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외상사건 스트레스와 부정정서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 자기조절,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이중체계모델을 기반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해 검증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70세의 성인 5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변인 간 관련성은 상관분석으로, 모형의 타당성과 적합성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적합도 지수로 확인하였다. 모형경로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랩 방법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팬텀변수를 사용한 부트스트랩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사건 스트레스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자기조절, 부정정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외상사건 스트레스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자기조절, 부정정서와의 구조적 관계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상사건 스트레스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자기조절, 부정정서의 변인 간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구조적 관계모형 경로들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외상사건과 부정정서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자기조절에 의한 각 경로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외상사건 스트레스에 의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부정정서가 인지처리과정임을 보여주었으며, 외상 스트레스에 의한 침습적 반추의 자동적 기제와 그로 인해 나타나는 심리적, 신체적 반응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다. 또한 부정적 정서 완화를 위한 임상치료 장면에서 자기조절 개입 시점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raumatic stress, negative emotion,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self-regulation in the dual system model. A total of 566 adults ages 20 to 70 participated in the survey. SEM analysis was applied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the model using AMOS 21.0.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s was examined with a Bootstrap method. SEM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The model shows that traumatic stress is directly related to negative emotion and intrusive rumination, and inversely related to self-regulation.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self-regul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stress and negative emo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raumatic stress and elicited negative emotion are associated with cognitive processes, which explains the mechanism of intrusive rumination and negative emotion after traumatic stress. Lastly, it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imely intervention in self-regulation for relieving negative emotion.
고선규, 고영건 (2009). 노인과 청년 집단의 인지적 정서 조절 비교. 인지행동치료, 9(2), 65-85.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계수 (2010).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김고은, 양난미 (2016).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1), 127-145.
김교헌 (2006). 중독과 자기조절: 인지 신경과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건강, 11(1), 63-105.
김기정 (2017). 자기조절능력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도연 (2016). 분노를 위한 변증법적 행동치료 기술 워크북. 서울: 하나의학사.
김래선 (2007).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의 구조: 증상의 재분류.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영 (2017).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서울: 학지사.
김예슬, 이종선 (2017).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외상 경험과 침습반추의 효과–미래인지와 성차의 조절된 매개. 한국심리학회, 36(3), 325-338.
김인경, 홍혜영 (2013). 복합외상 경험자들의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453-491.
김정택 (1978).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Spielberger의 STAI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호 (2004). 마음챙김 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 치료적 함의. 인지행동치료, 4(2), 27-44.
김진목, 이희경 (2016). 침투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의 관계: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6), 165-182.
김혜진, 최훈석 (2016). 순차적 자기조절 상황에서 목표 방해 행동과 촉진 행동에 연합된 조절 초점의 부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1(3), 513-526.
류경희 (2009). 우울 집단의 정서 지각 편향에서의 대뇌 반구 비대칭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류은수 (2006). 인지 행동적 집단치료가 가출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 분노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박경 (2011). 수용, 외상 후 성장,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19(4), 281-292.
박애실 (2016). 외상 후 인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이중매개효과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7(5), 181-200.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청람.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 (2009).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93-214.
신지은, 박부진 (2014).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표현예술치료가 산재환자의 PTSD 증상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683-713.
안현민 (2011). 정서조절의 인지적 및 뇌 전기 생리학적 영향에 대한 사상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현의, 주혜선, 민지원, 심기선 (2013). 한국판 사건관련 반추 척도(K-ERRI)의 타당화. 인지행동치료, 13(1), 149-172.
윤혜미, 노필순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43, 157-184.
이동훈, 이수연, 윤기원, 김시형, 최수정 (2017). 성별에 따른 외상사건 경험이 PTSD 증상 및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227-253.
이수정 (2014).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소명의식의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이정윤, 최수미 (2011).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문제행동: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2), 635-650.
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18(3), 461-493.
이찬미, 유성은 (2016). 정서인식명확성, 정서강도, 고통감내력과 우울 및 불안 증상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16(2), 123-140.
이학식, 임지훈 (2010).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2. 서울: 집현재.
이학식, 임지훈 (2017). SPSS 24 매뉴얼. 서울: 집현재.
임금주 (2016). 침투반추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의미 중심적 대처와 회피 중심적 대처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선아 (2013).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자존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26(1), 121-138.
임정란, 강영신, 문정순, 이재우 (2014). 상담교사의 대리외상과 대리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조절능력의 이중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1), 89-107.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1997). 한국판 STAXI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60-78.
