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육군 부사관의 성역할 갈등과 병사의 군 생활 적응 간 관계에서 부사관 리더십 역량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부대에서 근무하는 육군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사관 299명, 병사 299명의 1:1 대응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상관 및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하였다(TLI=.910, CFI=.924, RMSEA=.079, SRMR=.062). 그 결과, 육군 부사관의 성역할 갈등이 병사의 군 생활 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 관계에서 부사관 리더십 역량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는 부사관 리더십 역량이 높을수록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도울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부사관의 성역할 갈등이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나 부사관 리더십 역량을 강화시켜 성역할 갈등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병사의 군 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사관이 성역할 갈등을 극복하고, 리더십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eadership competencies among army noncommissioned offic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s and the adjustment to the army environment of soldiers under their command. Data from individual meeting with 299 army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299 soldiers were examined, utilizing goodness-of-fit of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data. Result indicated that gender role conflicts of army noncommissioned officers significantly predicted adjustment of soldiers to the army environment. Specially, noncommissioned officers with a high degree of leadership competencies had a positive effects on soldiers' adjustment. Additionally, gender role conflicts on the part of noncommissioned officers had a negative effects on soldiers'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gender role conflicts might be reduced by enhancing the leadership competencies of army noncommissioned officer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are discussed.
김광률, 남상인, 김무영 (2010). 상사의 공감수준과 부하의 복무적응간의 관계 연구. 상담학연구, 11(4), 1537-1549.
구남웅 (2002). 직속상관의 리더십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구승신 (2004). 신세대 병사의 군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권승미 (2003). 병사들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정서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일 (2009). 학군장교 리더십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춘, 백유성 (2011). 전략적 리더십 구성요인 탐색: 군 고급제대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8(3), 219-241.
김옥란, 김완일 (2014). 군 병사의 군 생활 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5(4), 1627-1646.
김완일 (2006). 군 상담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김정현, 김지현 (2017). 육군 부사관 리더십 역량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8(6), 645-664.
김중섭 (1985). 사기의 효과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군사평론, 235, 육군대학.
김지현, 최희철 (2004). 남성성역할, 성역할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2004년 한국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13-23.
김지현, 최희철 (2007). 남자 청소년의 성역할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도구성과 성역할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07-121.
김지현, 황옥경, 최희철 (2005). 중년 남성의 성역할, 성역할 갈등과 부부의 결혼만족, 상담학연구, 6(2), 621-632.
김태현, 이정원, 임익순 (2013). 군상담 프로그램. 서울: 교문사.
김혜정 (2007). 병사들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임파워먼트 및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효영 (1999). 군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전·의경대원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경환 (2005). 상급자의 공감, 직면 그리고 공격이 하급자의 자아존중감과 능력활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18(3), 1391- 1412.
서은경 (2000). 남성의 성역할 갈등이 주관적 삶의 질과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손익준 (2007). 해군 부사관의 리더십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적용.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심우섭 (2008). 개인상담시 타로카드가 신세대 장병의 우울 및 불안정서와 상담회기의 효율성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원영 (2014). 군 관심사병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서울불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원제윤 (2004). 초급지휘관 리더십이 신세대 병사들의 사기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육군본부 (2008). 2007년도 사고예방 활동 지침. 육군본부.
육군부사관학교 (2015). 육군부사관학교 부사관 교육 과정. 전북: 육군부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 (2013). 군사 리더십: 이론, 적용 그리고 새로운 전망. 제 17회 화랑대 국제심포지엄. 9월 30일. 서울: 육군사관학교. 미간행
이미정, 변화순, 김은정 (2009). 청년층 섹슈얼리티와 친밀한 관계에서의 성폭력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 1- 248.
이선주 (2006). 사병의 개인적 특성과 지휘관의 리더십이 사병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수연, 김인순, 김지현, 김진아 (2012). 한국형 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여성연구, 82(1), 5-33.
이종호 (1996). 군 조직에서의 신입원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주 (2012). 군장병의 자아탄력성과 부대 적응도의 관계: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민선 (2012). 남성상담자의 감정억제와 공감, 내담자의 작업동맹, 상담만족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병삼 (2004). 육군병사들이 지각한 분노유발요인과 그들의 비합리적 신념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영용 (2001). 군 간부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 수도권 일원 육군 중견간부를 대상으로.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병순 (1989). 상이한 상황하에서 효과적인 지휘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병순 (2008). 핵심역량 기반 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방안. 숙명리더십연구, 7, 189-217.
최병순 (2009). 군 지휘관의 리더십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형 리더십 역량모형을 중심으로. 국방연구, 52(2), 99-125.
하정혜, 김지현 (2016). 중년여성 한부모의 성역할갈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023-1046.
허재영 (2010). 군 조직에 부적응한 병사들을 위한 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방적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황용주 (2001). 신세대 병영생활에 부합된 효율적인 리더십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em, S. L. (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155-162.
