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부부의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 간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와 동시에 자기효과와 배우자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45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 모형(APIMeM: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서표현 양가성 모형과 자기방어 양가성 모형은 독립변인에서 매개변인으로 가는 경로, 매개변인에서 종속변인으로 가는 경로, 독립변인에서 종속변인으로 가는 경로에서 남편과 아내 모두 자기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자신의 자기분화가 아내 자기분화보다 더 크게 영향을 미치며 아내의 결혼만족도는 남편에 비해 배우자의 자기분화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편과 아내 모두 정서표현 양가성 전체와 자기방어 양가성이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에 부분 매개하는 자기효과를 보였으며 남편의 정서표현 양가성 전체와 자기방어 양가성이 아내의 자기분화와 남편의 결혼만족을 완전매개하는 배우자효과가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자신의 자기방어 양가성이 자신의 결혼만족도를 낮추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245 couples, an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APIMeM.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all spouses showed a significant actor effect in the mediation path. Second, husbands’ marriag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their own self-differentiation, while wives’ marriag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self-differentiation of their spouses. Third, the actor effect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all spouses was partially mediated b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wives’ self-differentiation an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husband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mportantly, this suggests that self-defensive ambivalence reduces marital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강혜숙, 김영희 (2012). 부부의 성격특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상담학연구, 13(6), 2861-2880.
권정혜, 채규만 (1999).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123-139.
김남진, 김영희 (2010). 기혼남녀의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및 안정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197-225.
김민선, 신희천 (2011). 언어적 억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35-49.
김순숙 (2012). 중년기 기혼 남녀의 자기분화, 자아존중감,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시연, 서영석 (2010).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결혼만족 간 관계: 자기효과 및 상대방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189-213.
김진아 (2016). 정서표현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향순, 김순덕, 구명이 (2014). 기혼여성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159-176.
김혜림 (2015).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효민 (2010).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희경, 심혜숙, 이동훈 (2012).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2(2), 1-21.
남궁임 (2009). 자기분화 수준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배우자 자기분화 수준을 중심).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성애, 하 정 (2013). 기혼남녀의 자아상태와 사랑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 상담학연구, 14(2), 931-949.
박소영 (2016). 부부의 정서적 표현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일장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영화, 고재홍 (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65-83.
박운주, 김병석 (2013). 부부의 상위기분과 정서표현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배우자 효과. 상담학연구, 14(5), 2945- 2967.
박은희 (2011). 부부의 자아분화가 갈등대처방식과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사수연 (2016). 기혼 남녀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의 관계: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6(1), 59- 79.
서기영, 이희경 (2014). 희생의 동기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부응집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3), 1299-1318.
안옥선 (2014). 성인애착과 결혼만족의 관계: 정서인식, 자기표현, 정서수용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종현 (2016). 원가족경험과 결혼만족 관계에 미치는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7(2), 509-532.
유남희, 김영희 (2011).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여성의 자기분화와 부부 갈등대체행동 및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가족치료, 19(3), 141-158.
유주현 (2000).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과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달아 (2012). 정서표현 양가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희원, 허재홍, 오충광 (2016). 정서표현양가성과 결혼만족의 관계: 문화성향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7(1), 437-453.
이경성, 한덕웅 (2001). 부부관계에서 배우자 행동의 귀인이 결혼만족과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41-64.
이명옥, 하정희 (2007).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519-535.
이봉은 (2015). 자기분화와 상호작용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은희 (2012). 자기침묵과 정서표현양가성이 결혼만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종원, 옥선화 (2015). 결혼초기 기혼남녀의 부부갈등 관련변인 연구: Bowen과 Satir 모델의 이론적 연계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2), 3-25.
이하나 (2006).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의 표현 및 갈등과 대인불안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훈구 (2004).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개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0, 47-53.
이희숙, 박 경 (2008).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 보살핌과 성적 친밀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671- 689.
