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경험에 대한 현상을 심층적으로 탐색해보고 그들이 바라는 심리적 도움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영유아의 이용률이 가장 높은 기관 유형인 민간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들에게 ELS(Emotional Labor Scale)를 수정한 설문지를 배부, 수거하였고, 감정노동 척도의 상위 점수에 해당하는 4.28 이상인 보육교사 8명에게 심층 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심층적 현상과 그들이 원하는 심리적 도움에 대한 경험을 4개의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 나타난 중심 현상적 기술의 4개의 범주는 <긍정적 감정을 유지하기가 힘겨움>, <개선되지 않는 환경과 편견에 지쳐감>, <문득 정신을 차리면 밀려오는 미안함>, <건강하고 행복한 선생님이기를 원함>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들이 시달리고 있는 감정노동 경험의 현상과 심리적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keywords
Emotional labor, childcare teachers, phenomenological research, 감정노동, 보육교사, 현상학적 연구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what types of psychological support they may require. To this end, eight teachers with high scores on the ELS (Emotional Labor Scale) were interview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analysis resulted in four phenomena experienced by the childcare teachers in regard to their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support needs. The phenomena included: difficulty maintaining, tired of not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prejudice, a sudden awakening of apology, and the pursuit of becoming a healthy and happy teacher. We present a discussion informed by the findings, including the truth of the emotional labor which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appropriate psychological support pla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Emotional labor, childcare teachers, phenomenological research, 감정노동, 보육교사,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1.

고재욱 (2012).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해소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2), 271-293.

2.

고재욱 (2015).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험요인의 매개효과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 (3), 139-158.

3.

권미경, 김천기 (2015). 교사의 관점에서 본 학부모의 소비자 주권적 태도와 그에 따른 교사의 위축 및 정체성 변화. 교육종합연구, 13(3), 83-109.

4.

김동현, 이재모 (2014).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419-435.

5.

김미숙, 정현정, 허은경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행복의 관계: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00(2016), 151-175.

6.

김미향, 이은진 (2016).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경험하는 부모와의 관계 탐색 –감정노동의 관점에서-. 열린부모교육연구, 8(1), 79- 104.

7.

김민주 (2013). 돌봄 노동의 특성이 돌봄 여성 노동자의 직무연속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8.

김수안, 김명찬 (2017). 불안정 애착 엄마의 자녀양육과 안정화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 (4), 1169-1198.

9.

김연옥 (2012). 유아교사의 소진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10.

김영은 (2012).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57-76.

11.

김지연 (2014).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과정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김현주 (2012). 업무환경과 정서노동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13.

김희정 (2016).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 관계 -교직선택동기 및 근무환경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4.

박다솔 (2015).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5.

박은영, 조은정, 정주선 (2011).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보육교사의 발달단계 및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7-146

16.

보건복지부 (2016). 2015 전국보육실태조사.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17.

보건복지부 (2018a). 2018년도 보건복지부 소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개요. 세종시: 보건복지부.

18.

보건복지부 (2018b). 2017년도 보육통계. 세종시: 보건복지부.

19.

석류 (2014).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감정노동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

손익교 (2012). 유치원 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21.

심용출(2015).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 경험연구. 박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22.

유희정, 이미화 (200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3.

이경숙, 박진아, 김명식 (2017). 보육교사의 보육직무 스트레스 관리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79-101.

24.

이미정, 박승민 (2015). 상담수련과정에서 상담자의 자기 발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16(1), 1-29.

25.

이복임, 정혜선, 김순례, 이경용 (2004). 서비스직 근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5(4), 566- 576.

26.

이승미 (2013).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 -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7.

이연경 (2018). 보육교사의 완벽주의 성향, 직무 스트레스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28.

이정은, 한은미, 홍현기, 이인재 (2016). 한국판 감정노동척도(K-ELS)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1), 243-256.

29.

이주원, 지명원 (2012). 감정노동자의 직무 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6), 191-200.

30.

이주일 (1998). 체험정서와 표현정서의 심리적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1.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2.

정경진, 윤혜미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29-152.

33.

정명선 (2014).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율성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6(1), 147-166.

34.

정명선 (2015). 감정노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자율성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6(3), 121- 138.

35.

정현정 (2015). 보육교사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36.

탁진국, 노길광, 이은경 (2009).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567-589.

37.

한상근 (2013). 감정노동의 직업별 실태. 노동연구, 32, 5-27.

38.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In R. S. Valle and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pp. 150-33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9.

Guba, E. G., & Lincoln, Y. S. (1985). Naturalist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40.

Hochschild, A. R. (1983). 감정노동: 노동은 우리의 감정을 어떻게 상품으로 만드는가[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이가람 역). 서울: 이매진.

41.

Morris, J. A., & Feldman, D. C.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42.

Noddings, N. (1996). Stories and affect in Teacher Education. Cambridge Journal of Edcucation, 26(3), 435-447.

43.

Thomas, C. (1993). De-constructing concepts of care. Sociology, 27(4), 649-66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