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수감횟수 및 최초범죄연령별 다집단분석

Mediation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Active Stress-coping Metho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illingness for the Self-sufficiency among Ex-offenders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mprisonment and the Age of Initial Crim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활의지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으로부터 숙식지원을 받고 있는 출소자 50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SPSS 23.0,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활의지의 구조모형에서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셋째,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다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수감횟수 및 최초범죄연령에 따른 측정변인들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하고, 변인 간 경로계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정된 연구모형은 수감횟수를 기준으로 구분된 모든 집단과 최초범죄연령을 기준으로 분류된 모든 집단에 대해 좋은 적합도를 보였고, 구조모형이 집단 모두를 적절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출소자,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활의지, ex-offenders, social support, self-resilience, active stress-coping methods,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elf-resilience, active stress-coping methods and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Data was collected from 504 ex-offenders and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path coefficients in the structural model were meaningful on the structural model. Additionally,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active stress-coping methods were respectively meaningful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Multiple-group analysis based on ex-offenders’ number of incarcerations and age at initial crime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had good corresponding level to all the groups distinguished, and that the structural model properly explained all of the groups.

keywords
출소자,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활의지, ex-offenders, social support, self-resilience, active stress-coping methods,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참고문헌

1.

김광웅 (2007). 자아존중감 및 자기수용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83-999.

2.

김대권, 정우일 (2010). 사회 내 차별경험에 관한 수형자의 인식. 경찰학논총, 5(1), 351- 374.

3.

김선희, 최병욱 (2012). 출소자를 위한 상호통섭적 인문치료의 이론적 접근. 인문과학연구, 32, 403-430.

4.

김세원 (2005). 자활사업 대상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대전광역시 자활후견기관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승의 (2006).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욕 및 취업창업관련 활동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영미 (2002). 자활지원사업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참여자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윤경, 정문자 (2009).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행동.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8), 1-11.

8.

김인경 (2012). 음악치료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4(1), 41-61.

9.

김현정, 함경애, 이동훈 (2014). 실직자의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787-806.

10.

김현주, 김광웅 (2007). 아동상담자의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전이 관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10(1), 35-46.

11.

김현중 (2012). 사회적 지지가 가출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탄력성의 조절효과. 침례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노일석 (2010). 남자 청소년 폭력사범 재범 예측 요인. 형사정책연구, 349-379.

13.

민그래, 이희선 (2013).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1(4), 7-16.

14.

박경숙, 박능후 (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 생활실태조사 및 자활프로그램 개발. 경기도: 여성정책과.

15.

박경순 (1999). 아동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양식 및 우울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선정, 정규석 (2016). 부모상실경험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가족탄력성, 의도적 반추,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8(2), 115-140.

17.

박연성, 현은미 (2009). 남녀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1), 221-234.

18.

박영란, 강철희 (1999)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 91-116.

19.

박영애 (2010). 스트레스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보호시설 청소년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지선 (2015). 비행청소년의 전과 유무에 따른 제반 특성 및 위험 요인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법정, 6(2), 71-84.

21.

박진아, 정문자 (2001).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행동문제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3), 107-122.

22.

박현진 (1996).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법무부 (2015). 범죄백서. 서울: 법무부.

24.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25.

송순동 (2008). 출소자의 재사회화를 위한 사회기술 프로그램 도입방안.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신연희 (2007). 청소년기 시설입소의 장기적 효과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34, 131-157.

27.

신연희 (2008). 여자비행청소년의 성적학대 치유프로그램의 방향. 교정담론, 2(2), 107- 133.

28.

양난미, 이건화, 송미경, 이은경 (2016). 출소자 취업지원관의 경험에 대한 연구: 취업지원 업무, 출소자의 취업과 취업유지. 상담학연구, 17(3), 477-502.

29.

양혜경, 서보람 (2014).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63, 115-144.

30.

연성진, 최진규, 유영재, 장홍근 (2012). 재범방지를 위한 교정보호의 선진화 방안 연구(1)-출소자 주거 및 취업지원을 위한 사회적 기업설립, 육성방안. 서울:한국형사정책연구원.

31.

염정선 (2014). 출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재범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오수성, 신현균(2008). 5․18 피해자들의 생활 스트레스, 대처방식,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스트레스, 심리건강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595-611.

