처기제의 중재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1(1), 19-42.
고수현, 강석기 (2014). 고등학생의 우울과 불안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분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6(4), 149-172.
권오숙, 문성호 (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기통제력과 충동구매 경향성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4(1), 31-46.
권애리 (2017). 김범주의 친절한 경제, 육아하는 아빠를 위한 대디 컬렉션 인기. SBS 뉴스,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id=N1004316955&plink=ORI&cooper=NAVER
기광도 (2009). 결손가정과 청소년 비행 간의 관계분석. 형사정책연구, 20(1), 41-70.
김갑숙, 전영숙, 이철우 (2009). 청소년의 부모애착,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17, 209-224.
김누리, 신나나 (2017). 성인진입기 여성의 부모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0(2), 19-42.
김미정, 강인설 (2008). 애착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1995년~2007년. 아동학회지, 29(5), 165-180.
김문주, 이혜성 (1991).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1), 32-45.
김사라형선 (2012).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아동학회지, 33(3), 119-130.
김 산, 하은혜 (2011). 청소년의 특성불안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왜곡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놀이치료연구), 14(2), 57-71.
김소린, 이은정, 조수현, 이성찬, 이상민 (2014). 심리적 요인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자존감, 우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5(3), 1049-1065.
김소연, 이영식, 한덕현, 남규탁, 고복자 (2006). 기질 및 애착유형이 청소년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45(3), 222- 229.
김수연 (2016). 스트레스와 정신적 불안과의 관계에서 사상체질에 의해 조절된 신체적 불안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1215-1235.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서울: 학지사.
김수희 (2009).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윤희, 허영란 (2000). 중, 고등학생의 물질남용 경험과 불안, 우울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9(4), 631-649.
김원경 (2014). 한국 초, 중,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 한국청소년연구, 25(3), 199-231.
김정민, 유안진 (2005). 부모의 이혼과 청소년의 우울과 외로움: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2, 159-176.
김정화, 조춘범 (2017).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복지상담교육연구, 6, 381-403.
김진숙 (2001). 대상관계이론의 상담적 적용에 대한 고찰. 상담학연구, 2(2), 327-343.
남윤주, 이 숙 (2009). 다문화가족과 한국인 부모 아동의 모애착,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 우울 비교.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3), 357-367.
문승태, 김희수 (2009). 농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불안, 심리적 안녕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1(1), 67-85.
민하영 (2012). 학령기 아동의 모애착과 우울 관계에서 또래애착이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1(5), 915-927.
박기쁨, 우상우, 장문선 (2012). 대학생 집단을 통한 단축형 간이정신진단 검사-18 (BSI-18)의 타당화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2), 507-521.
박영신, 김의철 (2003).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9(1), 81-114.
박정녀, 최해림 (2005).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자동적 사고 및 공격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49-264.
박현선 (1999).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이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 105-129.
배미예, 이은희 (2009).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및 우울/불안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0(1), 85-112.
서은주, 이현림 (2008). 집단상담: 애착증진 부모교육 집단상담이 성인애착, 자아존중감 및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9(3), 1117-1135.
선영운 (2016). 아동의 모애착, 또래관계기술,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애착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7(3), 49-80.
소선숙, 송민경, 김청송 (201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학교적응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7(3), 1-23.
송아랑, 신효정 (2015). 학교적응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또래갈등해결전략의 조절효과. 발달지원연구, 4, 21-38.
신문혜, 이지연 (2015). 애착이 자기대상욕구를 매개로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학회, 22(1), 125-142.
신민진, 하은혜 (2010).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인지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59-477.
안혜원, 이재연 (2009).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 대한 부모애착 및 부모감독의 중재효과. 아동학회지, 30(1), 77-88.
양미진, 이은경, 이희우 (2006). 청소년의 심리내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4(1), 63- 76.
유정, 김봄메, 신형섭, 정주영, 최남희 (2010). 고등학생의 대학입시에 대한 스트레스(심리적 충격, 우울, 불안)와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한국위기관리논집, 6(3), 223-241.
유현애, 홍혜영 (2013). 중장기청소년쉼터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불안에 미치는 심리극 효과. 청소년학연구, 20(4), 97-124.
윤명숙, 이재경 (2010). 부모애착이 초기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분석. 사회과학연구, 26(2), 69-92.
이경님 (2003). 청소년의 애착과 우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2(1), 1-13.
이경은 (1998). 학교생활부적응 유형과 요인에 따른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4(3), 276-305.
이상준, 안수영 (2011).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중도지체장애인의 장애 수용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21(3), 239-266.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이순태, 김명식 (2017). 알렉산더의 “교정적 정서경험” 개념과 그 심리학적 함의. 인간연구, (33), 247-279.
이미현 (2014). 청소년의 성에 따른 완벽주의 및 부모· 또래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5(4), 87-112.
이지민 (2007). 아동, 청소년상담: 자아정체감과 학교 적응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8(4), 1593-1603.
