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동성애자 내담자의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여성 동성애자를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Homosexual Clients: Focusing on Lesbian Clients

초록

본 연구는 동성애자 내담자가 상담 장면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회기 이상 기간 상담을 받은 동성애자 7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그 자료를 Van Kaam의 현상학적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성애자에 대한 상담자의 태도를 인식함, 동성애자로서의 정체성 드러내기, 내담자로서 경험한 상담과정 및 결과, 동성애자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전문성과 태도를 예측하고 확인하기의 4개 범주와 11개 주제, 25개 부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는 자신의 성적 지향성이 자신의 정체성의 한 부분이라고 여기며, 상담 장면에서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보여주기 위해 상담자에게 ‘커밍아웃’ 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상담을 고려할 때, 상담자가 자신의 성적 지향성에 대해 수용적인 태도를 갖고, 자신의 고유한 경험을 이해해 주기를 기대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동성애자와의 상담 장면에서 효과적인 상담을 제공하기 위한 상담자 태도, 요인, 전문성 등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성소수자, 동성애자, 상담경험, 현상학적 연구, Lesbian, Counseling experience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pproach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lesbian clients.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individuals who identify as lesbians. Using Van Kaam’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pproach, 4 categories, 11 themes, and 25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four categories were counselors’ bias and prejudice toward lesbian and gay individuals, coming out to counselors, the counseling process, and expectations of counselors.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sexual orientation to be an integral part of their identities and reported that coming out to a counselor was a requisite component of the counseling process.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y had specific expectations of counselors when seeking counseling services. Some common expectations included a counselor’s affirmative attitude toward sexual minority individuals, and an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the individuals who are part of a sexual minority. Based on the findings, recommendations to help counselors provide effective services to lesbian and gay clients are made, including counselors’ attitude and counseling competencies for lesbian and gay clients.

keywords
성소수자, 동성애자, 상담경험, 현상학적 연구, Lesbian, Counseling experience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pproach

참고문헌

1.

강병철 (2011). 사회적 낙인 인식이 성소수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2(2), 381-417.

2.

공성욱, 오강섭, 노경선 (2002). 남성 동성애자와 남성 이성애자의 삶의 질과 정신 건강 비교. 신경정신학회지, 41(5), 930-941.

3.

공춘옥, 정윤경, 박수영 (2018). 성소수자(LGB)의 상담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질적탐구, 4, 197-232.

4.

국가통계포털(2019). 고령인구비율 (시도/시/군구).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20631&vw_cd=MT_GTITLE01&list_id=10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GTITLE01에서 2019.11.11 자료 얻음.

5.

국가통계포털(2019). 국적⋅지역별 결혼이민자 현황.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1&tblId=DT_1B040A16&vw_cd=MT_ZTITLE&list_id=A8&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에서 2019.11.11 자료 얻음.

6.

권경인, 한영주, 김창대, 유성경 (2011). 상담성과가 낮은 내담자들의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상담학연구, 12(6), 1977-2005.

7.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희영 (1999).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대한간호학회지, 29(6), 1208- 1220.

8.

김영근 (2013). 치료적 요인으로서의 상담자 요인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2), 203-226.

9.

김은경, 권정혜 (2004).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가 남성 동성애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969- 981.

10.

김진이 (2017). 가족의 거부로 인한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3(4), 605-634.

11.

김창대, 권경인, 한영주, 손난희 (2008). 상담일반: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상담학연구, 9(3), 961-986.

12.

김태호 (2009). 상담의 윤리와 효율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적 접근. 다문화교육연구, 2, 54-76.

13.

김형지, 신정훈, 연규진, 김향숙 (2015). 동성애적 지향성을 지닌 대학생 남성의 사회불안 경험과 사회적 지지 특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 (4), 811-841.

14.

류성진 (2013). 동성애에 대한 미국 연방대법 원의 최근 결정과 시사점. 공법학 연구, 14(4), 87-114.

15.

박수영, 공춘옥, 정윤경 (2018).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내담자의 상담 참여결정 요인에 대한 인식. 상담학연구, 19(3), 367-383.

16.

박승민 (2012).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2), 953-977.

17.

박정은 (2013).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불편감이 상담자 정보처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 동성애 내담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비온뒤무지개재단 (2019). LGBQQIA 내담자들을 위한 ALGBTIC 상담역량. http://rainbowfoundation.co.kr/xe/?module=file&act=procFileDownload&file_srl=4379&sid=311250fb7784ac2dbf452ba6144ecfb8&module_srl=1639.에서2019.11.27 자료 얻음.

19.

서영석, 이정림, 강재희, 차주환 (2007). 상담자의 동성애혐오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213-237.

20.

성적지향⋅성별정체성 법정책연구회 (2016). 한국 LGBTI 인권현황 2016. http://sogilaw.org/69.에서 2019.11.11 자료 얻음.

21.

신승배 (2013). 한국 동성애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사회연구, 33(1), 380-416.

22.