33.

위종희, 조규판 (2014).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8), 237-264.

34.

이동훈, 박성현, 조현주, 박선영, 신지영, 오대연, 조진옥, 오세준, 임인구, 류석진, 노지애 (2014). 출소자 가정 복원을 위한 모델 정립과 모델 유형에 따른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한구법무보호복지공단 연구용역과제.

35.

이동훈, 신지영, 오혜영, 박성현 (2015). 출소자의 가정복원 과정에 관한 교정전문가의 인식. 한국가족복지학, 20(3), 499-530.

36.

이래혁, 김승아, 노혜진 (2007). 자활사업 참여자의 심리 사회 특성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자활후원기관협회 자활사업논문공모전 자료집, 6-39.

37.

이병하 (2003). 자활후견 프로그램 참여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임봉기 (2010). 수용자의 출소 후 사회복귀경험에 관한 연구: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해.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장선숙 (2010). 수형자의 지각된 취업제한 장벽이 진로포부형태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장완영 (2009).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장용언, 임중철 (2015). 준고령층 자활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5, 1003-1017.

42.

장입협, 오세란 (1996). 사회지지체계론, 사회복지실천연구소.

43.

정지영, 임정하 (2011). 청소년의 기질,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3(1), 37-51.

44.

조희원, 도광조 (2014). 출소자의 취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교정복지연구, 51-81.

45.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7). www.koreha.or.kr에서 자료 얻음.

46.

한순옥 (2014). 갱생보호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정복지연구, 55-88.

47.

홍봉선 (2002). 출소자 복지증진과 갱생보호사업의 활성화 방안. 교정연구, 14, 143-175.

48.

황순택, 구형모, 김지혜 (2001). 자아탄력집단의 성격특질.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3), 569-581.

49.

황진규 (2011). 보호관찰 청소년의 재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0.

Adorjan, M., & Chui, W. H. (2014). Aging out of crime resettlement challenges facing male ex-prisoners in hong kong. The Prison Journal, 94(1), 97-117.

51.

Amy, L. E. S. (2000). Situational and Psychological Predictors of Successful Transitions from Welfare to Work.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52.

Bales, W. D., & Mears, D. P. (2008). Inmate social ties and the transition to society: Does visitation reduce recidivism?.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45, 287-321.

53.

Baumer, E. (1997). Levels and predictors of recidivism: The Malta Experience. Criminology, 35(4), 601-628.

54.

Blaginin, A. A. (2008). The trends of psychophysiological support’s optimization during professional work of experts of management of space de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69(3), 144.

55.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

56.

Calhoun, L. G., & Tedeschi, R. G. (2014).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

57.

Chen, F. F. (2007).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4(3), 464-504.

58.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59.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60.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

61.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5-120.

62.

Compas, B. E., Malcarne, V. L., & Fondacaro, K. M. (1988).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in older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3), 405.

63.

Cook, J. D., & Bickman, L. (1990).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ymptomatology following a natural disaster. Journal of Traumatic Stress, 3(4), 541-556.

64.

Cosgrove, F., & O’Neill, M. (2011). The Impact of Social Enterprise on Reducing Re-offending. Durham University, School of Applied Sciences.

65.

DeJong, C. (1997). Survival analysis and specific deterrence: Integrat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models of recidivism. Criminology, 35(4), 561-576.

66.

e-나라지표. (2016). www.index.go.kr

67.

Fine, A., Cavanagh, C., Donley, S., Frick, P. J., Steinberg, L., & Cauffman, E. (2017). Is the effect of justice system attitudes on recidivism stable after youths’ first arrest? Race and legal socialization among first-time youth offenders. Law and Human Behavior, 41(2), 146.

68.

Gottlieb, B. H. (1983). Social support strategies: Guidelines for mental health practice (Vol. 7). Sage Publications, Inc.

69.

Hawkins, R. L. (2002). How low-income single mothers leave welfare for economic self-sufficiency: The role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Dissertation, Brandeis University.

70.

Hirschel, J. D., Hutchison, I. W., & Dean, C. W. (1992). The failure of arrest to deter spouse abus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29(1), 7-33.

71.

Holt, N., & Miller, D. (1972). Explorations in inmate-family relationships. Sacramento, CA: Research Division, California Department of Corrections.

