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대인 외상적 폭력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대학입학 후 드러난 심리적 어려움과 적응의 과정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기 대인 외상적 폭력을 경험한 대학생 12명을 심층인터뷰 하여 모아진 자료를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57개의 개념과 56개의 하위 범주, 2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과정분석의 결과에서는 대인 외상적 폭력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적응의 과정이 총 6단계로 ‘시험 단계’, ‘모델링 단계’, ‘도약 단계’, ‘확신 단계’, ‘경계설정 단계’, ‘상호성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유형분석의 결과에서는 중재 조건에 해당하는 ‘새로운 환경의 적응 능력’의 차원과 작용/상호작용 전략 조건에 해당하는 ‘내적/외적 시도’의 차원을 두 축으로 총 네 가지 유형인 ‘내적성찰 극복형’, ‘외적관계 극복형’, ‘내적성찰 정체형’, ‘외적관계 정체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비교 분석을 제시하고, 새롭게 발견된 점, 이후 지속해야 할 연구 주제 및 임상현장에서 유의해야 할 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adaptation process of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or adolescence.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college students and grounded theory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analysis, 157 concepts, 56 sub categories, and 26 essential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proces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ocess of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tic violence is composed of six steps. The results of the last type analysis show 4 types. Novel processes and concept consistency with prior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 for clinical practice are presented.
고나래 (2008). 아동, 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 정서조절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김영애, 최윤경 (2017).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질적 연구: 경험자와 치료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1), 199- 228.
김지애 (2013). 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 촉진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정서적 폭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김혜원 (2011).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과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에 따른 심리적 부적응 및 학교 부적응. 청소년학연구, 18(5), 321-357.
모상미 (2014). 청소년의 복합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박선미 (2017). 아동기 외상 유형이 외상 경험 대학생의 대인관계 철회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박선정 (2015). 대인외상 경험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항: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2(1), 25-47.
박은아 (2015). 성인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낙관성과 관계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7(1), 263- 288.
신지영, 이동훈, 이수연, 한윤선 (2015). 대학생이 경험하는 외상사건 유형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19(2), 69-95.
안규민 (2016). 아동의 학대경험이 또래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양귀화, 김종남 (2014).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정서조절곤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삼중매개효과와 낙관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1041-1062.
양민경 (2013). 동료관계가 조직원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오혜영 (2018). 대학생의 심리적 위기 극복 및 인성계발 지원사업 설계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유계숙, 이승출, 이혜미 (2013). 집단따돌림 참여자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관련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3), 63-89.
윤명숙, 김서현 (2012). 대학생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2), 5-32.
윤명숙, 박아란 (2015). 청소년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청소년복지연구, 17(3), 239-261.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23.
이태영, 심혜숙 (2011). 아동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6) 2273-2291.
이현정, 장희순 (2014). 청소년의 복합 및 다중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4 (1), 39-59.
장은진 (2017). 범죄피해 외상경험자의 심리적 어려움과 대처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9(1), 295-316.
장진이 (2010).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의 자기체계 손상과 심리적 특성.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주소희 (2016). 외상경험 아동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요인연구.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29(2), 65-83.
최은영 (2010). 여대생의 아동청소년기 대인간외상경험과 자기역량 손상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최은영, 안현의. (2011). 여대생의 아동 청소년기 대인간 외상 경험과 자기역량 손상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3), 285-302.
한노을 (2008). 외상 후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아동기 성폭력을 경험한 여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한수경 (2013). 청소년의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Allen (2005). Coping with trauma: A guide to self understandin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llen, J. G. (2010). 트라우마의 치유 (권정혜, 김정 범, 조용래, 최혜경, 최윤경, 권호인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5년에 출판).
Bonanno, G. (2005). Resilience in the face of potential trauma.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4, 135-138.
Calhoun, L. G., & Tedeschi, R. G. (Eds.). (2006).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Mahwah, NJ: Erlbaum.
Copeland, W, E., Wolke, D., MRCPsych, A. A., & Costello, J. (2013). Adult psychiatric outcomes of bullying and being bullied by pe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AMA Psychiatry, 70(4), 419-426.
Cougle, J. R., Resnick, H., & Kilpatrick, D. G. (2013). Factors associated with chronicity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prospective analysis of a national sample of women.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5(1), 43-49.
Erickson, B. H. (1979). Some problems of inference from chain data. Sociological Methodology, 10(1), 276-302.
Glassman, L. H., Weierich, M. R., Hooley, J. M., Deliberto, T. L., & Nock, M. K. (2007). Child maltreatment, non-suicidal self-injury,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criticism.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5, 2483-2490.
Joseph, S., Murphy, D., & Regel, S. (2012). An affective–cognitive processing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9(4), 316-325.
Kilpatrick, D. G., Acierno, R., Saunders, B., Resnick, H. S., Best, C. L., & Schnurr, P. P. (2000).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bstance abuse and dependence: Data from a national samp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1), 19-30.
Littleton, H., Horsley, S., John, S., & Nelson, D. V. (2007). Trauma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 meta analysi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6), 977-988.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and adversity: A review. Jornal of Traumatic stress, 17(1), 11-21.
Lumley, M. N., & Harkness, K. L. (2007). Specificity in the relations among childhood adversity,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ymptom profiles in adolescent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1, 639-657.
Masten, A. S. (2004). Regulatory processes, risk and resilience in adolescent development.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21, 310-319.
Newman, M. L., Holden, G. W., & Delville, Y. (2005). Isolation and the stress of being bullied. Journal of Adolescence, 28, 343-357.
Romito, P., & Grassi, M. (2007). Does violence affect one gender more than the other? The mental health impact of violence amo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ocial Science & Medicine, 65(6), 1222-1234.
Salo, J., Punamaki, R., & Qouta, S., (2004). Association between self and other representations and posttraumatic adjustment among political prisoners. Anxiety, Stress, and Coping, 17, 421-439.
Stapinski, L. A., Bowes, L., Wolke, D., Pearson, R. M., Mahedy, L., Button, K. S., Lewis, G., & Araya, R. (2014). Peer victimization during adolescence and risk for anxiety disorders in adulthood: A prospective cohort study. Depress Anxiety, 31(7), 574-582.
Strauss, A., J. Corbin.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London: Sage
Taylor, S., Asmundson, G. J. G., & Carleton, R. N. (2006). Simple versus complex PTSD: A cluster 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0(4), 459-472.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 93-102.
Williams, W. I. (2006). Complex trauma: Approachs to theory and treatment. Journal of Loss and Trauma, 11, 32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