Blazina, C. Pisecco, S., & O'Neil, J. M. (2005). An adaptation of the Gender Role Conflict Scale for Adolescents: Psychometric issues and correlates with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y of Men and Masculinity, 6, 39-45.
Cochran, S. V., & Rabinowitz, F. E. (2000). Practical resources for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 Men and depression: Clin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San Diego, CA, US: Academic Press.
Department of the Army (1999). Army Leardership.
Department of the Army (2006). Army Leadership: FM 22-100, Department of the Army.
Eisenberg, N., & Strayer, J. (1987). Critical issues in the study of empathy. In N. Eisenberg & J. Strayer (Eds.), Cambridge studies i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Empathy and its development (pp. 3-13). New York, NY, 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Erikson, E. H. (1959). Identity and life cycle. Psychlogical Issues, 2, 1-86.
Gysbers, N. C., Heppner, M. J., & Johnston, J. A. (2003). Career counseling: Process, issues, and techniques. Allyn & Bacon.
Good, G., & Mintz, L. B. (1990a). Gender role conflict and depression in college men: Evidence for compound risk.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9, 17-21.
Good, G., & Mintz, L. B. (1990b). Gender role conflict and depression in college men: Evidence for compound risk.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4, 70-75.
Good, G. E., Robertson, J. M., & O'Neil, J. M. (1995). Male Gender role conflic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ing, 43(1), 3-10.
Good, G. E., Robertson, J. M., Fitzgerald, L. F., Stevens, M., & Bartles, K. M. (1996). The relation between masculine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mal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cli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ing, 75, 44-49.
Hayes, R. H., & Wheelwright, S. C. (1984). Restoring our competitive edge: competing through manufacturing.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Kilmartin (2007). The masculine self(3rd ed.). New York: Sloan Publishing.
Kopper, B. A., & Epperson, D. L. (1996).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Relationships with gender, gender role socialization, depression, and mental health function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43(2), 158-165.
Levant, R. F. (1997). The masculinity crisis. The Journal of Men’s Studies, 5(3), 221-231.
Lynch J., & Kilmartin C. (1999). The pain behind the mask. The Haworth Press; Binghamton, NY.
Muthén, L. K., & Muthén, B. O. (2012). Mplus statistical analysis with latent variable user’s guide. 7th Edition. Los Angeles, CA: Muthén & Muthén.
O'Neil, J. M. (1981a). Male sex-role conflicts, sexism, and masculinity: Psychological implications for men, women, and the counseling psychologist. counseling psychologist, 9(2), 61-81.
O'Neil, J. M. (1981b). Patterns of gender role conflict and strain: Sexism and fear of feminity in men's lives.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60, 203-210.
O'Neil, J. M. (1982). Gender role conflict and strain in men's lives: Implications for psychiarrists, psychologist, and other human service providers. In K. Solomon & N. Levy(Eds), Men in transition: Theory and therapy (pp. 5-40). New York: Plenum Press.
O'Neil, J. M., Hemls, B., Gable, R., David, L., & Wrightsman, L. (1986). Gender Role Conflict Scale: College men's fear of feminity. Sex Roles, 14, 335-350.
O'Neil, J. M., Good, G. E., & Holmes, S. (1995). Fifteen years of theory and research on men's genger role conflict: New paradigms for empirical research. In Ronald F. Levant & Williams S. Pollack(Eds). A new psychology of men (pp. 162-206). New York: Basic Books.
O'Neil, J. M. (2008). Summarizing 25 year of research on men's gender role conflict using the gender role conflict scale: New research paradimes and clinical implications. The Counseling Psycholosist, 36, 358-445.
Pleck, J. H. (1981). The myth of masculinity. Cambridge, MA: MIT Press.
Pleck, J. H. (1995). The gender role strain paradigm: An update. In R. R. Levant & W. S. Pollack(Eds.), A new psychology of men (pp. 11-32). New York: BasicBooks.
Pollack, W. S. (1995). No man is an island: Toward a new psychoanalytic psychology of men. In R. F. Levant & W. S. Pollack (Eds.), A new psychology of men (pp. 33-67). New York, NY, US: Basic Books.
Rogers, C. R., et al. (Eds.). (1967).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its impact: A study of psychotherapy with schizophrenics. Oxford, England: U. Wisconsin Press.
Rogers, C. R. (1980). Growing old-or older and growing.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20(4).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sist. 55, 68- 78.
Sharpe, M. J., & Heppner, P. P. (1991). Gender role, gender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 323-330.
Sharpe, M. J., & Heppner, P. P., & Dixon, W. A. (1995). Gender role conflict, instrumentality, expressiveness, and well-being in adult men. Sex Roles, 33(1 & 2), 1-18.
Wisch, A. F., & Mahalik, J. R. (1999). Male therapists’clinical bias: Influence of client gender roles and therapists gender role conflic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 51-60.
Yukl, G. (1998a). Managerial leadership: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Yearly Review of Mangement, 15, 251-189.
Yukl, G. (1998b). Leadership in organizations. 4th ed.,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