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부모화된(parentified) 20대 미혼여성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Unmarried Women’s Parentified Life in her 20s

초록

부모화(parentification)는 자녀가 부모의 보호자 역할을 하는 역할반전(role reversal)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한 개인의 가족관계 문제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van Manen(1994)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부모화된 미혼여성의 삶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참여자는 20대 미혼여성 7명으로, 부모화 척도 PQ(Parentification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선정 되었다. 심층면담으로 수집된 원자료 분석을 통해, 5개의 대주제와 2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자료분석 결과, 부모화된 미혼여성의 삶의 경험 속에는 부모가 생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아 같다고 느낄 정도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존재감이 내포되어 있었다. 동시에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살고 있다는 긍정적 인식 또한 공존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양가적 심리상태를 오랫동안 가진 채 살아온 참여자들의 경험은 ‘울타리 없는 삶’ ‘나로서 살지 못함’ ‘스스로 알아서 하는 아이’ ‘견뎌온 삶의 회한’, ‘친함과 편함 없는 만남’이라는 하위 주제들로 요약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학술적, 상담실제적 함의를 부모화된 자녀의 발달적 특징, 심리적 갈등 및 관계역동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keywords
부모화, 부모화된 20대 미혼여성의 삶,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 parentification, unmarried women’s parentified life in her 20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bstract

Parentification is a concept referring to the role reversal in which a child acts as a parent’s guardian. In this study, the Van Manen’s (1994)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was applied to the parentified life of unmarried women in their 20s. Seven single women in their 20s were selected through the use of the Parentification Questionnaire (PQ) and then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Five major themes and 25 sub-themes were derived from the data. One negative aspect of the unmarried women’s parentified life in her 20s was feeling like an orphan, while a positive aspect was living one’s life on her own independently. The five major themes characterizing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ncluded: “life without a protector,” “I can’t live as me,” “characteristics of self-governing,” “regrets in life,” and “meeting without closeness and comfort.” The academic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부모화, 부모화된 20대 미혼여성의 삶,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 parentification, unmarried women’s parentified life in her 20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참고문헌

1.

강선모 (2012). 부모화와 안녕감의 구조관계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선모 (2015). 부모화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265-283.

3.

강원희, 유순화, 윤경미 (2010).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58(3), 357-379.

4.

곽금주 (2010). 흔들리는 20대: 청년기 생애설계 심리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5.

김보람, 최수미 (2016).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소진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3), 897-914.

6.

김지인 (2014). 부모화와 자아분화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 비교.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문비 (2006).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문정덕 (2006). 성장기의 부모화 경험과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승민 (2005). 온라인게임 과다사용 청소년의 게임행동 조절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아청 (2010). 에릭슨의 인간이해. 파주: 교육과학사.

11.

박현정, 천성문, 주동범 (2011). 중학생의 부모화 경향성과 부모양육태도 지각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직업교육연구, 30(2), 35-49.

12.

서덕희 (2014). 질적연구를 위한 심층인터뷰실습, 질적연구 논문작성을 위한 워크샵 시리즈 자료집. 10월24-25일. 서울: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13.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8).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4.

윤수지 (2014). 성인 초기 미혼 여성의 심리적 부모화와 이성관계 만족도: 자기방어적 양가성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기학, 신주연 (2003). 성장기의 부모화 경험이 대학생의 병리적 의존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4(3), 421-436.

16.

이남인 (2004). 초월론적 현상학과 해석학적 현상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전혜경 (2006). 자녀의 부모화 및 부자유친성정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상원 (2018).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론적 탐구. 질적탐구, 4(1), 1-30.

19.

정옥분 (2015). 청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

조광제 (2012). 몸의 세계, 세계의 몸: 메를로-퐁티의『지각의 현상학』에 대한 강해. 서울: 이학사.

21.

조은영 (2004). 부모화 된 자녀의 심리적 특성 및 가족 내 영향력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조이정 (2015). 대학생의 부모화 및 과보호 경험, 내현적 자기애, 진로 미결정 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경숙 (2012). 부모화 경험을 한 목회자 자녀의 대인관계 특성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최명선, 강지희 (2008). 부모화 경험이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1(1), 43-53.

25.

함광성, 신태섭 (2015). 중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청소년학 연구, 22(10), 159-185.

26.

Barnett, B., & Parker, G. (1998). The parentified child: Early competence or childhood deprivation?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Review, 3, 146-155.

27.

Boszormenyi-Nazy, I., & Spark, G. M. (2013) Invisible loyalties. New York: Routledge.

28.

Boszormenyi-Nazy, I., & Krasner, B. R. (2014). Between give and take: A clinical guide to contextual therapy. New York: Routledge.

29.

Bowlby, J. (2009). 애착: 인간애착행동에 대한 과학적 탐구 [Attachment and loss 05] (김창대 역). 파주: 나남출판사. (원전은 2000년에 출판)

30.

Bowlby, J. (2014). 존 볼비의 안전기지: 애착이론의 임상적 적용 [A secure base by John Bowlby] (김수임, 강예리, 강민철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88년에 출판)

31.