72.

Hong, P. Y. P., Polanin, J. R., & Pigott, T. D. (2012). Validation of the employment hope scale: Measuring psychological self-sufficiency among low-income jobseekers.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73.

Horney, J., Osgood, D. W., & Marshall, I. H. (1995). Criminal careers in the short-term: Intra-individual variability in crime and its relation to local life circumstanc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55-673.

74.

Howser, J. F., & MacDonald, D. (1982). Maintaining family ties. Corrections Today, 44(4), 96-98.

75.

Khan, M. R., Doherty, I. A., Schoenbach, V. J., Taylor, E. M., Epperson, M. W., & Adimora, A. A. (2009). Incarceration and high-risk sex partnerships among men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Urban Health, 86(4), 584-601.

76.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77.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

78.

Lazarus, R. S. (1998). Fifty years of the research and theory of RS Lazarus: An Analysis of Historical and Perennial Issu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79.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80.

Liu, J. (1999). Social capital and covariates of reoffending risk in the Chinese context.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Review, 9(1), 39-55.

81.

Loeber, M., & Loeber, R. (2002). Lost opportunities for intervention: Undetected markers for the development of serious juvenile delinquency. Criminal behaviour and mental health, 12(1), 69.

82.

Martins, S. S., Lee, G. P., Santaella, J., Liu, W., Ialongo, N. S., & Storr, C. L. (2014). Age of first arrest varies by gambling status in a cohort of young adults. The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s, 23(4), 386-392.

83.

McAuley, E., Bane, S. M., & Mihalko, S. L. (1995). Exercise in middle-aged adults: Self-efficacy and self-presentational outcomes. Preventive Medicine, 24(4), 319-328.

84.

Mitchell, C., Parent, D. G., & Barnett, B. (2002). Transition from prison to community initiative. Retrieved April, 3, 2004.

85.

Mossholder, K. W. (1980). Effects of externally mediated goal setting on intrinsic motivation: A laboratory experi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5(2), 202.

86.

Nelson, M., Deess, P., & Allen, C. (2011). The first month out: Post-incarceration experiences in New York City. Federal Sentencing Reporter, 24(1), 72-75.

87.

Patterson, G. R., & Yoerger, K. (2002). A developmental model for early-and late-onset delinquenc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88.

Pearlin, L. I., & Schooler, C. (1978).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21.

89.

Pechorro, P., Nunes, C., Jiménez, L., & Hidalgo, V. (2015). Incarcerated youths with high or low callous–unemotional traits: A comparison controlling for age of crime onset. Journal Of Forensic Psychiatry & Psychology, 26(1), 78-93.

90.

Phillips, M. D. (2017). A factor analytic model of drug-related behavior in adolescence and its impact on arrests at multiple stages of the life course.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33(1), 131-155.

91.

Sampson, R. J., & Laub, J. H. (1990). Crime and deviance over the life course: The salience of adult social bond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9-627.

92.

Smith, D. A., & Gartin, P. R. (1989). Specifying specific deterrence: The influence of arrest on future criminal activ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94-106.

93.

Snyder, C. R. (2002). Hope theory: Rainbows in the mind. Psychological Inquiry, 13(4), 249-275.

94.

Solomon, A., Roman, C. G., & Waul, M. (2001). Summary of focusing group with ex-prisoners in the District: Ingredients for successful reintegration. Washington, DC: Urban Institute.

95.

Visher, C. A., & Travis, J. (2003). Transitions from prison to community: Understanding individual pathways. Annual Review of Sociology, 89-113.

96.

West, H. C., Sabol, W. J., & Greenman, S. J. (2010). Prisoners in 2009.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Bulletin, 1-38.

97.

White, M. C., Chafetz, L., Collins-Bride, G., & Nickens, J. (2006). History of arrest, incarceration and victimization in community- based severely mentally ill.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1(2), 123-135.

98.

Wierson, M., & Forehand, R. (1995). Predicting recidivism in juvenile delinquents: The role of mental health diagnoses and the qualification of conclusions by rac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3(1), 63-67

99.

Wolff, N., & Draine, J. (2004). Dynamics of social capital of prisoners and community reentry: Ties that bind?. Journal of Correctional Health Care, 10(3), 457-490.

100.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