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과정 기반의 셀프 수퍼비전 모형을 개발하고 학교상담자 발달단계에 따라 구분되는 셀프 수퍼비전 구성 내용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학교상담실무자 FGI 및 상담심리 전문가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셀프 수퍼비전의 목적, 구성요소 및 상담과정별 세부내용을 도출하여 예비 모형을 구안하고, 4명의 전문가 1차 평가, 30명의 학교상담실무자 2차 평가, 5명의 전문가 3차 평가를 통해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으며 학교상담자 발달단계별 셀프 수퍼비전 구성내용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셀프 수퍼비전의 목적은 4가지로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는 ‘핵심과업’과 ‘자기성찰’ 2가지로 나타났으며 상담초기, 중기, 종결기의 각 단계마다 ‘핵심과업’은 학교상담자가 점검해야 할 목록으로 제시하였고 ‘자기성찰’은 질문으로 제시하였다. 상담과정 기반의 셀프 수퍼비전 최종 모형은 총 43가지의 세부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학교상담자 발달단계에 따라 형성기에 해당하는 초심자일수록 상담언어기술을 훈련하는 내용으로 나타났고 성장기와 숙련기일수록 상담의 방향성과 사례개념화를 훈련하는 차별화된 ‘핵심과업’ 내용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자기성찰’은 발달단계와 관련 없이 모든 발달단계에서 중요하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제언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supervision model based on the counseling process and to specify the components of self-supervision which were important given the experience level of the school counselor.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 in-depth interview was arranged with counselor experts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school counselor. The final model was derived from three evaluation steps. The purpose of self-supervision was defined in 4 ways. The main components were core task and self-reflection. Core tasks were presented as a list to be checked by the school counselor according to developmental level(early, middle, and final). Beginner counselors are trained in counseling language skill. In the growing and the skilled period, core tasks were adjusted to emphasize counseling direction and case conceptualization. The self-reflection component was presented as a questionnaire. Self-reflection was important at all levels regardless of experience level.
강진구 (2015). 단기상담의 통합적 접근. 한국상담심리학회 하계연수회 자료집. 7월 24일. 서울: 고려대학교. 미간행.
강진령 (2009). 한국의 전문상담교사를 위한 종합적 수련감독 모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1), 1-18.
강진령, 손현동 (2006). 상담교사 수퍼비전 모형 기초 연구. 상담학연구, 7(1), 131-146.
권경인 (2010). 집단상담 수퍼비전 사례기록 모형 개발. 상담학연구, 11(1), 153-169.
김광은 (2017). 자기/동료 수퍼비전. 충청북도교육청 2017 전문상담(교)사 역량강화 직무연수 자료집. 12월 18일. 청주: 교원대학교. 미간행.
김민정, 조화진 (2015). 교육수준, 실무, 수퍼비전 경험과 교육 분석 경험에 따른 상담자 발달수준 비교연구. 상담학연구, 16(3), 67 -84.
김지정, 이영순 (2014). 전문상담교사의 적응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 (2), 223-246.
김창대, 김형수, 신을진, 이상희, 최한나 (2011).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학지사.
김한별, 정여주 (2016). 상담자 몰입과 공감, 내담자 몰입과 자기성찰 간의 구조모형 분석. 상담학연구, 17(4), 37-49.
김현령, 김창대 (2013).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차이분석: 집단원의 대화독점 문제 상황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 (4), 2125-2141.
남순임, 유형근 (2016).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퍼비전 모형개발. 상담학연구, 17(4), 1-20.
박성주, 박재황 (2004). 자기성장 집단상담 진행단계에 따른 수료자집단과 미수료자집단간의 비교분석 -집단응집력, 상담회기평가, 상담자평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5(2), 367-382.
손진희, 유성경 (2004). 내담자의 자기은폐 수준에 따른 상담회기, 작업동맹 평가 및 상담자-내담자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초심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327-345.
손현동 (2007).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심혜숙, 이현진 (2003). 사이버상담에서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및 가설형성 차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1-14.