정은주 (2005). 유아의 행동적· 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윤진 (2011). 이중과정 모형으로 본 건강 관련 위험지각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한로, 정남운 (2017).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및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2), 433-455.
주수진, 손정락 (2015). 수용 전념 치료가 대인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임상, 34(2), 353-374.
주혜선 (2012). 자서전적 외상 기억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심리적 증상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지은혜, 조용래 (2009).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9(1), 286-287.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재인, 성승연 (2016). 외상 후 성장과 적응의 관계에서 실존적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3), 829- 854.
한은애 (2015). 외상후 성장에 대한 두 가지 반추 양식의 영향: 심리적 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인희, 이영호 (2012).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외상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4), 1115- 1138.
Alter, A. L., Oppenheimer, D. M., Epley, N., & Eyre, R. N. (2007). Overcoming intuition: Metacognitive difficulty activates analytic reaso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36(4), 569.
Berntsen, D., & Rubin, D. C. (2007). When a trauma become a key to identity: Enhanced integration of trauma memories predic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1, 417-431.
Cann, A., Calhoun, L. G., Tedeschi, R. G., Triplett, K. N., Vishnevsky, T., & Lindstrom, C. M. (2011).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es: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xiety, Stress & Coping, 24(2), 137-156.
Cho, D., & Park, C. L. (2013). Growth following trauma: Overview and current status. Terapia Psicológica, 1(1), 69-79.
Compas, B. E., Beckjord, E., Agocha, B., Sherman, M. L., Langrock, A., Grossman, C. I., Dausch, B., Glinder, J., Kaiser, C., Anderson, C., & Luecken, H. L. (2006). Measurement of coping and stress response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15(12), 1038- 1054.
Danhauer, S. C., Case, L. D., Tedeschi, R., Russell, G., Vishnevsky, T., Triplett, K., Ip E. H., & Avis, N. E. (2013). Predi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2(12), 2676-2683.
De Ridder, D. T., Lensvelt-Mulders, G., Finkenauer, C., Stok, F. M., & Baumeister, R. F. (2012). Taking stock of self-control: A meta-analysis of how trait self-control relates to a wide range of behavio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6(1), 76-99.
Dong, C., Gong, S., Jiang, L., Deng, G., & Liu, X. (2015). Posttraumatic growth within the first three months after accidental injury in China: The role of self-disclosure, cognitive processing, and psychosocial resources. Psychology, Health & Medicine, 20(2), 154-164.
Ehlers, A., & Clark, D. M. (2000). A cognitive model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8(4), 319-345.
Ehlers, A., & Steil, R. (1995). Maintenance of intrusive memories in posttaumatic stress disorder: A cognitive approach.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23, 217-249.
Ehring, T., & Ehlers, A. (2014). Does rumin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uropean Journal of Psychotraumatology, 5(1), 23547.
Elias, C. L., & Berk, L. E. (2002). Self-regulation in young children: Is there a role for sociodramatic pla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7(2), 216-238.
Evans, J. S. B. T., & Curtis-Holmes, J. (2005). Rapid responding increases belief bias: Evidence for the dual-process theory of reasoning. Thinking & Reasoning, 11(4), 382-389.
Evans, J. S. B. T., & Frankish, K. (2009). Dual-process theories: A metacognitive perspective. In V. A. Thompson.(Eds.) In two minds; dual processes and beyond (pp. 171-195). Oxford University Press.
Evans, J. S. B. T., & Stanovich, K. E. (2013). Dual-process theories of higher cognition: advancing the debat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8(3), 223-241.
Fiske, S. T., & Taylor, S. E. (1991). Social encoding: Attention and consciousness. In Social cognition, 243-294.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Hertwig, R., & Todd, P. M. (2003). More is not always better: The benefits of cognitive limits. Thinking: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reasoning,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213-231. John Wiley & Sons Ltd.
Hofmann, W., Friese, M., & Strack, F. (2009). Impulse and self-control from a dual-systems perspectiv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4(2), 162-176.
Holmes, E. A., & Bourne, C. (2008). Inducing and modulating intrusive emotional memories: A review of the trauma film paradigm. Acta Psychologica, 127, 553-566.
Holmes, T. H., & Rach, R. 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2), 213-218.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4), 636-654.
Janoff-Bulman, R. (1989). Assumptive worlds and the stress of traumatic events: Applications of the schema construct. Social Cognition, 7(2), 113.
