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로 조절된 자의식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narcissism and Social-anxiety: Mediating Effect of Self-consciousness Moderated by Self-compassion

초록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자의식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그 경로에서 자기자비의 역할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30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 자의식 척도, 자기자비 척도, 단축형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349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의식은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즉,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사회불안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의식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자의식,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기자비가 내현적 자기애와 자의식의 관계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사회불안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상담현장에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Self-compassion, Social-anxiety, Covert-narcissism, Self-consciousness, 자기자비, 사회불안, 내현적 자기애, 자의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 of covert-narcissism, self-consciousness and social-anxiety. A total of 349 adults ages 20-39 completed the Covert-Narcissism Scale, Self-Consciousness Scale, Self-Compassion Scal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conscious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narcissism and social-anxiety. Second, self-compass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path from covert-narcissism and self-consciousness to social-anxiet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Self-compassion, Social-anxiety, Covert-narcissism, Self-consciousness, 자기자비, 사회불안, 내현적 자기애, 자의식

참고문헌

1.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2.

강예모, 김정규 (2012).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2(3), 331-348.

3.

고종숙 (2016).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나래, 이기학 (2015). 대학생의 인정욕구, 사회적지지, 사회불안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6(4), 245-264.

5.

김병직, 이동귀, 이희경 (2012).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매개변인 탐색: 사회불안과 반추. 상담학연구, 13(2), 417-436.

6.

김복환, 최해림 (2003). 초등학생의 자의식, 자기효능감 및 비합리적 신념과 발표불안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3), 581-593.

7.

김송언 (2013).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수용기반 노출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여량, 진미경 (2014).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아동복지연구, 12(3), 1-16.

9.

김유진, 장문선 (2016). 자기자비 글쓰기가 우울한 대학생의 반추와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2), 299- 316.

10.

김지현 (2016).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진호 (2017).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하연 (2015). 정서 마음챙김이 발표불안 경향 여대생의 발표불안 및 정서인식 명확성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현아, 김정규 (2016).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대하여: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2), 319-333.

14.

김효정, 양난미 (2014).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열등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1), 287-287.

15.

김화영, 박기환 (2015).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5(1), 137-153.

16.

김 환 (2015). 사회불안과 공적 자의식, 초점주의 역기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5(3), 519-539.

17.

노지애, 조현주 (2016). 사회불안 경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8), 205- 205.

18.

박세란, 이훈진 (2015).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3), 583-611.

19.

박신재, 현명호, 이재호, 이정아 (2007). 사회불안과 모호한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석편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95-110.

20.

박영주, 정남운 (2013).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4(1), 55-74.

21.

박일 (2014). 영화를 통한 자기자비 처치가 상태자기자비, 상태불안 및 정서반응에 미치는 효과: 발표불안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백소영 (2016). 자기자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선주연, 신희천 (2013). 자의식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5), 3183-3200.

24.

손은경, 권해수 (2014).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료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2(4), 153-161.

25.

신현숙, 안의자, 강병은 (2016). 여고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3(3), 497-519.

26.

신혜린, 이기학 (2008). 성인애착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 사회불안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1), 139-159.

27.

심우엽 (2014). 초등학생의 사회불안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 27(1), 83-102.

28.

심은수, 이봉건 (2016).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스트레스학회, 24(2), 65-74.

29.

안혜영 (2016). 초등학생의 자기애적 성향과 공격성 및 공감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양선미, 박 경 (2015). 대학생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8), 105-130.

31.

양재원, 김지혜, 오경자 (2006). 사회불안집단의 부정적 얼굴 표정에 대한 선택적 주의 편파: 세 연령 집단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1), 237-255.

32.

오수연, 박기환 (2014). 사후반추사고와 사회불안의 관계: 사고통제방략의 중재효과. 인지행동치료, 14(1), 61-77.

33.

오지현, 이정숙 (2014).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9(1), 35-51.

34.

오하연, 박 경 (2017).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4(1), 335-354.

35.

유병현 (2016). 자비로운 글쓰기가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 정서 및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유연화, 이신혜, 조용래 (2010).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10(2), 43-59.

37.

윤성민, 신희천 (2007).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67-982.

38.

윤혜경 (2016). 부모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이강아, 홍혜영 (2013).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4), 2271- 2290.

40.

이성경 (2015).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처치가 대학생의 발표불안 반응과 사후반추 연관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소연, 오인수 (2015).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내현적 자기애가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미치는 관계. 청소년학연구, 22(8), 53-75

42.

이수연 (2015). 외상경험과 사후반추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이아름 (2011).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 공적 자의식과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영아, 이인혜 (2016). 남녀 대학생에서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 주의초점의 매개효과와 주의전환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3), 641-660.

45.

이연정, 김현숙 (2016).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213-229.

46.

이지우 (2017).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전수진, 김향숙 (2016). 고등학생의 공적자의식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9), 275-303.

48.

전영주, 박기환 (2011).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 긍정적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석편향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1(2), 59-73.

49.

전 운, 박기환 (2013). 사회불안이 높은 대학생들의 불안과 사후반추사고에 자기심상 조작이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3(1), 87-105.

50.

정문경 (2014). 청소년기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29, 73-93.

51.

정현희, 정미정 (2002). 자의식, 자기개념, 비합리적 신념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39-53.

52.

조영재, 이동훈 (2013). 남자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4), 845-866.

53.

조한익, 서은경 (2016). 중학생의 자기애가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13(1), 21-41.

54.

차지연 (2015).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

최규하, 강병은, 최주영 (2016).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능성 욕구 충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3(4), 299- 318.

56.