양희선 (2017). 상담자의 성소수자 상담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우사라 (2015). 상담자의 동성애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동성애자 상담에 대한 유능감에 따른 상담자의 반응 및 임상적 판단.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우사라, 유성경 (2017). 상담자의 동성애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동성애자 상담 유능감에 따른 임상적 판단 및 반응.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2), 311-334.

25.

윤가현 (1997). 동성애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26.

윤아영 (2013). 국내 여성 동성애자의 장소 형성과 문화 실태. 여성연구논총, 13, 69-107.

27.

이남인 (2014). 현상학과 질적연구. 서울: 한길사.

28.

이동식 (2008). 도정신치료 입문. 서울: 한강수.

29.

이민정 (2015). 한국에서 성소수자에 대한 기독교 상담사의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정윤, 서영석 (2017). 상담 과정에서 의미 있었던 내담자의 눈물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3), 553-576.

31.

이진오 (2012). 실존현상학과 상담치료 그 이론과 실제. 인문학연구, 21, 83-113.

32.

이혜민, 박주영, 김승섭 (2014). 한국 성소수자 건강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36, 43-76.

33.

이호림, 이혜민, 박주영, 최보경, 김승섭 (2017). 한국 동성애자⋅양성애자의 건강불평등: 레인보우 커넥션프로젝트. 한국역학회, 39, 1-11.

34.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2014). 한국LBG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 최종보고서. https://chingusai.net/xe/library/416855.에서 2019.11.11 자료 얻음.

35.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 Guidelines for psychological practice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The American Psychologist, 67(1), 10-42.

36.

Bidell, M. P. (2013). Addressing disparities: The impact of a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graduate counselling course.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Linking research with practice, 13(4), 300-307.

37.

Bieschke, K. J., Paul, P. L., & Blasko, K. A. (2007). Handbook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ith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Client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8.

Bryan, S. E. (2018). Types of LGBT Microaggressions in Counselor Education Programs. Journal of LGBT Issues in Counseling, 12(2), 119-135.

39.

Burckell, L. A., & Goldfried, M. R. (2006). Therapist qualities preferred by sexual-minority individual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43(1), 32-49.

40.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Counseling &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2016). CACREP Standards 2016. http://www.cacrep.org/for- programs/2016-cacrep-standards.에서 2019.11. 11 자료 얻음.

41.

Creswell, J. W., & Poth, C. N. (2016).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42.

Davison, G. C. (2005). Issues and nonissues in the gay-affirmative treatment of patients who are gay, lesbian, or bisexual.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2(1), 25-28.

43.

Dean, L., Meyer, I. H., Robinson, K., Sell, R. L., Sember, R., Silenzio, V. M., & Dunn, P. (2000).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health: Findings and concerns. Journal of the Gay and Lesbian Medical Association, 4(3), 102-151.

44.

Dukes, S. (1984).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human science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3(3), 197-203.

45.

Israel, T., & Hackett, G. (2004). Counselor education on lesbian, gay, and bisexual issues: Comparing information and attitude exploration.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43(3), 179-191.

46.

Kelley, F. A. (2015). The therapy relationship with lesbian and gay clients. Psychotherapy, 52(1), 113-118.

47.

Meyer, I. H. (2013). Prejudice, social stress, and mental health in lesbian, gay, and bisexual populations: Conceptual issues and research evidence. Psychology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Diversity, 1(S), 3-26.

48.

Mohr, J., & Fassinger, R. (2000). Measuring dimensions of lesbian and gay male experienc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33(2), 66-66.

49.

Murphy, J. A., Rawlings, E. I., & Howe, S. R. (2002). A survey of clinical psychologists on treating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3(2), 183-189.

50.

Pachankis, J. E., & Goldfried, M. R. (2014). Clinical issues in working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41(3), 227-246.

51.

Plöderl, M., & Tremblay, P. (2015). Mental health of sexual minoritie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27(5), 367-385.

52.

Polkinghorn, D. E. (1989).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existential-phenomenological perspective in psychology. Springer, Boston, MA.

53.

Russell, G. M., & Bohan, J. S. (2007). Liberating psychotherapy: Liberation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with LGBT clients. Journal of Gay & Lesbian Psychotherapy, 11(3-4), 59-75

54.

Rutter, P. A., Estrada, D., Ferguson, L. K., & Diggs, G. A. (2008). Sexual orientation and counselor competency: The impact of training on enhancing awareness, knowledge and skills. Journal of LGBT Issues in Counseling, 2(2), 109-125.

55.

Shelton, K., & Delgado-Romero, E. A. (2011).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s: The experience of lesbian, gay, bisexual, and queer clients in psycho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2), 210-221.

56.

Spengler, E. S., Miller, D. J., & Spengler, P. M. (2016). Microaggressions: Clinical errors with sexual minority clients. Psychotherapy, 53(3), 360-366.

57.

Whitman, J. S., & Bidell, M. P. (2014). Affirmative lesbian, gay, and bisexual counselor education and religious beliefs: How do we bridge the gap?.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92(2), 162-16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