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을 가진 대학생의 관계적 삶에 대해 보다 생생하고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자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참여자들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관계적 삶이 시간적․사회적․장소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에서 어떻게 경험되고 그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따돌림 이전에는 결핍된 관계 속에서 불안정감을 경험했고, 따돌림 시기에는 자기돌봄이나 가족과 사회적 지지 없이 고립감과 소외감을 경험했다. 이후 반복적인 따돌림의 경험으로부터 탈피하고자 목표지향의 관계적 삶을 애써보지만, 새로운 환경에서 부딪히는 관계갈등은 그들에게 따돌림의 피해경험을 되살리고 좌절감을 주었다. 그들은 유보된 관계성 속에서 상황과 조건의 변화로 돌파구를 찾고자 애썼고 그 이야기 속에는 관계적 삶에 대한 열망이 있었다. 이런 과정으로 참여자들과 함께 도출해낸 집단따돌림과 관계적 삶에 대한 경험의 의미는 ‘세상에 덩그러니’, ‘움직이면 파고드는 덤불에 갇혀’, ‘끝나야 끝나는’, ‘뒤늦게 찾아온 성장통’,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다시’라는 5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따돌림의 경험과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의 맥락에서 상담에 대한 제언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relational-lif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experiences of bullying. The study examined how participants experienced and organized meanings of experiences of bullying and relational-life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Whereas before being bullied the participants felt insecure due to lack of relationship, while being bullied they were isolated without any self-care and social support. Thereafter they became more goal-oriented to escape from repeated experiences of bullying. However, during relationship-conflicts at university, they felt frustrated because of recalled experiences of bullying. Despite trying to find ways out of distress in reserved relationship, they realized their desires of relational-life through rumination. Five topics are drawn by participants with researchers: ‘being left alone’, ‘trapped in a swamp tighten further when moved’, ‘not over until it is’, ‘overdue growing pain’, and ‘nevertheless, I agai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구정하, 김희정 (2016). 대학생의 아동청소년기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과 그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인간이해, 37(2), 139-166.
권석만 (2011). 인간의 긍정적 성품-긍정심리학의 관점. 파주: 집문당
김영천 (2013).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김재엽, 이근영 (2010).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7(5), 121-149.
남태현, 이희경 (2016). 정서적 지지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관계성을 통한 진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7(3), 45-64.
박주영, 강영신 (2016). 대학생 따돌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6(8), 341-341.
서영석, 안하얀, 이채리, 최정윤 (2015). 집단따돌림 외상 경험 및 극복 과정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3), 685- 719.
서유정, 신재한 (2013). 학교 따돌림과 직장 따돌림의 연관성 분석과 따돌림 방지 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책제언보고서.
성선혜 (2007).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정서 조절양식 및 또래괴롭힘 경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이수림 (2013). 외상유형이 외상 후 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319-341.
이지영, 권예지, 고예나, 김은미, 나은영, 박소라 (2016). 한국 청소년의 집단 따돌림에 대한 심층인터뷰 연구: 따돌림의 유형화 및 소셜미디어의 역할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53(1), 267-309.
오혜영, 김동일, 송지연 (2018). 대학생의 심리적 위기 극복 및 인성계발 지원사업 설계연구: 고등교육 미래인재(homo futures) 양성을 위한 심리적 강인성 및 인성 계발의 지원 기반 설계. 서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94-100.
장 한, 김진숙 (2017). 외상후성장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8(5), 85-105.
정옥분, 정순화, 김경은, 박연정 (2008). 국내 집단따돌림 관련연구의 경향분석. 인간발달연구, 15(1), 115-137.
정지선, 안현의 (2008). 청소년 학교폭력의 복합 외상(Complex Trauma)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45-160.
조혜진 (2003). 또래 괴롭힘의 피해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최준영 (2007). 청소년의 집단따돌림과 자살관련태도. 사회연구, (14), 223-238.
최지영, 박지현, 남순애 (2017). 청소년시기에 집단따돌림 피해를 경험한 여자대학생에 관한 사례연구. 인간발달연구, 24(4), 135- 160.
홍영숙 (2015).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3(1), 5-21.
Beale. D., & Hoel, H. (2010). Workplace bullying, industrial relations and the challenge for management in Britain and Sweden. Europe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16(2), 101-118.