이지연, 백정빈 (2009).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교육논단, 8(1), 57-78.
이지은 (2017). 男 육아휴직 늘면서 女 육아휴직자 지난해 첫 감소. 아시아경제, 2017.12.15. 12:00 최종수정, 2017.01.04. 인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121415155251763
임혜림, 김서현, 정익중 (2014).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6(4), 1-27.
장애경, 이지연 (2010). 청소년의 모애착과 우울, 불안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8(4), 21-30.
장진이, 곽노은, 이지연 (2016). 청소년의 우울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정서조절, 거부민감성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18(1), 285-304.
조미정, 김민주 (2014). 청소년 내재화/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성별차이 분석. 비판사회정책, (45), 267-303.
조민자 (2013). 우울, 불안 및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인식 명확성과의 관계. 통합치료연구, 5, 5-30.
조수민, 김정화, 노충래 (2015). 가정외보호아동의 친부모애착이 우울, 불안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Ping의 2단계 접근방식을 적용한 긍정적 대리양육자 관계의 조절 효과. 한국아동복지학, 51(단일호), 189- 217.
조수철, 정 영, 홍강의, 신민섭, 성영훈 (2001). 시험불안과 우울, 특성불안 및 상태불안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2(2), 225-236.
조춘화 (2017). 가족놀이를 활용한 정서중심상담이 청소년 자녀-부모 간 애착증진에 미치는 효과. 동서정신과학, 20(1), 1-32.
주석진 (201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지역적 특성 비교: 서울특별시 가구별 월평균 소득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8, 121-147.
조윤숙, 이경님 (2010).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가족환경 및 학교생활 부적응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8), 27-37.
최인숙 (2012). 성별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 135-160.
최준섭, 이동훈 (2017). 초등학교 남자교사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55(4), 36-70.
하민정 (2015).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9(1), 29-60.
한건환, 장휘숙, 안권순 (2004).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경험, 대처방식 및 문제 행동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11(3), 385-402.
한승희, 김은하 (2015). 고등학생의 부, 모, 애착과 대인불안간의 관계-사회적지지와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교사와 교육 (구 교육논집), 34(단일호), 47-62.
한지영, 김정민 (2016). 여자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우울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체질량지수 (BMI)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6(4), 469-488.
한창환 (2001). 생물유전적 기질과 가정환경이청소년기 우울, 품행장애성향 및 반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성격, 자아상 및 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청구논문.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Ainsworth, M. S. (1989). Attachments beyond infancy. American psychologist, 44(4), 709-716.
Alam, R., Barrera, M., D'Agostino, N., Nicholas, D. B., & Schneiderman, G. (2012). Bereavement experiences of mothers and fathers over time after the death of a child due to cancer. Death Studies, 36(1), 1-22.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Armsden, G. C., McCauley, E., Greenberg, M. T., Burke, P. M., & Mitchell, J. R. (1990).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 early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8(6), 683-697.
Barrera, M., D'Agostino, N. M., Schneiderman, G., Tallett, S., Spencer, L., & Jovcevska, V. (2007). Patterns of parental bereavement following the loss of a child and related factors. OMEGA-Journal of Death and Dying, 55(2), 145-167.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Bosquet, M., & Egeland, B. (2006).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anxiety symptom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in a longitudinal sampl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8(2), 517-550.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Attachment (vol. 1). New York: Basic Books
Breinholst, S., Esbjørn, B. H., & Reinholdt-Dunne, M. L. (2015). Effects of attachment and rearing behavior on anxiety in normal developing youth: A mediational stud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81, 155-161.
Bridges, L. J., Connell, J. P., & Belsky, J. (1988).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infant-mother and infant-father interaction in the strange situation: A component process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24(1), 92.
Constantine, M. G. (2006). Perceived family conflict, parental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African American female adolescent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2(4), 697.
Crystal, D. S., Chen, C., Fuligni, A. J., Stevenson, H. W., Hsu, C. C., Ko, H. J., ..., & Kimura, S. (1994).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 cross‐cultural study of Japanese, Chinese, and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Child Development, 65(3), 738-753.
Cruz, C., Duarte, J., Nelas, P., Antunes, A., &Almeida, M. (2014). Anxie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with hostile behaviour. Atencion Primaria, 46, 107-111.
Derogatis, L. R. (1993). Brief Symptom Inventory (BSI): Administration, scoring, and procedures manual (3rd ed.). Minneapolis, MN: National Computer Systems.
Derogatis, L. R. (2001). Brief Symptom Inventory-18 (BSI-18) administration, scoring and procedures manual. Minneapolis: NCS Pearson.
DiFilippo, J. M., & Overholser, J. C. (2000).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a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attachment relationship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9(2), 155-166.
Greenberg, M. T., Siegel, J. M., & Leitch, C. J. (1983).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s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2(5), 373-386.
Grossmann, K., Grossmann, K. E., Fremmer Bombik, E., Kindler, H., & Scheuerer Englisch, H. (2002). The uniqueness of the child-father attachment relationship: Fathers’ sensitive and challenging play as a pivotal variable in a 16‐year longitudinal study. Social development, 11(3), 301-337.
