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자기분화를 중심으로 모성수행기 여성 우울의 촉발 요인들을 탐색하고, 모성수행기 여성의 정서적 안녕감 및 사회적 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영유아기 자녀를 둔 여성 277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분화는 모성수행기 여성의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육효능감, 가족내적 지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양육스트레스 등의 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모성수행기를 완결된 성인기가 아닌 생애 발달의 과정에서 지속적인 자기 분화와 성장이 필요한 시기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모성수행기 여성의 우울 예방을 위해서는 자기분화와 양육효능감 수준을 높이는 노력을 하는 한편,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개입과 충분한 가족내적 지지가 제공되어야 하며, 나아가 사회로부터의 고립이 아닌 지역사회와의 연결, 즉 지역사회 공동체의 참여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motherhood based on self-differentiation and to seek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emotional well-being and social adjustmen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from 277 mothers with infants and children were analyze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differenti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otherhood depression, and that effect was sustained even after controlling for parenting efficacy, family support,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arenting stress. This implies that motherhood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a continuous process toward self-differentiation and life development, rather than a completed adulthood. Results also indicated that family practitioners should focus on interventions in parenting stress and family support for young mothers, while working on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efficacy. Furthermore, it is inferred that networking and connections with their community can help reduce depression in motherhood.
고정리 (2014). 부모의 공동체의식이 유아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4), 275-302.
권정혜 (1997). 임신 중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43.
김경은 (2011). 어머니의 우울, 양육효능감,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정서능력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8(4), 1-17.
김광수, 고영미 (2011). 긍정심리학 기반의 행복 증진 상담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2(3), 129-152.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117(10), 141-150.
김미연 (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과 어머니 효능감과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유숙 (2000). 가족상담 (3판). 서울: 학지사.
김윤미, 안숙희 (2015). 산후 우울의 고찰: 정신신경면역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1(2). 106-114.
김은영, 김경식 (2017). 청년기 우울의 비전형성에 대한 연구: 공격성(aggression)을 중심으로. 교육치료연구, 9(2), 291-307.
김정민 (2016).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15(0), 91-104.
김지영 (2015). 영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스트레스 연구, 23(2), 91-100.
김표민 (2015).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수준에 관한 종단연구: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문경주, 오경자 (1995).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의 부적응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41-55.
박준희 (2009).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가 지각한 부모효능감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찬옥, 조성희 (2011).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양육태도,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2), 537- 559.
서혜영 (1992).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성태제 (2014). 알기쉬운 통계분석 (2판). 서울: 학지사.
손수경, 장유나, 노주성, 홍세희 (2016). 부와 모가 지각한 부의 양육참여, 부와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간의 종단적 관계: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 모형(APIM)의 적용. 육아정책연구, 10(3)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안희정 (2005). 부모효능감과 가족 응집력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위휘, 박소연 (2012). 임부의 불안, 우울, 산전스트레스와 모-태아애착 및 감사성향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6(2), 274-286.
유영선 (2012). 모의 우울이 학령전기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성민 (2017). 자아분화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가족갈등대처행동,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4), 1115-1141.
이경숙, 노정숙, 김수진 (2017). 미혼모의 정신건강과 모-자녀 상호작용 특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4), 467-489.
이명옥, 하정희 (2007).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519-535.
이숙정 (2011). 주부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호 (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 구조 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이원옥 (2003). 가족체계 유형과 미혼여성의 자아분화, 우울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윤주, 김진숙 (2012).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5(3) 127-149.
이인정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우울에 대한 영향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1(1), 27-43.
이주연, 정혜정 (2009). 노년기 부부의 자기분화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학, 29(4), 1629-1644.
이현일 (2014). EasyFlow 회귀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이희연, 정미라 (2018). 어머니의 우울수준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 취업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1), 91-109.
전윤정 (2015). 농촌지역민들의 커뮤니케이션채널이용에 따른 지역사회인식에 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은주 (2015). 어머니의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와 유아의 기질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육아지원연구, 10(4), 97-119.
전지아 (1990). 산후 스트레스와 사회적 관계망이 산후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영숙 (2017).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재활복지, 21(3), 23-47.
제석봉 (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Bowen의 가족체계 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조성희 (2011). Bowen의 자기분화 개념에 근거한 어머니의 양육 경험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은경, 정혜정 (2008). 기혼남녀의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9(3), 1313-1331.
조희원, 우주영 (2013). 산후 우울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549-573.
최윤지, 박인전 (2017). 어머니의 공동체의식과 행복감,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영유아보호학, 105, 49-81.
한정아, 심흥섭 (2005). 대학생의 자아분화,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및 스트레스 대처 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65-981.
홍성례 (1995). 30대 남편의 가족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 5. Washington, DC: APA.
Astbury, J. (2010). The social causes of women’s depression: A question of rights violated?, In D. C. Jack & A. Ali (Eds.), Silencing the self across cultures: Depression and gender in the social world (pp. 19-4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Beck. A. T. (1967). Depression: Causes and treatmen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Beck, A. T. (2002). Cognitive models of depression, In R. L. Leahy & E. T. Dowd (Eds.), Clinical advances in cognitive psychotherapy: Theory and application (pp. 29-61). New York: Springer.
Bewick, V., Cheek, L., & Ball, J. (2005). Statistics review 14: Logistic regression. Critical care, 9(1), 112.
Bowen, M. (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therapy. New York: Jason Aronson.
Eric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 Eds.), New York and London.
Frank, E., & Levenson, J.C. (2011). Interpersonal psychotherapy (pp. 111-11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Freud, S. (1917). Mourning and melancholia, In J. Strachey (Eds.),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14 (pp. 239-258). Hogarth Press.
Giband-Wallston, J., & Wanderrsman, L. P. (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Glynn L M., Davis E. P., & Sandman C. A. (2013). New insights into the role of perinatal HPA-axis dysregulation in postpartum depression. Neuropeptides. 47(6), 363-370.
Gutman, D. A., & Nemeroff, C. B. (2011). Stress and depression, In R. J. Contrada & A. Baum (Eds.), The handbook of stress science: Biology, psychology, and health (pp. 345-357). New York: Springer.
Kendall-Tackett, K. A. (2010). Depression in new mothers: Causes, consequences, and treatment alternatives (2 Eds.), New York: Rutledge/ Taylor & Francis.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an approach based on Bowen theory. New York and London: Norton Company.
Kornetov, N. A. (2015). Postpartum depression: The central problem of mental health of early motherhood. Bûlleten' Sibirskoj Mediciny, 14(6), 5-24.
Leahy, R. L. (2002). Psychology and the economic mind. New York: Springer.
Nyström, K., & Ohrling, K. (2004). Parenthood experiences during the child's first year: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6, 319-330.
O'Hara, M. W., Schlechte, J. A., Lewis, D. A., & Varner, M. W. (1991). Controlled respective study of postpatum mood disorder: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hormonal variabl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1), 63-73.
Seligman, M. E. P. (1975). Helplessness: On deperssion, development, and death. San Francisco, CA: Freeman.
Taube-Schiff, M., & Lau, M. A. (2008).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M. Hersen & J. Rosqvist (Eds.), Handbook of psychological assessment, case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Vol. 1: Adults (pp. 319-351). Hoboken, NJ: John Wiley & Sons.
White, C., & Barrowclough, C. (1998).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with problematic preschoolers: attributions for child behavior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7(4), 385-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