Briere, J., & Rickards, S. (2007). Self-awareness, affect regulation, and relatedness: Differential sequels of childhood versus adult victimization experience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5(6), 497-503.
Calhoun, L. G., Cann, A., Tedeschi, R. G., & McMillan, J. (2000).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3(3), 521-527.
Clandinin, D. J. (2015).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 (염지숙, 강석, 박세원, 조덕주, 조인숙 공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전은 2013에 출판).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Clandinin, D. J., & Rosiek, J. (2006). Mapping a landscape of narrative inquiry: Borderland spaces and tensions. In D. J. Clandinin (9Eds.),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 Mapping a methodology (pp. 35-75). Thousand Oaks, CA: Sage.
Connelly, F. M., & Clandinin, D. J. (1999). Shaping a professional Identity: Stories of educational practice.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Collier Books.
Erikson, E.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Finnegan, R. A., Hodges, E. V. E., & Perry, D. G. (1996). Preoccupied and avoidant coping during middl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67(4), 1318-1328.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Greenberg, M. A. (1995). Cognitive processing of traumas: The role of intrusive thoughts and reappraisal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5(14), 1262-1296.
Hamilton, N. G. (2007).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자기와 타자 (김진숙, 김창대, 이지연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6에 출판).
Hawker, D. S. J., & Boulton, M. J. (2000) Twenty years research on peer victimisation and psychosocial maladjustment: A meta-analytic review of cross-sectional studi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1(4), 441-455.
Hong, Y. S. (2009). A narrative inquiry into three Korean teachers’ experiences of teaching returnee children.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Koo, H. (2007). A time line of the evolution of school bullying in differing social context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8(1), 107-116.
Krause, N. (2007). Longitudinal study of social support and meaning in life. Psychology and Aging, 22(3), 456-469.
Leary, M. R. (2003). Interpersonal aspects of optimal self-esteem and the authentic self. Psychological Inquiry, 14(1), 52-54.
Lenton, A. P., Bruder, M., Slabu, L., & Sedikides, C. (2013). How does “being real” feel? the experience of state authenticity. Journal of Personality, 81(3), 276-289.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1), 11-21.
Matsui, T., Tzuzuki, T., Kakuyama, T., & Onglatgo, M. L. (1996). Long-term outcomes of early victimisation by peers among Japanese male university students: Model of a vicious circle. Psychological Reports, 79(3), 711-720.
Nansel, T. R., Overperk, M., Pila, R. S., Ruan, W. J., Simons-Morton, B., & Scheidt., P. (2001). Bullying behaviors among US youth: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Jama, 285(16), 2094-2100.
Olweus, D. (1992). Peer victimization: Antecedents and long-term outcomes. In K. H. Rubin & J. B. Asendorf, Social withdrawal inhibition, and shyness in childhood (pp. 315-342). Hillsdale, NJ: Erlbaum.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Cambridge, MA: Blackwell.
Olweus, D. (1994). Annotation: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7), 1117-1190.
Olweus, D. (1999). 바로 보는 왕따: 대안은 있다 (이동진 역). 서울: 삼신각. (원전은 1993에 출판).
Olweus, D. (2011). Bullying at school and later criminality: Findings from three Swedish community samples of males. Criminal Behaviour and Mental Health, 21(2), 151-156.
Quine, L. (2001). Workplace bullying in nurse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73-84.
Schafer, M., Korn, S., Smith, P. K., Hunter, S. C., MoraMerchan, J. A., Singer, M. M., & Meulen, K. (2004). Lonely in the crowd: Recollections of bullying.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2(3), 379-394.
Smith, P. K., & Brain, P. (2000). Bullying in schools: Lessons from two decades of research. Aggressive Behavior, 26(1), 1-9.
Smith, P. K., Singer, M., Hoel, H., & Cooper, C. (2003). Victimaization in the school and the workplace: Are there any links?. British Journal of Psycology, 94(2), 175-188.
Taku, K., Calhoun, L. G., Cann, A., & Tedeschi, R. G. (2008). The role of rumination in the coexistence of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bereave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Death Studies, 32(5), 428-444.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White, S. (2004). A psychodynamic perspective of workplace bullying: Containment, boundaries and a futile search for cognition.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32(3), 269-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