안미순, 정민선 (2017). 상담자의 영성과 상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성찰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 (2), 119-146.
엄경남 (2015).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슈퍼비전 모형 개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유성경, 심혜원 (2005). 상담자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자기 대화 내용의 차이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789-812.
윤소영 (2006). 놀이치료자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수퍼비전에서의 개방.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명우 (2017). 사례개념화의 실제. 서울: 학지사.
이미선, 권경인 (2009).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 분석. 상담학연구, 10(2), 911-931.
이윤주 (2017). 상담 전문성의 핵심, 상담 사례개념화의 실제. 한국상담학회 교육연수위원회 2017년 하계 상담학 연수회 자료, 5-19.
이지원, 오인수 (2016).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17(4), 351-372.
임고운 (2008). 상담자 발달수준 및 역전이 활용에 따른 상담성과.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임은희 (2016). 상담자의 교육분석의 효과가 상담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공감과 상태불안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문주, 조한익 (2016). 상담자 발달과 관련 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상관관계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7(6), 141-164.
정희선, 김지현 (2017). 상담자 자기성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8(1), 87- 109.
조경숙, 서윤경, 유춘화, 이보배, 김예정 (2017). 상담자의 상담과정 내 스트레스의 회복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인문사회, 21, 8(2), 365-386.
지승희, 주영아, 김영혜 (2014). 수퍼비전 경험과 되고 싶은 수퍼바이저 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담학연구, 15(5), 1671-1693.
채민정, 김창대, 김수임 (2008). 내담자의 회기 불참에 대한 상담자 자기대화 분석: 상담자 발달수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9(4), 1449-1474.
최영희, 김영희, 심희옥, 심미경 (2016). 아동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최해림 (1999). 상담자 교육과 수퍼비전의 현재. 대학생활연구, 17(1), 1-18.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상담심리학회 회칙 내 상담심리사 자격규정, 검정규칙 및 시행세칙. www.krcpa.or.kr
한국상담학회 (2017). 한국상담학회 정관 및 규정, 사단법인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자격규정. www.counselors.or.kr
한재희, 남지연 (2017). 실존주의상담의 철학적 가치관이 상담자의 자기인식 및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38(1), 47-66.
허난설 (2016). 학교상담자 발달 단계별 수퍼비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상담학연구, 17(6), 417-436.
허재경, 김지현 (2009). 성찰 중심 수퍼비전을 통한 상담자 발달의 변화과정 탐색연구. 상담학연구, 10(2), 719-740.
홍영식, 한재희 (2012). 상담 수퍼비전에서 상담자의 자각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3(3), 1387-1406.
황임란 (2017). 사례개념화. 충청북도청주교육지원청 2017 특별교육 다양화를 위한 청주 Wee클래스 전문상담인력 하반기 연수 자료집. 12월 19일. 청주: 청주교육지원청 대회의실. 미간행.
황주연, 정남운 (2010). 상담자 자기성찰(Seft-Reflection)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 241-263.
Bernard, J. M., & Goodyear, R. K. (2004).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3rd ed.). Boson: Pearson.
Borders, L. D., & Usher. C. (1992). Post-degree supervision: Existing and preferred practic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0, 594-599.
Brandon, H., & Amy, M. (2011). Academic writing: Reflections from succesful counselor educators. Journal of Humanistic Counseling, 50(1), 56-69.
Chalkidou, T., & Brdley, M. (2013). Self-supervision, planning, and evaluation. Parks & Recreation, 33-35.
Copeland, W., Birmingham, C., De La Cruz, E., & Lewin, B. (199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in teaching: Toward a research agenda.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9, 347-359.
Dennin, M. K., & Ellis, M. V. (2003). Effects of a method of self-supervision for counselor traine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1), 69-83.
Dogan, C., Panayiotis, G., David, A. C., Rebeca, M. A., Zac, E., & Shrikanth, N. S. (2016). “It sounds like..”: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pproach to detecting counselor reflections in motivational interview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3(3), 343-350.