최인선, 최한나 (2013).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5), 2799-2815.

57.

한가희, 김정민 (2017). 대학생의 부정적/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7(2), 161-179.

58.

한수정, 권석만 (2010). 자기애자의 자기관련 정보에 대한 지각적 민감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4), 1135-1143.

59.

한정숙, 최승원, 김미리혜 (2014).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의식과 정서표현갈등의 매개효과-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3), 791-812.

60.

허선무 (2014). 사회불안에 대한 수용전념치료 (ACT)의 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홍서윤 (2014).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2), 73-95.

62.

홍영근, 이경숙 (2013). 사회공포 및 사회불안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29(4), 295-310.

63.

홍영근 (2017).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공포와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4), 1053-1075.

6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65.

Akhtar, S., & Thompson, A. (1982).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2-20.

66.

Atlas, G. D., & Them, M. A. (2008). Narcissism and sensitivity to criticism: A preliminary investigation. Current Psychology, 27, 62-76.

67.

Beidel, D. C., Turner, S. M., Stanley, M. A., & Dancu, C. V. (1989). The 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Concurrent and external validity. Behavior Therapy, 20(3), 417-427.

68.

Besser, A., & Priel, B. (2008). Emotional responses to a romantic partner's imaginary rejection: The roles of attachment anxiety, covert narcissism, and self-eval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77(1), 287-325.

69.

Carver, C. S., & Scheier, M. F. (1978). Self-focusing effects of dispositional self-consciousness, mirror presence, and audience pres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3), 324-332.

70.

Cooper, A. (1998). Further developments in the clinical diagnosi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 In E. F. Ronningstam(Ed.), Disorders of narcissism: Diagnostic, clin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pp. 53-74).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ress.

71.

Dahm, K. A., Meyer, E. C., Neff, K. D., Kimbrel, N. A., Gulliver, S. B., & Morissette, S. B. (2015). Mindfulness, self-compassi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S. Iraq and Afghanistan war veteran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8, 460-464.

72.

Dickinson, K. A., & Pincus, A. L. (2003). Interpersonal analysis of grandiose and vulnerable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17(3), 188-207.

73.

Fenigstein, A., Scheier, M. F., & Buss, A. H. (1975).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3(4), 522-527.

74.

Feingstein, A. (1979). Self-consciousness, self- attention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75-86.

75.

Germer, C. K., & Neff, K. D. (2013). Self- Compassion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9(8), 1-12.

76.

Gilbert, P., & Procter, S. (2006). Compassionate mind training for people with high shame and self-criticism: overview and pilot study of a group therapy approach.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13(6), 353-379.

77.

Gilbert, P. (2014). 자비중심치료 [Compassion Focused Therapy: Distinctinve Features] (조현주, 박성현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0에 출판)

78.

Heimberg, R. C., Brozovich, F. A., & Rapee, R. M. (2010).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social anxiety disorder: Update and extension. In S. G. Hofmann & P. M. DiBartolo (Eds.), Social anxiety: Clinical, developmental, and social perspectives (pp. 395-422). San Diego, CA: Elsevier Academic Press.

79.

Hendin, H. M., & Cheek, J. M. (1997). Assessing hypersensitive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Murray's narcism scale. Journal of Research and Personality, 31, 588-599.

80.

Hope, D. A., & Heimberg, R.. G. (1988).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phobia.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4), 626-639.

81.

Hayes, A. F. (2015).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Second Edition] (이형권 옮김). 서울: 신영사. (원전은 2013에 출판)

82.

Kessler, R. C. (2003). The impairments caused by social phobia in the general population: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08(s417), 19-27.

83.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4.

Neff, K. (2003a).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2), 85-101.

85.

Neff, K. D. (2003b).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86.

Neff, K. D., Hsieh, Y. P., & Dejitterat, K. (2005). Self-compassion, achievement goals, and coping with academic failure. Self and Identity, 4(3), 263-287.

87.

Neff, K. D., Kirkpatrick, K. L., & Rude, S. S. (2007).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1), 139-154.

88.

Neff, K. D., & Vonk, R. (2009). Self‐compassion versus global self‐esteem: Two different ways of relating to oneself. Journal of Personality, 77(1), 23-50.

89.

Potter, R., Yar, K., Francis, A. J., & Schuster, S. (2014). Self-compa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riticism and social anxiety.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Therapy, 14, 33-43.

90.

Preacher, K. J., & Hayes, A. F. (2008).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40(3), 879-891.

91.

Ruscio, A. M., Brown, T. A., Chiu, W. T., Sareen, J., Stein, M. B., & Kessler, R. C. (2008). Social fears and social phobia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Psychological Medicine, 38(1), 15-28.

92.

Smolewska, K., & Dion, K. (2005). Narcissism and adult attachment: A multivariate approach. Self and Identity, 4(1), 59-68.

93.

Strahan, E. Y. (2003).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social skills on academic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2), 347-366.

94.

Tobey, E. L., & Tunnell, G. (1981). Predicting our impressions on others: Effect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acting, a self-monitoring subscal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7(4), 661-669.

95.

Weeks, J. W., Heimberg, R. G., Rodebaugh, T. L., & Norton, P. J. (2008).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2(3), 386-400.

96.

Werner, K. H., Jazaieri, H., Goldin, P. R., Ziv, M., Heimberg, R. G., & Gross, J. J. (2012). Self-compassion and social anxiety disorder. Anxiety, Stress and Coping, 25(5), 543-558.

97.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4), 590-597.

98.

Woody, S. R., & Rodriguez, B. F. (2000).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in social phobics and normal control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4(4), 473-48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