Hankin, B. L. (2006). Adolescent depression: description, causes, and interventions. Epilepsy & Behavior, 8(1), 102-114.
Hamdan-Mansour, A. M., Hamaideh, S. H., Azzeghaiby, S. N., Hanouneh, S. I., &Aboshaiqah, A. E. (2015). Psychosocial correlates of motivation for academic accomplish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Open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4(01), 1.
Harold, G. T., Shelton, K. H., Goeke‐Morey, M. C., & Cummings, E. M. (2004). Marital conflict, child emotional security about family relationships and child adjustment. Social Development, 13(3), 350-376.
Hernandez. L. P. (1993).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resilience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Herres, J. (2015). Adolescent coping profiles differentiate reports of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86, 312-319.
Hopmeyer, E., & Werk, A. (1994). A comparative study of family bereavement groups. Death Studies, 18(3), 243-256.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Hughes, C., Herron, S, & Younge, J. (2014).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Mild to Moderate Depression and Anxiety. Maidenhead: McGraw-Hill Education.
Irons, C., &Gilbert, P. (2005). Evolved mechanisms in adolescent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The role of the attachment and social rank systems. Journal of Adolescence, 28(3), 325-341.
Kenny, M. E., & Donaldson, G. A. (1991). Contributions of parental attachment and family structure to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4), 479.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ition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Laible, D. J., Carlo, G., & Raffaelli, M. (2000). The differential relations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to adolescent adjust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1), 45-59.
Li, J. B., Delvecchio, E., Lis, A., Nie, Y. G., & Di Riso, D. (2015). Parental attachment, self-control, and depressive symptoms in Chinese and Italian adolescents: Test of a mediation model. Journal of Adolescence, 43, 159-170.
Liu, Y. L. (2008). An examination of three model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ttachments and adolescents’ social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7(8), 941-952.
Margolese, S. K., Markiewicz, D., & Doyle, A. B. (2005). Attachment to parents, best friend, and romantic partner: Predicting different pathways to depression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6), 637.
Oldfield, J., Humphrey, N., & Hebron, J. (2016). The role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school connectedness in predicting adolescent mental health outcomes.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21(1), 21-29.
Papini, D. R., & Roggman, L. A. (1992). Adolescent perceived attachment to parents in relation to competence, depression, and anxiety: A longitudinal study.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2(4), 420-440.
Ping Jr, R. A. (1996). Latent variable interaction and quadratic effect estimation: A two-step technique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9(1), 166.
Prakash, K., &Coplan, R. J. (2007). Socio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adjustment of socially withdrawn children in India.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1(2), 123-132.
Raja, S. N., McGee, R., & Stanton, W. R. (1992). Perceived attachments to parents and pe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1(4), 471- 485.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
Scott, L. N., Whalen, D. J., Zalewski, M., Beeney, J. E., Pilkonis, P. A., Hipwell, A. E., &Stepp, S. D. (2013).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developmental changes in adolescent girls' self-reported quality of attachment to their primary caregiver. Journal of Adolescence, 36(5), 797-806.
Sharma, N. (2003). The role of pure and quasi-moderators in servic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ongoing customer-service- provider relationship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0(4), 253-262.
Sideridis, G. D. (2005). Goal Ori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Depression: Evidence in Favor of a Revised Goal Theory Framework.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7(3), 366.
Sroufe, L. A., Egeland, B., Carlson, E. A., & Collins, W. A. (2005). The Development of the Perso: The Minnesota Study of Risk and Adaptation from Birth to Adulthood. Guilford Press.
Thompson, R. A. (1987). Creating instructional and counseling partnerships to improv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underachievers. The School Counselor, 34(4), 289-296.
Van Eijck, F. E., Branje, S. J., Hale, W. W., & Meeus, W. H. (2012).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 adolescent attachment relationship quality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ymptoms in adolescen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0(6), 871-883.
Verner-Filion, J., &Vallerand, R. J. (2016). On the differential relationships involving perfectionism and academic adjustment: The mediating role of passion and affect.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 103-113.
Viana, A. G., & Rabian, B. (2008). Perceived attachment: Relations to anxiety sensitivity, worry, and GAD symptom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6(6), 737-747.
Warren, S. L., Huston, L., Egeland, B., & Sroufe, L. A. (1997). Child and adolescent anxiety disorders and early attachment.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6(5), 637-644.
Wilkinson, R. B. (2004). The role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in the psychological health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3(6), 479-493.
Woolley, M. E., & Grogan‐Kaylor, A. (2006). Protective family factors in the context of neighborhood: Promoting positive school outcomes. Family Relations, 55(1), 93-104.
Yap, M. B., Pilkington, P. D., Ryan, S. M., Kelly, C. M., & Jorm, A. F. (2014). Parenting strategies for reducing the risk of adolescent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a Delphi consensus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56, 6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