Janoff-Bulman, R. (2006). Schema-change perspectives on posttraumatic growth.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81-99. NY: Psychology Press.
Kahneman, D. (2002). Maps of bounded rationality: A perspective on intuitive judgment and choice. Nobel Prize Lecture, 8, 351-401.
Kahneman, D. (2012). 생각에 관한 생각(이진원 역). 경기: 김영사. (원서출판 2011).
Kahneman, D., & Frederick, S. (2002). Representativeness revisited: Attribute substitution in intuitive judgment. Heuristics and biases: The Psychology of Intuitive Judgment, 49, 81.
Kanfer, F. H. (1986). Implications of a self-regulation model of therapy for treatment of addictive behaviors, In Treating addictive behaviors (pp. 29-47). MA: Springer.
Kanfer, R., & Zeiss, A. M. (1983). Depression, interpersonal standard setting, and judgments of self-efficac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2(3), 319.
Lazarus, R. S. (1968). Emotions and adaptation: Conceptual and empirical relations.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16, 175-266.
Lazarus, R. S. (1993).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4(1), 1-22.
Litz, B. T., & Keane, T. M. (1989). Information processing in anxiety disorders: Applic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linical Psychology Review, 9(2), 243- 257.
Martindale, C. (1991). Cognitive psychology: A neural-network approach. Thomson Brooks/Cole Publishing Co.
Metcalfe, J., & Mischel, W. (1999). A hot/cool-system analysis of delay of gratification: Dynamics of willpower. Psychological Review, 106(1), 3-19.
Novak, S. P., & Clayton, R. R. (2001). The influence of school environment and self-regulation on transitions between stages of cigarette smoking: A multilevel analysis. Health Psychology, 20(3), 196.
Ochsner, K. N., & Gross, J. J. (2005). The cognitive control of emo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9(5).
Ochsner, K. N., Ray, R. D.. Cooper, J. C., Robertson, E. R., Chopra, S., Gabriel, J. D. E., & Gross, J. J. (2004). For better or for worse: neural system supporting the cognitive down- and up-regulation of negative emotion. NeuroImage, 23, 483-499.
Redfield, J., & Stone, A. A. (1979). Individual viewpoints of stressful life ev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1), 147- 154.
Ridder, D. T. D., Lensvelt-Mulders, G., Finkenauer, C., Stok, F. M., & Baumeister, R. F. (2012). Taking stock of self-control: A meta-analysis of how trait self-control relates to a wide range of behavio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6(1), 76-99.
Rokke, P. D., & Rehm, L. P. (2001). Self-management therapies., In K. S. Dobson (Ed.), Handbook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pp. 173-210). New York: Guilford Press
Schaefer, A., Collette, F., Philippot, P., Linden, M., Laureys, S., Delfiore, G., Degueldre, C., Maquet, P., Luxen, A., & Salmon, E., (2003). Neural correlates of “hot” and “cold” emotional processing: a multilevel approach to the functional anatomy of emotion. NeuroImage, 18, 938-949.
Selye, H. (1946). The general adaptation syndrome and the diseases of adaptatio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6(2), 117-230.
Shynkaruk, J. M., & Thompson, V. A. (2006). Confidence and accuracy in deductive reasoning. Memory & Cognition, 34(3), 619-632.
Simms, L. J., Watson, D., & Doebbeling, B. N. (2002).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deployed and nondeployed veterans of the Gulf Wa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1(4), 637.
Simon, H. A. (1956). Rational choice and the structure of the environment. Psychological Review, 63(2), 129.
Takua, K., & Oshiob, A. (2015). An item-level analysis of the posttaumatic growth inventory: Relationships with an examination of core beliefs and deliberate rumin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86, 156-160.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6). Time of change? The spiritual challenges of bereavement and loss. OMEGA-Journal of Death and Dying, 53(1), 105-116.
Tedeschi, R. G., Calhoun, L. G., & Cann, A. (2007). Evaluating resource gain: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posttraumatic growth. Applied Psychology, 56(3), 396-406.
Triplett, K. N., Tedeschi, R. G., Cann, A., Calhoun, L. G., & Reeve, C. L. (2012).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rauma.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4(4), 400.
Tversky, A., & Kahneman, D. (1974). 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s. Science, 185(4157), 1124-1131.
Zoellner, T., & Maercker, A. (2006).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 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5), 626-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