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취업스트레스의 상황에서도 구직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에 취업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이 구직효능감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구직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취업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 3, 4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취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 구직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과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부 재구성한 취업스트레스 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타당성 검토를 하였다. 또 연구변인 간 구조적 관계 확인을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고, 연구모형의 적절성 검증, 경로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만족도는 구직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취업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취업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은 전공만족도와 구직효능감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형성, 자아탄력성 증진, 구직역량 제고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과 관련하여 지각되는 심리적 역동성의 관계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ing of the academic major satisfaction on the job-search efficacy and the psychological resourc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for keeping up job-seeking activity under the job-seeking stress. A hypothesis is that the major satisfaction and ego resiliency would play a positive role in job-search efficacy of students under job-seeking stress. Survey data on 300 junior or senior university student’s major satisfaction, job-seeking stress, ego-resilience, and job-search efficacy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programs wit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propriety of study model, and path coefficient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major satisfaction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job-search efficacy, but had an indirect impact through job-seeking stress and ego-resiliency. This study discussed the cr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satisfaction; promotion of ego-resilience; implications for individual employment competenc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강명숙 (2015). 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전공만족도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승희 (2010).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학과 만족도와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151-164.
구병림 (1993). 미래사회의 전망과 대학교육체제의 변화. 대학교육, 62(0), 74-79.
김계현,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1), 7-20.
김노은 (2011). 대학생의 스트레스, 탄력성, 삶의 질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13(4), 1-19.
김덕진, 이정섭 (2014).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2), 244-254.
김윤경 (2015). 디자인 전공자의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한 취업스트레스 영향 요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재현 (2011). 전문대학 교육서비스가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지연, 이기학 (2014).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7(3), 1-25.
김진희 (2016). 대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자기통제력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유형학회지, 17(0), 81-100.
김태희, 장경로 (2007).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 및 학과만족, 그리고 대학 및 직업 위상에 대한 인식이 전공 관련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1(0), 69-78.
김택호 (2004). 희망과 삶의 의미가 청소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현아 (2016).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배주윤 (2009).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보람 (2016).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5). 서울대학교 2015학년도 학부 졸업예정자 대상 대학생활 의견조사 주요결과.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신권섭 (2011). 전북지역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승국 (2016). 중장년 남성 실직자의 진로장벽,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우종필 (2015). 구조방정식모델에서 다차원성 개념의 항목묶음 편향에 대한 연구. 경영학연구, 44(4), 1131-1147.
윤경화 (2015). 조리외식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가 인지된 적합성, 전공만족도, 구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멘토링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미라 (2014).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및 취업준비 스트레스와의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라, 박분희 (2014).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1(4), 77-93.
이옥형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 29-57.
이진희 (2012).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 및 진로스트레스 조사 연구. 상담평가연구, 5(1), 45-60.
이하나, 정현주, 이기학, 이학주 (2006).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행복감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와의 관계. 상담학연구, 7(3), 701- 713.
임은미, 박승민, 엄영숙 (2009).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수준과 전공만족도, 전공 및 직장선택 기준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16(10), 33-50.
장선철 (2003). 대학생의 진로결정 유형화와 개인․인지 변인과의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장성연 (2013).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에서 가족건강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장원섭 (2010). 대학에서의 취업준비와 노동시장 성과,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Ⅱ).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은옥 (2006). 심리적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영희, 양진희 (2013). 유아교육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3), 229-248.
정주영 (2013). 대학교육만족도, 직업가치관, 직업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희진, 전현수, 권성호 (2013). 무용전공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무용만족도, 무용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4(3), 39-51.
최금란 (2012).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진로결정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광현 (2003). 직무의 내재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결과에 있어서 효능감(Efficacy)의 조절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7(1), 33-57.
한예정 (2014).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 연구 : 조리⋅외식 관련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황성원 (1998).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Atsushi, O., Hitoshi, N., Shinji, N., & Motoyuki, K.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dolescent resilience Scale. Japanese Journal of Counseling Science. 35(1), 57-65. 32.
Bandura, A. (1995). Comments on the crusade against the causal efficacy of human thought.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26(3), 179-190.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Barber, A. E., Daly, C. L., Giannantonio, C. M., & Phillips, J. M. (1994). Job search activities: An examination of changes over time. Journal of Personnel Psychology, 47(4), 739-766.
Betz, N. E., & Hackett, G. (1981). The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perceived career option in college women an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5), 399-410.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2), 39-101.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Chou, C.-P., & Bentler, P. M. (1995). Estimates and tes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37-55). Thousand Oaks, CA, US: Sage Publications, Inc.
Cicchetti, D., Toth, S. L., & Lynch, M. (1995). Bowlby’s dream comes full circle: The application of attachment theory to risk and psychopathology. Advances in Clinical Child Psychology, 17, 1-75.
Derry, S., & Brandenburg, D. C. (1978). Students’ ratings of academic programs: A study of structural and discriminant valid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0(5), 772-778.
Fleig-Palmer, M. M., Luthans, K. W., & Mandernach, B. J. (2009). Successful reemployment through resiliency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5(3), 228-247.
Hackett, G., & Betz, N. E. (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3), 326-339.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Kasl, S. V. (1982). Strategies of research on economic instability and health. Psychological Medicine, 12(3), 637–49.
Kanfer, R., & Hulin, C. L. (1985). Individuals Differences in Successful Job searchs Following lay-off, Personnel Psychology, 38(4), 835-847.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1079.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Li, M. H., Nishikawa, T.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coping and trait resilience across US and Taiwanese college student samples.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15(2), 157-171.
Little, T. D., Cunningham, W. A., Shahar, G., & Widaman, K. F. (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173.
Logue, C. T.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vocational. Ph. D. The University of Tennessee.
Luthar, S. S., Cicchetti, D., & Becker, B.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543-562.
McIlveen, P., Beccaria, G., & Burton, L. J. (2013). Beyond Conscientiousness: Caeer optimism and satisfaction with maj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3(3), 229-236.
Nasser-Abu Alhija, F., & Wisenbaker, J. (2006). A Monte Carlo Stud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Item Parceling Strategies on Parameter Estimates and their Standard Errors in CF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3(2), 204-228.
Rife, J., & Kilty, K. (1990). Job search discouragement and the older worker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Journal of Applied Social Sciences. 14(1), 71-94.
Saks, A. M., & Ashforth, B. E. (1999).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job search behavior on the employment status of recent university graduat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2), 335-349.
Saks, A. M., & Ashforth, B. E. (2000). Change in job search behaviors and employment out com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6(2), 277-287.
Saks, A. M. (2005). Job search success: A review and integration of the predictors, behaviors, and outcome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155-179.
Schunk, D. H. (1996). Goal and self-evaluative influences during children’s cognitive skill learn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2), 359-382.
Seligman. M. E., & Csikszentmiha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Shepherd, M., Cooper, B., Brown, A. C., & Kalton, G. W. (1966). Psychiatric illness in general practice. L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7), 290-312.
Song, Z., & Chathoth, P. K. (2013). Core self-evaluation and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assimilation- specific adjustment fa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33(6), 240-249.
Sovet, L., Park, M. S. A., & Jung, S. (2014). Validation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Academic Major Satisfaction Scal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119(2), 1121-1131.
Wallace, G. R., & Walker, S. P. (1990). Self concept, vocational interests, and choice of academic major in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Journal, 23(4), 361-367.
Wanberg, C. R., Watt, J. D., & Rumsey, D. J. (1996). Individual without jobs: An empirical study of job seeking behavior and reemploy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1), 76-87.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Hoyle, Rick H. (Ed).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US: Sage Publications, Inc, xxii, 289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