장정주, 김정모 (2008). 정서적 자각, 표현 및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697-714.
정윤경, 박보은 (2010). 정서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_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 양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4), 111-125.
정혜정, 조은경 (2007).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15(1), 19-46.
조은경, 정혜정 (2002).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갈등 대처 행동 및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6.
전춘애 (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에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제석봉 (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해연 (2008).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과 억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해연, 민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1(4), 71-89.
최해연, 민경환, 이동귀 (2008). 상담일반: 정서표현신념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역할. 상담학연구, 9, 1063- 1080.
한영숙 (2007).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59-272.
한정원 (1997). 정서 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허만형 (2008). 개인의 자기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홍백의, 박은주, 박현정, 박 진 (2009). 결혼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3), 307-324.
황성실, 김영희 (2013). 부부의 헌신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3), 45-61.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Bowen, M. (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Family therapy: Theory and practice, 4(1), 2-90.
Bowen, M. (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son Aronson.
Bradbury, T. N., Fincham, F. D., & Beach, S. R. (2000). Research on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 decade in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4), 964-980.
Cook, W. L., & Kenny, D. A. (2005).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 model of bidirectional effects in development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2), 101-109.
Emmons, R. A., & Colby, P. M. (1995).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5), 947-959.
Gottman, J. M. (1993). A theory of marital dissolution and stabilit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7(1), 57-75.
Gottman, J. M., & Levenson, R. W. (1988). The social psychophysiology of marriage. In P. Noller & M. A. Fitzpatrick (Eds.), perspectives on marital interaction (pp. 182-200). Clevedon, England: Multilingual Matters.
Gross, J. J., &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348-362.
Gubbins, C. A., Perosa, L. M., & Bartle-Haring, S. (2010). Relationships between married couples’ self-differentiation/individuation and Gottman’s model of marital interaction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32(4), 383-395.
Kaleta, K. (2014). Marital satisfactio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stress perceived by women. Polskie Forum Psychologiczne, 3(19), 305-319.
Karney, B. R., & Bradbury, T. N. (1995).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A review of theory, method, and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18(1), 3-34.
Kenny, D. A., Kashy, D. A., & Cook, W. L. (2006). The analysis of dyadic data. New York: Guilford.
Kerr, M. E. (1985). Obstacles to differentiation of self. Casebook of marital therapy, 111-153.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864.
Lal, A., & Bartle-Haring, S. (2011). Relationship among differentiation of self, relationship satisfaction, partner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and their partner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7(2), 169-181.
Larson, J. H., & Holman, T. B. (1994). Premarital Predictors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Family Relations, 43(2), 228-237.
Ledermann, T., Macho, S., & Kenny, D. A. (2011). Assessing mediation in dyadic data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8(4), 595-612.
Lei, M., & Lomax, R. G. (2005). The effect of varying degrees of nonnormality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2(1), 1-27.
Licht, C., & Chabot, D. (2006). The Chabot Emotional Differentiation Scale: A theoretically and psychometrically sound instrument for measuring Bowen's intrapsychic aspect of differentiation.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2(2), 167-180.
Little, T. D., Cunningham, W. A., Shahar, G., & Widaman, K. F. (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9(2), 151-173.
Osborne, C., & McLanahan, S. (2007). Partnership instability and child well‐be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9(4), 1065-1083.
Peleg, O. (2008).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satisfaction: What can be learned from married people over the course of life?.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6(5), 388-401.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Skowron, E. A., & Schmitt, T. A. (2003). Assessing interpersonal fu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DSI fusion with others sub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9(2), 209-222.
Snyder, D. K. (1979).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4), 813-823.
Stack, S., & Eshleman, J. R. (1998). Marital status and happiness: A 17-nation 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2), 527-536.
Williamson, D. S. (1981). Personal authority via termination of the intergenerational hierarchical boundary: A “new” stage in the family life cyc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7(4), 441-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