Glatthorn, A. A. (1997). Differentiated supervision (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Holloway, E. L. (1992). Supervision: A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S. D. Brown., & R. W. Lent (Eds.). Han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2nd ed., pp 177-214). New York: John Wiley.
Kahn, W. (1976). Self-management: Learning to be our own counselor.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55, 176-180.
Ladany, N. (2002). Psychotherapy supervision; How dressed is the emperor. Psychtherapy Bulletin, 37, 14-18.
Loganbill, C., Hardy, E., & Delworth, U. (1982). Supervision: A conceptual model.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0(1), 3-42.
Lowe, R. (2000). Supervising self-supervision: Constructive inquiry and embedded narratives in case consultation.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6(4), 511-521.
Luis, V. H., & Colwick, W. M. (2011). Managing worldview influences: Self-awareness and self-supervision in a cross-cultural therapeutic relationship. Journal of Family Psychotherapy, 22(2), 97-113.
McCarthy, P., Kulakowski, D., & Kenfield, J. A. (1994). Clinical supervision practices of licensed psycholog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5, 177-181.
Meyer, R. (1978). Using self-supervision to maintain counseling skills: A review.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57, 95-98.
Monk, G., & Sinclair, S. L. (2002). Toward discursive presence: Advancing social constuctionist approach to self-supervision. The Clinical Superviosor, 21(2), 109-128.
Morrissette, P. (1999). Family therapist self-supervision: Preliminary guidelines. The Clinical Supervisor, 18, 165-183.
Morrissette, P. (2012). 셀프 수퍼비전 (이명우, 장석진, 이정화, 조민아, 김경집, 최창조, 양승민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1에 출판).
Nelson, M. L., & Neufeldt, S. A. (1998). The pedagogy of counseling: A critical examination. Counselor Education & Supervision, 38(2), 70-89.
Neufeldt, S. A. (2004). Critical factors in supervision: The patient, the therapist, and the supervisor, In D. P. Charman (Eds.). Core process in brief psychodynamic psychotherapy. Advancing effective practice (pp. 325-341).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Neufeldt, S. A. (2017). 상담심리치료 수퍼비전 (강진령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7에 출판).
Pompeo, A. M., & Levitt, D. H. (2014). A path of counselor self-awareness. Counseling and Values, 59, 80-94.
Rosin, J. (2015). The necessity of counselor individuation for fostering reflective practic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93(1), 88- 95.
Rubio, D. M., Berg-Weger, M., Tebb, S. S., Lee, E. S., & Rauch, S. (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Simon, D. J., Cruise, T. K., Huber, B. J., Swerdlik, M. E., & Newman, D. S. (2014). Supervision in school psychology: The developmental/ ecological/ problem-solving model. Psychology in The School, 51(6), 636- 646.
Simon, G. (2010). Self-supervision, surveillance and transgression. Journal of Family Therapy, 32(3), 308-325.
Skovholt, T. M., & Jennings, L. (2004). Master thrapists.. New York, NY: Person Education, InC.
Sperry, L., & Sperry, J. (2014). 상담실무자를 위한 사례개념화 이해와 실제 (이명우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2에 출판).
Stolenberg, C. D., McNeill, B. W., & Delworth, U. (1998). IDM supervision: An integrated developmental model for supervision counselors and therapists. San Francisco: Jossey-Bass.
Strasser, J., & Gruber, H. (2004). The role of experience in professional training and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counsellors. In H. P. A. Boshuizen, R. Bromme, & H. Gruber(eds), Professional learning: Gaps and trasitions on the way from novice to expert.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Todd, T. (1997b). Self-supervision as a universal supervisory goal. In T. C. Todd & C. L. Storm (Eds.), The complete systemic supervisor: Context, philosophy and pragmatics(pp. 17-25).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Topuz, C., & Arasan, Z. (2014). Self-awareness group counseling model for prospective counselor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43, 638-642.
Welfel, E. R., & Patterson, L. E. (2009). 상담과정의 통합적 모델: 다이론적 통합적 접근 (한재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9에 출판).
Yager, G., & Park, W. (1986). Counselor self-supervis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Human Service Professions, 1, 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