Byng-Hall, J. (2002). Relieving parentified children's burdens in families with insecure attachment patterns. Family Process, 41(3), 375-388.

32.

Byng-Hall, J. (2008). The significance of children fulfilling parental roles: Implications for family therapy. Journal of Family Therapy, 30, 147-162.

33.

Chase, N. D. (1999). Assessing childhood parentification: Guidelines for researchers and clinicians. In N. D. Chase(Ed.), Burdened children: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of parentification(pp.92-113). CA: Sage Publications.

34.

Creswell, J. W. (2010).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2판)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2nd ed.)]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7년에 출판)

35.

Denzin, N. K., & Lincoln, Y. S. (2000).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6.

Fullinwider-Bush, N., & Jacobvitz, D. B. (1993). The transition to young adulthood: Generational boundary dissolution and female identity development. Family Process, 32, 87-103.

37.

Giles, S. (2014). The impact of parentification on depression moderated by self-care: A multiple group analysis by gender for South Korea and the 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Brigham Young.

38.

Goglia, L. R., Jurkovic, G. J., Burt, A. M., & Burge-Callaway, K. G. (1992). Generational boundary distortions by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Child-as-parent and child-as-mat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0, 291-299.

39.

Hooper, L. M. (2007). The application of attachment theory and family systems theory to the phenomena of parentification.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and Family, 15(3), 217-223.

40.

Hooper, L. M., Marotta, S. A., & Lanthier, R. P. (2008). Predictors of growth and distress following childhood parentification: A retrospective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7(5), 693-705.

41.

Jeremy, H. (2007). 존 볼비와 애착이론 [John Bowlby & Attachment Theory] (이경숙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5년에 출판)

42.

Jurkovic, G. J. (1997). Lost childhoods: The plight of the parentified child. New York: Brunner/Mazel.

43.

Jurkovic, G. J., & Casey, S. (2000). Parentification in immigrant Latino adolescents. presentation in G. P. Kuperminc (Chair), proyecto juventud: A multidisciplinary study of immigrant Latino adolescents,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the society for applied anthropology, SanFrancisco, CA.

44.

Jurkovic, G. J., Thirkield, A., & Morrell, R. (2001). Parentification in adult children of divorce: A multidimensional analysi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0, 245-257.

45.

Kuperminc, G. P., Wilkins, N. J., Jurkovic, G. J., & Perilla, J. L. (2013). Filial responsibility, perceived fairness,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Latino youth From immigrant famili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7(2), 173-182.

46.

Levine, A. (2009). Parentification and adult psychosocial life distr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Yeshiva.

47.

Louise, E., & Delia, C. (2002). The parentified child. Clinical child psychology, 7(2), 163-178.

48.

Mayseless, O., Bartholomew, K., Henderson, A., & Trinke, S. (2004). “I was more her mom than she was mine”: Role reversal in a community sample. Family Relations, 53(1), 78-86.

49.

McCabe-Stroman, C. (2015). Our history: Stories of chronically disciplined minor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50.

McMahon, T. J., & Luthar, S. S. (2007). Defining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consequences of caretaking burden among children living in urban poverty.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7(2), 267-281.

51.

Miller, A. (2002). 천재가 될 수 밖에 없었던 아이들의 드라마: 참자기를 찾아서 [(The) Drama of the gifted child: The search for the true self] (권혜경 역). 서울: 권혜경 음악치료센터. (원전은 1979년에 출판)

52.

Minuchin, S. (1988). 가족과 가족치료 [Families & family therapy] (이명홍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원전은 1974년에 출판)

53.

Nuttall, A. K. (2015). Identifying patterns of adaptive and destructive parentification in childho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tre Dame.

54.

Robinson, B. E. (1999). Workaholic children: One method of fulfilling the parentification Role. In N.D. Chase (Eds.), Burdened Children (pp. 56-74). New York: Guilford.

55.

Spradley, J. P. (2006). 참여관찰법 [Participant Observation] (신재영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1980)

56.

St. Clair, M. (1998).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대상관계 이론과 종교 [Human relationships and experience of god-object relations and religion]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전은 1994년에 출판)

57.

van Manen, M. (1994).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신경림, 안규남 역). 서울: 동녘. (원전은 1990년에 출판)

58.

van Manen, M. (2014). Phenomenology of practice: Meaning-given methods in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writing. Walnut Creek, CA: Left Coast Press.

59.

van Manen, M., Higgins, I., & van der Riet, P. (2016). A conversation with max van Manen on phenomenology in its original sense: Editorial. Nursing & Health Sciences, 18(1), 4-7.

60.

West, M. L., & Keller, A. E. (1991). Parentification of the child: A case study of Bowlby’s compulsive care-giving attachment pattern.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45(3), 425-431.

61.

Zeanah, C. H., & Klitzke, M. (1991). Role reversal and the self-effacing solution: Observations from infant-parent psychotherapy. Psychiatry, 54, 346-357.

logo